$\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해상도 인공위성용 망원경의 조립 및 평가를 위해서는 평행빔 만들어주는 시준장치가 꼭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큰 직경의 시준장치로는 비축포물면 거울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평가대상망원경의 초점거리가 긴 경우 비축포물면은 보다 긴 초점거리를 가져야 하고 공기의 유동효과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할 경우,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Cassegrain 형태 시준장치는 빔을 꺾어 사용하므로, 초점거리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공기의 유동효과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직경 300 mm 인공위성 망원경을 측정하기 위해 직경 450 mm 의 Cassegrain 형태 시준장치를 설계하고 제작한 과정을 설명한다. 주경부경을 제작한 후 시준장치를 구성한 결과 최종 파면수차는 0.07λ(λ=633 nm)로 diffraction limited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llimator is necessary for the assembly and evalu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telescope. Traditionally, the off-axis paraboloid has been used as a collimator. However, it has some disadvantages in that it can suffer from air turbulence when the focal length of a collimator is long, whi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직경 300 mm급 우주용 카메라를 시험하기 위한 Cassegrain 형태의 시준장치의 제작에 관해 다루었다. 이를 위해 시준장치의 설계 및 공차분석에 관하여 논의하고 각 거울의 제작과정 및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직경 300 mm급 우주용 카메라를 시험하기 위한 Cassegrain 형태의 시준장치의 제작에 관해 다루었다. 이를 위해 시준장치의 설계 및 공차분석에 관하여 논의하고 각 거울의 제작과정 및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마 지막으로 정렬 및 조립후의 최종 성능에 관하여 간단히 언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 B. Leviton et al., "Wide-field imaging interferometry testbed 3: metrology subsystem," in Inteferometry in Space, M. ShaO, Ed., Proc. SPIE vol. 4852, pp. 827-838, 2003. 

  2. J.W.Figoski, "Alignment and test results of the QuickBird Telescope using the Ball Optical System Test Facility," in Advanced Telescope Design, Fabrication, and Control, W. Roybal, Ed., Proc. SPIE vol. 3785, pp. 99-108,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