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속리산 국립공원의 경관 및 식생 분석과 그 보존을 위한 생태학적 제안
Analyses of Landscape and Vegetation and Ecological Sugges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t. Songnisan National Park, Central Korea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7 no.3 = no.119, 2004년, pp.185 - 192  

엄안흠 (한국교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조용찬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 ,  신현철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속리산 국립공원의 산지에는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및 졸참나무군락의 자연적 과정을 통해 성립된 식생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리기다소나무 조림지로 이루어진 인위적으로 조성된 식생이 성립하고 있다. 한편, 하천 주변의 저지대에는 농경지, 주거지, 상업시설 등으로 이루어진 개발지가 분포하고 있다. 식생의 공간적 분포에 의하면, 행정구역상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과 경북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공원구역 남부 약 1/3 지역은 자연성과 식생의 다양성이 높았지만 청천면 및 칠성면에 속하는 나머지 지역은 그 대부분을 소나무림이 차지하고 조림지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 식생의 다양성과 자연성이 모두 낮았다. 조사된 식분율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식분의 배열은 고도, 사면 등의 지형요인과 그것에서 비롯된 수분요인에 의해 지배되는 경향이었다. 주요 목본식물의 직경 급별 빈도분포를 분석하여 식생의 동태를 분석한 결과, 향후 이 지역의 식생은 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이 중심을 이루는 식생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그러나 교란의 발생과 그것에 대한 식생의 반응을 고려하면, 이러한 판단은 실제와 다소 차이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속리산 국립공원의 보전전략이 경관생태, 주요 식물군락의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전의 관점에서 검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getation established through the natural process, such as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Q. variabilis, Q. acutissima, Carpinus laxiflora, Q. aliena and Q. serrata communities and artificially introduced vegetation, which are composed of Larix leptolepis and P. rigida plantations, are esta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군집의 동태를 밝히는데 우선적 목표를 둔다. 나아가 그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 지역에서 자연보존의 실태를 점검하고, 그것에 입각하여 향후 이 지역의 자연을 보다 건전하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한 생태적 공간으로 관리하기 위한 복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본 연구의 또 하나의 목표가 된다.
  • 2004). 따라서 이 지역의 생태적 보존 전략으로 강변 구역의 생태적 복원을 우선적으로 제안한다(Table 2).
  • 본 연구에서는 속리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경관의 구조, 식생의 공간분포, 식물군집의 분포와 환경요인 사이의 관계 및 주요 식물군집의 동태를 밝히는데 우선적 목표를 둔다. 나아가 그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 지역에서 자연보존의 실태를 점검하고, 그것에 입각하여 향후 이 지역의 자연을 보다 건전하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한 생태적 공간으로 관리하기 위한 복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본 연구의 또 하나의 목표가 된다.
  • 식생의 구조를 밝히려는 연구는 일정한 지역에서 어느 한 순간의 식생조성과 그곳의 환경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생의 동태에 대한 연구는 식생의 유지 및 재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밝히고, 향후 그것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예측한다.
  • 한다. 식생의 동태에 대한 연구는 식생의 유지 및 재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밝히고, 향후 그것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예측한다. 국립공원지역과 같이 자연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지역에서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정보는 인간 활동이 빈번한 지역에서 과도한 인간 간섭으로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이 및 유 2001).
  • 4)를 종합하면, 향후 속리산 국립공원의 식생은 신갈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이 중심이 되는 식생으로 변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판단은 현재 저지대에 성립된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에서 다른 종이 우점하는 식물군락으로의 천이가 예상되고, 그 분포면적이 좁은 느티나무군락, 망개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노각나무군락의 미래가 불투명한데 기인한다. 한편,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인공 조림지는 인위적 간섭이 배제될 경우 대체로 지역의 자연식생으로 회귀하는 경향이어서 이러한 판단을 뒷받침한다(Lee et al.
  • 그밖에 굴참나무군락은 남향사면에 주로 분포하고, 상수리나무군락은 인간의 간섭이 빈번한 인가 주변에 한정 분포하였다. 한편, 소나무군락은 저지대로부터 능선에 이르기까지 고르게 분포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소나무군락이 그것의 전형적인 분포장소인 능선부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의 영향을 받아 저지대에까지 그것의 분포영역을 확장시킨데 기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Jacobs, P., Mann, R.. Landscape prospects of the next millennium.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47, no.3, 129-133.

  2. Lee, Chang-Seok, Cho, Hyun-Je, Yi, Hoonbok. Stand dynamics of introduced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 under different disturbance regimes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189, no.1, 281-293.

  3. Lee, Chang-Seok, You, Young-Han, Robinson, George R.. Secondary Succession and Natural Habitat Restoration in Abandoned Rice Fields of Central Korea. Restoration ecology :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vol.10, no.2, 306-314.

  4. 10.1126/science.164.3877.262 

  5. Sinton, Diana S., Jones, Julia A., Ohmann, Janet L., Swanson, Frederick J.. WINDTHROW DISTURBANCE, FOREST COMPOSITION, AND STRUCTURE IN THE BULL RUN BASIN, OREGON. Ecology, vol.81, no.9, 2539-2556.

  6. Sousa, W P. The Role of Disturbance in Natural Communiti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vol.15, 353-391.

  7. Wentworth, Chester K..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The Journal of geology, vol.30, no.5, 377-3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