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barley seeder attached to rice harvest combine that could be used in rice harvesting and barley seeding simultaneousl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barley and labor-saving efficiency. In developed seeding system, burley seeding was ea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barley seeder attached to rice harvest combine that could be used in rice harvesting and barley seeding simultaneousl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barley and labor-saving efficiency. In developed seeding system, burley seeding was earlier about 5 days than in the conventional system, because of conducting rice Harvesting and barley seeding simultaneously. The germination of barley seed after seeding was protected from drought damage by the rice straw covering. Amo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barley using developed seeding system, the number of spikes per m$^2$ wa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 but others showed longer culm length, hove kernel numbers per spike and heavier 1,000 kernel weight than those of conventional system. Developed seeding system resulted in about 57% labor-saving efficiency compared with conventional system. The cost of whole works from seeding to harvest of barley was saved about 8% compared with conventional system. A total of income increased about 16%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barley seeder attached to rice harvest combine that could be used in rice harvesting and barley seeding simultaneousl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barley and labor-saving efficiency. In developed seeding system, burley seeding was earlier about 5 days than in the conventional system, because of conducting rice Harvesting and barley seeding simultaneously. The germination of barley seed after seeding was protected from drought damage by the rice straw covering. Amo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barley using developed seeding system, the number of spikes per m$^2$ wa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 but others showed longer culm length, hove kernel numbers per spike and heavier 1,000 kernel weight than those of conventional system. Developed seeding system resulted in about 57% labor-saving efficiency compared with conventional system. The cost of whole works from seeding to harvest of barley was saved about 8% compared with conventional system. A total of income increased about 16%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호남지역 보리 이모작 재배농가의 생력 화를 위하여, 호남농업연구소에서 개발된 벼 수확동시 보리 파종기를 이용한 대단위 보리재배 지역에서 보리의 생육특성,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생력효과 등을 관행재배법과 비교, 실험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시비량(N-PMKO)은 ha당 농가 관행 재배는 휴립광산파로 150-96-60 kg, 벼 수확동시 보리 파종에서는 볏짚시용에 따른 질소기아 현상을 막기 위하여 질소비료를 50% 증비한 225-96-60 kg으로 하였다. 제초제처리는 butachlor EC(2000년), thiobencarb GR(2001년)로 관행과동일하게 처리하였다. 토양수분의 측정은 건토중량법으로 실시하였으며, C/N률은 총 탄소함량(Turin법)과 총 질소함량 (Kjeldahl법)의 비로 수확기때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2000년 10월~2002년 6월까지 2개년간에 걸쳐 전북 군산 보리재배단지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기계는 3조형 자탈형 콤바인에 탑제한 것이며, 공시품종은 흰찰쌀보리와 새쌀보리로 하였고, 기타 재배방법은 Table 1에서와 같다.
군산 보리재배단지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기계는 3조형 자탈형 콤바인에 탑제한 것이며, 공시품종은 흰찰쌀보리와 새쌀보리로 하였고, 기타 재배방법은 Table 1에서와 같다. 시험구토양은 미사질사양토인 만경통으로서 재배 규모는 2~3ha(관행포함)로 하였으며, 휴립광산파(관행)재배는 벼 수확 후 볏짚을 그대로 논에 방치한 것을 농가 관행대로 건조후소각처리하였고, 벼 수확동시 보리 파종방법에서는 파종된 보리 위에 볏짚을 피복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기계는 3조형 자탈형 콤바인에 탑제한 것이며, 공시품종은 흰찰쌀보리와 새쌀보리로 하였고, 기타 재배방법은 Table 1에서와 같다. 시험구토양은 미사질사양토인 만경통으로서 재배 규모는 2~3ha(관행포함)로 하였으며, 휴립광산파(관행)재배는 벼 수확 후 볏짚을 그대로 논에 방치한 것을 농가 관행대로 건조후소각처리하였고, 벼 수확동시 보리 파종방법에서는 파종된 보리 위에 볏짚을 피복하였다. 시비량(N-PMKO)은 ha당 농가 관행 재배는 휴립광산파로 150-96-60 kg, 벼 수확동시 보리 파종에서는 볏짚시용에 따른 질소기아 현상을 막기 위하여 질소비료를 50% 증비한 225-96-60 kg으로 하였다.
이론/모형
제초제처리는 butachlor EC(2000년), thiobencarb GR(2001년)로 관행과동일하게 처리하였다. 토양수분의 측정은 건토중량법으로 실시하였으며, C/N률은 총 탄소함량(Turin법)과 총 질소함량 (Kjeldahl법)의 비로 수확기때 측정하였다. 파종후 생육특성 및 수량 구성요소 등을 조사하여 농촌진흥청 시험연구조사기준(농진청, 1995)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소득분석은 시험 연구 결과 경제성 분석기준(농진청, 2000)에 따랐다.
토양수분의 측정은 건토중량법으로 실시하였으며, C/N률은 총 탄소함량(Turin법)과 총 질소함량 (Kjeldahl법)의 비로 수확기때 측정하였다. 파종후 생육특성 및 수량 구성요소 등을 조사하여 농촌진흥청 시험연구조사기준(농진청, 1995)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소득분석은 시험 연구 결과 경제성 분석기준(농진청, 2000)에 따랐다. 본 시험기간 동안의 군산지역의 평균기온, 일조시수, 강우량 등 기상조건은 Table 2 와 같으며, 연도별 특이 기상으로는 2001년에는 3~5월의 한발이 있었으며, 2002년에는 보리 출수기 전후에 잦은 강우로 인한 높은 습도와 고온으로 적미병 발생이 많은 해였다.
성능/효과
또한 2001년에는 계속된 한발로 출수 전·후에 관행구에 서는 식물체가 황화되어 심한 경우 50%이상 잎이 고사한 개 체도 있어 전체적인 한해정도는 5(중)정도를 나타내었으나,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에서는 토양 수분함량이 관행파종보다 2.2% 높은 현상이 지속되어 피복하지 않은 관행구보다 수분증발이 적기 때문에 한해정도가 1정도로 피해가 적은 것으로 생각되고, SPAD 값(엽록소 함량 )도 관행보다 11.7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장 등(1991)에 의하면 4월 중순(출수직전)의 토양수분함량이 관행보다 콤바인 부착 보리파종 포장에서 많아 가뭄이 있는 해에는 토양수분유지면에서 유리하다고 보고하였고, Virgin(1965)은 토양 수분 부족시 탄수화물의 생성저하에 의하여 엽록소 조성물질의 생성을 감소시키며, 최와 김(1983)은 엽록소 함량변화는 한발 처리간에 유의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시험에서도 벼 수확동시 보리 파종방법에서 볏짚 피복에 의한 보습효과가 있어서 한발 피해가 관행재배에 비해 적었다.
특히, 두 처리에서 다른 보리 생육특성을 보였는데, 벼 수확 동시 보리파종방법은 관행보다 월동전 보리신장이 빨랐으며, 월 동후 보리재생기 이후에는 관행재배보다 보리신장이 늦은 경향을 보였으나 보리신장이 끝난 성숙된 보리의 간장은 오히려 큰 경향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월동전 볏짚피복에 의한 보온효과와 월동후 보리재생기 이후에는 볏짚분해에 따른 일시적인 질소기아 현상과 더불어 볏짚에 의한 토양온도의 상승지연에 따른 결과로 생각되며, 성숙이 늦고, 간장이 큰 원인은 볏짚부숙에 따른 양분 용출이 늦게까지 지속되어진 결과로 보여 진다.
관행(휴립광산파) 파종방법과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방법별 파종 노력시간은 Table 7과 같다. 관행 파종방법은 수확에서 복토까지 5단계 분리작업으로 ha 당 950분이 소요되었으나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작업은 2~3단계 축소로 400분이 소요되어 관행보다 58%의 노력절감효과가 있었다. 이는 보리예취+작구 +파종구에 종자낙하+보리탈곡+보리짚피복 순으로 일관작업이 이루어지므로서 노동력 및 생산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는 보고(최 등, 1995)와 휴립광산파(관행)와 비교할 때 콤 바인부착 세조파 파종이 52%의 파종노력 절감효과가 있었다는 보고(장 등, 1991)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재배의 경영비 및 소득은 Table 8에서와 같이 일관파종작업이 가능했던 콤바인부착 벼 수확동시 보 리파종방법이 관행 파종작업보다 작업단계 축소로 경영비가 8% 절감되었으며, 소독은 ha 당 관행 301만원에 비하여 348 만원으로 16%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관작업으로 경영 비 절감 및 소득이 증가한다는 보고(박 등, 1990; 장 등, 1991; 농진청, 1999)와 동시파종으로 건답직파(관행)에 비하여 40% 절감되었다는 보고(小池, 1993)와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후속연구
이러한 결과는 일관작업으로 경영 비 절감 및 소득이 증가한다는 보고(박 등, 1990; 장 등, 1991; 농진청, 1999)와 동시파종으로 건답직파(관행)에 비하여 40% 절감되었다는 보고(小池, 1993)와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벼 수확동시 보리 파종기를 이용하므로써 벼 · 보리 2모작 재배지에서 농기계의 효율을 증대시켜 부가가치를 높이고, 볏짚을 환원하여 보리의 재해를 줄이는 효과는 물론 볏짚 등을 제거, 소각(매연공해의 유발) 하는데 드는 노동력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