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종류별 용매 획분의 자외선 B 조사에 의해 유도된 피부산화 및 홍반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Solvent Fraction of Various Kinds of Kimchi on Ultraviolet B Induced Oxidation and Erythema Formation of Hairless Mice Ski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5, 2004년, pp.785 - 790  

류복미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류승희 (인제대학교 바이오헬스 소재 연구센터, 식품과학연구소 및 식품생명과학) ,  전영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 ,  이유순 (경북과학대학 향장공업) ,  문갑순 (인제대학교 바이오헬스 소재 연구센터, 식품과학연구소 및 식품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김치, 갓김치, 부추김치의 용매획분 추출물을 제조한 뒤 항산화관련 물질들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카로테노이드는 갓김치의 hexane층에서, 클로로필 함량은 부추김치의 hexane층에서 가장 높았고, 비타민 C함량은 갓김치의 EtOAc층과 BuOH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폐놀화합물은 부추김 치의 CH$_2$Cl$_2$층과 EtOAc층, 배추김치 CH$_2$Cl$_2$층, 갖김치 EtOAc층과 CH$_2$Cl$_2$층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DPPH법을 이용한 유리기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부추김치 CH$_2$Cl$_2$층과 EtOAc층, 배추김치 CH$_2$Cl$_2$층, 갓김치 EtOAc층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종류별 용매획분을 hairless mouse의 피부균질액에 첨가하여 자외선 B를 조사한 후 지질과산 화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부추김치의 CH$_2$Cl$_2$층과 EtOAc층, 배추김치, 갓김치의 EtOAc층에서 낮게 나타나 항산화성이 높은 획분에서 피부의 광산화 억제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고 김치 용매획분을 크림에 첨가하여 hairless mouse의 등에 직접 도포한 후 자외선 B를 조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갓김치의 hexane층, 부추김치의 hexane층과 BuOH층을 제외한 모든 용매획분이 피부홍반의 생성을 억제하였고 특히 갖김치 EtOAc층, 배추김치 CH$_2$Cl$_2$층, 부추김치 물층에서 피부보호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mchi is well known as a traditional Korean food containing various antioxidative compounds an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dietary kimchi inhibit the tissue oxidation and aging in many related studies. Ultraviolet B (UVB) radiation is the most potent among the many related factor to skin photo-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각의 용매 분획 물에서 항산화 관련 물질들의 함량 및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hairless mouse의 피 부균질 액 에 혼합하고 자외 선 B를 조사시 켜 광산화를 유도하였을 때 어떠한 획분에서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용매 분획 물을 피부크림에 첨가한 후 직접 피부에 도포하여 자외선 B에 의한 홍반 생성 억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Values are means±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eigh HS. 1995.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5: 89-101. 

  2.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3. Hwang JW, Song YO. 2000. Th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of kimchi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of rabbit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04-210. 

  4. Jeon HN, Kwon MJ, Song YO. 2002. Effect of kimchi solvent fractions on accumulation of lipids in heart, kidney and lung of rabbit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rt 31: 814-818. 

  5. Lee YO, Cheigh HS. 1995.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J Korean Soc Food Nutr 24: 1005-1009. 

  6. Lee YO, Park KY, Cheigh HS. 1996.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with various fermentation period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ground meat. J Korean Soc Food Nutr 25: 261-266. 

  7. Ryu SH, Kwon MJ, Song YO, Song YS, Moon GS. 2003. Effect of kimchi diet on antioxidative system of rat. Inje J Inje Univ (Korea) 18: 475-488. 

  8. Kim JH, Kwon MJ, Lee SY, Ryu JD, Moon GS, Cheigh HS, Song YS. 2002.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liver of S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9-116. 

  9. Kim JH, Ryu JD, Lee HG, Park JH, Moon GS, Cheigh HS, Song YS. 2002.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brain of S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17-123. 

  10. Ryu BM, Ryu SH, Lee YS, Jeon YS, Moon GS. 2004. Effect of different kimchi diets on oxidation and photooxidation in hairless mou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91-298. 

  11. Danno K, Horio T, Takigawa M, Imamura S. 1984. Role of oxygen intermediates in UV-induced epidermal cell injury. J Invest Dermatol 83: 166-168. 

  12. Miyachi Y, Horio T, Imamura S. 1983. Sunburn cell formation is prevented by scavenging oxygen intermediates.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8: 305-310. 

  13. Choi JY, Yoon KS, Cho YH, Kim NI. 1996. The effect of UVB irradiation and sunscreen agents on photoaging of hairless albino mouse skin. Kor J Dermatol 34: 289-299. 

  14. Iwasaki TK, Sakamoto K, Packer L. 1997. Interaction between vitamin E homologues and ascorbate free radicals in murine skin homogenate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Photochem & Photobiol 65: 355-365. 

  15. Ryu SH, Jeon YS, Kwon MJ, Moon JW, Lee YS, Moon GS. 1997. Effect of kimchi extracts to reactive oxygen species in skin cell cytotoxi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814-821.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Ohkawa H, Ohishi N,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18. Gonalez S, Pathak MA. 1996. Inhibition of ultravioletinduced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lipid peroxidation, erythema and skin photosensitization by polypodium leucotomes.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2: 45-56. 

  19. Kim JI. 2000. Studies on antioxidative flavonoids and nucleotide from mustard leaf kimchi.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 Usuki R, Endo Y, Kaneda T. 1984. Prooxidant activities of chlorophylls and pheophytins on the photooxidation of edible oils. Agric Biol Chem 48: 991-994. 

  21. McAuliffe DJ, Blank IH. 1991. Effects of UVA on the barrier characteristics of the skin. J Invest Dermatol 96: 758-762. 

  22. Kim BK, Park SB, Youn JI. 1997. Relationship between UV-induced erythema and pigmentation dose-response angles and the predictors of cutaneous sensitivity to UV right. Kor J Dermatol 35: 1177-1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