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Forest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in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18 no.2, 2004년, pp.142 - 149  

김갑태 (상지대학교 생자대)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덕유산 아고산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향적봉-제2덕유산 구간 아고산 지역에 20개의 방형구(1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0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사스래나무-가문비나무-주목군집, 주목-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덕유산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지역은 신갈나무, 주목,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구상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사스래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이 라 판단된다. 사스래나무와 철쪽, 털진달래; 시닥나무와 고로쇠나무; 정향나무와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사스래나무와 시닥나무; 신갈나무와 고로쇠나무: 구상나무와 미역줄나무, 병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0316∼l.177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20 plots(1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Betula ermanii - Picea jezoensis - Taxus cuspidata community, Taxus cuspidata -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을 탐방하는 등산객들에게 가장 많이 찾는 주봉인 향적봉(1610.6m) 과제2덕유산(1594.3m) 이 포함된 아고산지의 천연림을 대상으로 삼림식생의 실태와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개발 이전의 조사 자료와 비교하고, 앞으로의 관리 대책을 세우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a)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용, 호령봉 지역의 삼립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2.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b)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지역의 삼립군집구조에 관한연구.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3.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셜악산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환경생태학회지 10(2):240-250 

  4. 김갑태,백길전(1997) 셜악산국립공원 대챙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1(4): 391-398 

  5. 김갑태, 백길전(1998) 태백산 장군봉지역 주목림의 임분 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2(1): 1-8 

  6.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1998) 한라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림-. 한국 임학회지 87(3): 361-371 

  7. 김갑태, 추갑철(1999)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삼립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70-77 

  8.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군집-. 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9. 김갑태, 추갑철 (2000)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80-87 

  10. 김갑태, 추갑철(2003) 백두대간 노고단-고리봉 구간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41-448 

  11. 박인협(1981) 경기도 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쪽 

  12. 추갑철, 김갑태,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립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4(1): 28-37 

  13.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14.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