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Aspect Area in Mt. Eungbo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5, 2015년, pp.791 - 802  

이하영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중효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의 응복산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영구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총 25개소($20{\times}20cm$)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유형 분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난티나무군락과 물개암나무군락으로 세분화 되었다. 난티나무군락은 철쭉군과 산딸기군으로 나누어지며, 산딸기군은 다시 태백제비꽃소군과 줄딸기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4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사면의 해발고에 따른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목층에서 신갈나무가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나무로 유지될 것이다. 종 다양성 분석결과 식생 단위 3에서 0.97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생단위1에서 0.72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간연관 분석 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그룹 I은 철쭉의 식별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으며, 그룹 III은 물개암나무군락에서 주로 출현하는 식물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structure of Mt. Eungbok located in Jochimryeong to Shinbaeryeong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The survey for 25 plots was conducted from April 2012 to August 2013 in the permanent plots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vege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그동안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산림식생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3).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한 축인 오대산계 조침령-신배령 구간의 주요 봉우리인 응복산을 대상으로 남사면과 북사면의 식생구조와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백두대간의 관리 및 보전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생태계란? 산림생태계란 수목이 우점하고 있는 생태계라 할 수 있다(Kimmins, 1992). 이러한 산림생태계를 관리한다는 것은 임목과 환경(기후, 토양, 수분 등)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Borugeron et al.
종의 구성, 군락구조 등과 같은 식생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산림생태계에 기반을 이루고 있는 식생은 그 외형적 모습인 상관은 같아도 군락의 구성 상태나 생태적 특징이 다르다(Braun-Blanquet, 1932). 그렇기 때문에 산림군락의 발달 과정과 보호, 관리 등에 필요한 중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종의 구성, 군락구조 등과 같은 식생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산림생태계를 관리한다는 것은 무엇을 바탕으로 하는가? 산림생태계란 수목이 우점하고 있는 생태계라 할 수 있다(Kimmins, 1992). 이러한 산림생태계를 관리한다는 것은 임목과 환경(기후, 토양, 수분 등)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Borugeron et al.,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gnew, A.D. Q. (1961) The ecology of Juncus effusus L. in North Wales, J. Ecol. 49: 83-102. 

  2. Ahn Y.H., Y.T. Jung and S.G. Lee (2004) Phytosocialogical Study of Weed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the Ridge of Deogyu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8(2): 191-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e, K.H. (2005)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Ecological Application of Vegetation Data in the Keumbong Recreational Forest. Kor. J. For. Rec. Wel. 9(2): 1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 Cummings Publishing Co. Menlo Park. 604pp. 

  5. Bourgeron, P.S., H.C. Humphries, R.L. Develice and M.E. Jensen (1994) Ecological theory in relation to landscape and ecosystem characterization. In Jensen M.E. and P.S. Bourgeron (eds). VolumeII: Ecosystem Manag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USDA For. Serv. GTR-PNW-318. pp. 58-72. 

  6. Braun-Blanquet, J (1932)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ties. New York and London, McGraw-Hill book company, inc. 472pp. 

  7.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Dubuque, Iowa. 288pp. 

  8. Cheon K.L., J.G. Byun, S.C. Jung and J.H. Sung (2014)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Stand in Hyangrobong Area, Baekdudaegan.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8(1): 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o, H.J., K.H. Bae, C.S. Lee and C.H. Lee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Vegetation of the Subalpine Area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39(5): 372-3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Cho. M.G., J.M. Chung, H.R. Jung, M.Y. Kang and H.S. Moon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in Subalpine Zon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6(5):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8. 

  12.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Ulmer. Germany. 136pp. 

  13.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4) http://www.cha.go.kr/ 

  14. Hill, M.O (1979)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99pp. 

  15. Hong, S.C., S.H. Byen and S.S. Kim (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Gyemyengsa, 310pp. (in Korean) 

  16. Jang K.K. and H.K. Song (1997) Study of Dominance-Diversity on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Kor. J. Env. Eco. 11(2): 160-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mins, J.P (1992) Balancing Act : Environmental Issues in Forest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44pp. 

  18. Kim, H.J, C.W. Yun, H.K. Park, H.S. Shin, S.H. Lee, E.S. Doh, J.P. Chang, M.S. Choi, J.K. Yang, W.H. Bae and H.J. Cho (2011) Forest Stand Structure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in the Habita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Jour. Korean For. Soc. 100(4): 565-5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3) Ecosystem status and management setting rage of the Baekdudaegan. Seoul, 427pp. (in Korean) 

  20. Korea Forest Service (2003) Study for the administration range setting and management measures established in Baekdudaegan. 270pp. (in Korean)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http://www.nature.go.kr/ 

  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23.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I, II. Hyangmunsa, Seoul, I: 914pp.; II: 910pp. (in Korean) 

  24. Lee. H.J., H.R. Jung and B.G. Bae (1995) Syntaxonomy and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ongnyang. Kor. J. Env. Eco. 18(1): 121-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M.J. and H.K. Song (2011)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J. Korean. Env. Res. Tech. 14(1): 57-6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2012 Baekdudaegan ecosystem scrutiny. Seoul, 406pp. (in Korean) 

  27. Park, B.G. and N.H. Kim (1979) A Study of Three Phytoscoiological Technique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Kor. Res. Inst. Better Living. 23: 69-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17pp. 

  29. Son, Y.H. and Z.S. Kim (1997) Concept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Forest Ecosystem Management. Kor. J. Env. Eco. 20(3): 201-2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ong, H.K., M.J. Lee, S. Yee, H.J. Kim, Y.U. Ji and O.W. Kwon (2003)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Jour. Korean. For. Soc. 92(4): 409-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Song, J.S. and Y.H. Ahn (2003) Phytosociological Study 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Ussurian Pear and Chinese Pear, Korean Wild Species. Kor. J. Env. Eco. 16(2): 160-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ong, Y.H. and C.W. Yun (2006) Vegetation Structure of Subalpine Forest Zone in Mt. Seorak. Korean. J. Environ. Biol. 24(3): 268-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Sparks, R (1995) Need for ecosystem management of large rivers and their floodplains. BioSci. 45: 168-182. 

  34. Yang, H.M., S.G. Kang and J.H. Kim (2001) Selection of Desirable Species and Estimation of Composition Ratio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 Korean For. Soc. 90(4): 465-4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Yun, C.W., C.H. Lee and H.J. Kim (2007)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aya,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 J. Env. Eco. 21(5): 379-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