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난대림 식생 분류와 관리 시스템
Classification of Warm Temperate Vegetation Using Satellite Data and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18 no.2, 2004년, pp.231 - 235  

조성민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1991년 위성 데이터와 2002년의 위성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전남 완도의 난대림 식생 변화추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1년 Landsat TM영상과 2002년 Landsat ETM 영상이 이용되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은 ENVI를 이용하였다. GIS를 이용한 난대림 관리 시스템 개발은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완성되었다. 영상 데이터의 촬영시기 차이와 TM 영상의 해상도(Resolution)가 정밀하지 못해 복잡한 지형특성을 지닌 곳에서는 정확한 변화추이를 파악하기는 불가능하였으나, 2002년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된 완도의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약 2,027ha로 산출되었다. 상록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은 11년 전에 비해 소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낙엽활엽수림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식생분류를 위한 기준은 상록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 기타로 구분하였으며 감독분류기법을 통해 식생이 분류되었다. 완도의 공간 데이터는 녹지자연도, 현존식생도, 산림토양도, 훼손유형도, 지형도, 토지소유현황도로 분류되었고, 이에 대한 속성 데이터 베이스는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완성되었다. 데이터를 관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색인 분석하는 사용자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at satellite images were analyzed to study vegetation change patterns of warm-temperate forests from 1991 to 2002 in Wando. For this purpose, Landsat TM satellite image of 1991 and Landsat ETM image of 2002 were used for vegetation classification using ENVI image processing software. Four di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난대림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 이다. 연구에서는 Landsat TM 데이터를 활용하여 완도군 지역을 중심으로 11년 동안의 난대림 분포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1991년 데이터와 2002년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였다. 영상 데이터의 촬영시기 차이와 TM 영상의 해상도(Resolution) 가 정밀하지 못해 복잡한 지형 특성을 지닌 곳에서는 정확한 변화추이를 파악하기는 불가능하였다.
  • 되는 원격탐사는 최소의 비용과 인력으로 대규모의 산림과 토지이용도를 파악하여 국토자원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보존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이며 그 이용도는 향후 더욱 증가할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1991년과 2002년의 LandsatTM과 LandsatETM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완도에 대한 난대림 식생분석과 분류를 통해 11년간에 나타난 식생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또한 분석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난대림의 식생변화 파악 및 복원과 보존, 그리고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산림청 (2000). 난대림 생물 산업화를 위한 개발 산. 학. 관 협동 실연 연구 (II). 산림청. 95pp 

  2. 오구균, 김용식(1997)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1). 환경생태학회지. 10(1): 87-102 

  3. Burrough P, A. and R McDonnel(1998)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xford Univ. Press. London. 186pp 

  4. ESRI(1996) Understanding GIS. ESRI, Inc. Redlands,USA, 36pp 

  5. ENVI(2001) ENVI Tutorials, Research Systems, Inc. USA, 27pp 

  6. Jensen R. J(1996).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2nd Ed. Prentice Hall, pp. 22-23 

  7. Laurini R., and D. Thompson(1988) Fundamentals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pp 150-156 

  8. Thomas M. L and R. W. Kiefer(1994)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3rd Ed. John Wiley, New York, 98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