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 잠실수중보 계단식 어도의 어류소상기능 평가
An Assessment of Ascending Functions of the Pool-and-Weir Fishway at Jamsil Weir in the Han River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7 no.7, 2004년, pp.541 - 552  

박상덕 (강릉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신승숙 (강릉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안효윤 (강릉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마수봉 (강릉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황종서 (하천생태복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설치어도조사법을 적용하여 한강 하류부 잠실수중보의 회유성 어류 이동을 위해 설치된 계단식 어도에 대해 어류소상기능을 조사하고 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에 어도 출구에서 채집된 어도이용 소상어류는 체장이 29cm 이상인 강준치가 361개체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강준치에 대한 소상능력은 최대 2.53${\times}$10^{-3}$ 개체/hr/g으로 나타났다. 잠실수중보의 계단식 어도는 한강에 서식하는 어류의 다양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형태일 뿐만 아니라 어도 출구의 월류격벽 낙차가 너무 크고 과도한 유량이 유입되기 때문에 유영력이 약한 어류가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어도는 유영력이 큰 강준치와 누치 이외의 다른 어류에 대해서는 소상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도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류가 이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어도 구조를 변경하고, 어도 시설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동보를 운영하여야 한다. 또한 고정보 전체의 상시 월류로 인해서 생기는 어도의 설치효과 저하에 대해서는 저수로 양안 측에 어도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scending functions of the pool-and-weir fishway which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upstream migration of migratory fish at Jamsil Weir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was assessed by applying tile Existing Fishway Measurement Method, and measures to improve these functions were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접 조사법의 개념으로 어도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잠실 수중보 계단식 어도를 이용해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어도의 수리 특성에 영향을 미고 있는 잠실수중보의 수위조절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어도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어류가 낙하 수류의 속도를 극복하고 상류로 도약하여 이동할 수 있는 지 여부가 계단식 어도의 기능을 좌우할 것이다. 따라서 잠실 수중보 어도에서 최대 낙차를 나타내는 어도줄구부의 유속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특별시 한강공원 관리사업소의 매시간별 가동보의 운영기록(서울특별시, 한강공원 관리사업소, 2002)으로부터 각 조사기간 동안 어도 출구격벽 정부의 수심을 구하였다.
  • 본 연구는 한강하류부 잠실수중보의 계단식 어도에 대한 어류소상기능을 평가한 것으로서, 설치어도 조사법을 적용하여 회유성 어류소상 기능을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진홍, 김철 (1994), '어족의 소상을 위한 계단식 어도 수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7권 2호, pp.63-72 

  2. 김진홍 (1996). '계단식 어도에서 격벽형상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및 어류의 상류이동'.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29권 6호, pp225-235 

  3. 박상덕 (2000). '어도와 어류역학'.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2호, pp31-40 

  4. 박상덕 (2001a). '은어 이동통로'. 은어가 돌아오는 한강 심포지엄. 서울특별시. pp.49-61 

  5. 박상덕 (2001b). '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 평가(II) -사다리식 어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4호, pp377-391 

  6. 박상덕 (2001c). '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 평가(II)-계단식 어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4호, pp.393-402 

  7. 박상덕, 김동하, 최백순, 군순민 (2001). '어도의 회유성 어류 소상능력 평가-연곡천을 중심으로'. 2001년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논문집(CD), 대한토목학회 

  8. 변화근 (1998). '어류'. 한강생태계조사연구보고서 제13장. 서울특별시. pp.357-391 

  9. 변화근 (2002) '한강의 생물상 현황 어류'. 서울특별시 한강생태조사연구보고서 제2장. 서울특별시. pp.243-250 

  10. 서울특별시, 시설안전기술공단 (1999). 잠실수중보 정밀 안전진단 보고서. pp.9-14 

  11. 서울특별시, 한강공원관리사업소 (2002). 잠실수중보 운영 및 수위기록(5월, 6월) 

  12. 서울특별시 (2002). '한강 어류수중서식공간 확충방안'.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보고서. pp.647-711 

  13. 신문섭 (1998). '어도의 설계방향'. 동해안지역 회유성 어류를 위한 하천 생태환경 보전. 강릉대학교 동해안지역연구소 심포지움 발표논문집. pp.7-19-36 

  14. 이완옥 (2001). '은어서식 환경으로서 한강의 평가 및 개선방안'. 은어가 돌아오는 한강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서울특별시. pp.31-45 

  15. 전상린 (1990). '서울 한강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조사연구'. 서울특별시 한강생태계조사연구보고서 제14장. 서울특별시. pp.445-453 

  16. 조규송, 변화근, 최재석 (1994). '어류'. 한강생태게조사 연구보고서 제14장. 서울특별시. pp.339-373 

  17. 최기철 (1987). '서울의 한강에 서식하는 담수어에 관하여'. 서울특별시 한강생태계조사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pp.297-322 

  18. 최기철 (1996). 우리 민물고기 백가지. 현암사. p.532 

  19. 해양수산부(1999). 어도시설 표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최종연구보고서. 강릉대학교. pp.192-194 

  20. 황종서 (2000). '영암호 갑문식어도를 통한 어류 회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5호, pp561-568 

  21. 中村俊六 (1995). 魚道のはなし. 山海堂 

  22. Aaserude, R. G. and Orsborn F. F. (1985). New Concept of Fish Ladder Design. Final Project Report, part 2, Results of Laboratory and Field Research on New Concepts in Weir and Pool Fishways. US Department of Energy, Bonneville Power Administration, Division of Fish and Wildlife. Washingto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pp.11-29 

  23. Peake, S., McKinley R. S. and Scruton D. A. (1997). 'Swimming performance of various freshwater Newfoundland salmonids relative to habitate selection and fishway design'. Journal of Fish Biology, FSBI, Vol 51, pp.710-72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