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제보에 설치된 자연형 어도의 어류 이용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Fish Utilization of the Nature-like Fishway Installed at the Beakjae Weir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4, 2015년, pp.212 - 218  

김정희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윤주덕 (공주대학교 생물자원연구센타) ,  박상현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이진웅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백승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장민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다양한 어종이 이용할 수 있는 자연형 어도가 한국에 다수 건설되고 있지만 건설된 어도에 대한 어류 이용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백제보에 건설된 자연형어도에 대해서 어류 이용 현황 및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 2013년 4월부터 10월까지 월 1회 이상 어도 출구부에 일각망을 설치하여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또한 어도를 이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어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백제보 하류 (금강 본류)의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어도를 이용한 어류는 총 2과 10종으로 본류에서 채집된 어종의 64%가 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도 주요 이용어종은 됭경모치였으며, 눈불개와 끄리 역시 어도를 다수 이용하였다. 가장 많은 개체가 이용한 시기는 8월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온과의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Spearman rank correlation, $r_s$=0.743, P=0.035). 어도 이용개체의 전장 범위는 39 mm~550 mm로 다양한 크기의 어류가 어도를 이용하였으며, 시간대별 어도 이용 특성을 분석 한 결과 해가 없는 야간, 일출 시간대 (20:00~08:00)에 어도를 주로 이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백제보 자연형 어도는 금강에 설치된 다른 어도와 비교하여 이용어종의 다양성 및 개체수가 빈약하게 나타났다. 이는 어도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유인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며, 따라서 유인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백제보 자연형 어도의 운영 및 관리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국내 실정에 적합한 자연형 어도를 개발 및 건설하는 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outh Korea, various nature-like fishways recently been installed for use by a wide variety of fish species. However, limited attempts have been made to monitor the fish utilization.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frequencies and patterns of utilization of the fishway install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 어도 출구부에 일각망을 설치하여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를 파악하였으며, 시기별·시간별 어도이용 패턴을 파악하였다. 또한 추가로 백제보 자연형 어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어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백제보 자연형 어도의 관리뿐만 아니라 국내 실정에 적합한 자연형 어도를 건설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2012년 신규로 건설된 백제보 자연형 어도의 어류 이용현황 및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어도 출구부에 일각망을 설치하여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를 파악하였으며, 시기별·시간별 어도이용 패턴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에서 수자원의 활용을 위한 구조물 건설이 초래하는 결과는 무엇인가? 하천에서 수자원의 활용을 위한 구조물 건설은 하천의 종적 연결성(longitudinal connectivity)과 유수 생물(lotic organisms)이 이용 가능한 서식처를 감소시킨다 (ReyesGavilán et al., 1996; Rosenberg et al.
4대강 사업을 통해 건설된 자연형 어도는 몇 개인가? 2009~2012년 국내에는 홍수예방과 생태복원을 목표로 “4대강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사업의 일환으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본류에 16의 대형 보가 건설되었다. 보의 건설로 단절된 연결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보별로 1~2개의 어도가 건설되었으며, 이 중 자연형 어도가 8개로 가장 많이 건설되었다.
어도가 건설되는 목적은 무엇인가? 이는 하천에 서식하는 많은 어류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이동성이 강한 어류 개체군에 있어서 멸종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Northcote, 1998). 따라서 하천의 연결성을 증가시켜 생물의 이동성 및 다양성 확보를 위해, 이동통로의 역할을 하는 어도가 건설되고 있다(Clay,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gostinho, A.A., L.C. Gomes, D.R. Fernandez and H.I. Suzuki. 2002. Efficiency of fish ladders for neotropical ichthyofaun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18: 299-306. 

  2. Breton F., A.B.M. Baki, O. Link, D.Z. Zhu and N. Rajaratnam. 2013. Flow in nature-like fishway and its relation to fish behaviour.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40: 567-573. 

  3. Bunt, C.M., T. Castro-Santos and A. Haro. 2012. Performance of fish passage structures at upstream barriers to migration.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8: 457-478. 

  4. Choi, J.W. and K.G. An. 2014. The Evaluations of Fish Survival Rate and Fish Movements using the Tagging Monitoring Approach of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s (PIT).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 1495-1505. 

  5. Clay, C.H. 1994. Design of fishways and other fish facilities. Lewis Publishers, Florida. 

  6. Jonsson, N. 1991. Influence of water flow, water temperature, and light on fish migration in rivers. Nordic Journal of Freshwater Research 66: 20-35. 

  7.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8. Larinier, M., M. Chanseau, F. Bau and O. Croze. 2005. The use of radio telemetry for optimizing fish pass design, p. 53-60. In: Aquatic Telemetry: Advances and Applications (Spedicate, Lembo M.T., G. Gerd and M. Gerd, eds.). Proceedings of the Fifth Conference on Fish Telemetry Held on 9-13 June 2003, Ustica, Italy. 

  9. Lee, J.W., J.D. Yoon, J.H. Kim, S.H. Park, S.H. Baek, J.H. Yoon and M.H Jang. 2015. Efficiency analysis of the ice harbor type fishway installed at the Gongju Weir on the Geum River using trap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3: 75-82. 

  10. Lucas, M.C. and E. Baras. 2001. Migration of freshwater fishes. Blackwell Science, Oxford. 

  11. Mallen-Cooper, M. and I.G. Stuart. 2007. Optimising Denil fishways for passage of small and large fishes. Fisheries Management and Ecology 14: 61-71. 

  12. Moser, M.L., A.M. Darazsdi and J.R. Hall. 2000. Improving passage efficiency of adult American shad at low-elevation dams with navigation locks. North American Journal of Fisheries Management 20: 376-385. 

  13. Nelson, J. 1994. Fishes of the world. Wiley, New York. 

  14. Northcote, T.G. 1998. Migratory behaviour of fish and its significance to movement through riverine fish passage facilities. Fish migration and fish bypasses, Fishing News Books, Oxford. 

  15. Pander, J., M. Mueller and J. Geist. 2013. Ecological functions of fish bypass channels in streams: migration corridor and habitat for rheophilic species.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9: 441-450. 

  16. Parasiewicz, P., J. Eberstaller, S. Weiss and S. Schmutz. 1998. Conceptual guidelines for nature-like bypass channels, p. 348-362. In: Migration and fish bypasses (Jungwirth, M., S. Schmutz and S. Weiss, eds.). Fishing News Books, Oxford. 

  17. Porcher, J.P. and F, Travade. 2002. Fishways: biological basis, limits and legal considerations. Bulletin Francais de la Peche et de la Pisciculture 364: 9-20. 

  18. Reyes-Gavilan, F.G., R. Garrido, A.G. Nicieza, M.M. Toledo and F. Brana. 1996. Fish community variation along physical gradients in short streams of northern Spain and the disruptive effect of dams. Hydrobiologia 321: 155-163. 

  19. Roscoe, D.W. and S.G. Hinch. 2010. Effectiveness monitoring of fish passage facilities: historical trends, geographic patterns and future directions. Fish and Fisheries 11: 12-33. 

  20. Rosenberg, D.M., F. Berkes, R.A. Bodaly, R.E. Hecky, C.A. Kelly and J.W. Rudd. 1997. Large-scale impacts of hydroelectric development. Environmental Reviews 5: 27-54. 

  21. Santos, J.M., M.T. Ferreira, F.N. Godinho and J. Bochechas. 2005. Efficacy of a nature-like bypass channel in a Portuguese lowland river. Journal of Applied Ichthyology 21: 381-388. 

  22. Stuart, T.A. 1962. The leaping behavior of salmon and trout at falls and obstruction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for Scotland, Freshwater and Salmon Fisheries Research,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28, Edinburgh, Scotland. 

  23. Ward, D.L., O. Eugene Maughan, S.A. Bonar and W.J. Matter. 2002. Effects of temperature, fish length, and exercise on swimming performance of age-0 flannelmouth sucker.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1: 492-497. 

  24. Webb, P.W. 1998. Entrainment by river chub Nocomis micropogon and smallmouth bass Micropterus dolomieu on cylinder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1: 2403-2412. 

  25. Yang, H.J., K.H. Kim and J.D. Kum. 2001.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4: 251-258. 

  26. Yoon, J.D., J.H. Kim, G.J. Joo, J.W. Seo, H. Pak and M.H. Jang. 2011. Freshwater Fish Utilization of Fishway Installed in the Jangheung D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4: 264-2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