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도심형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환경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대동경소재 5개 시설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Design for Nursing Home in Japan - Focused on 5 Facilities in Tokyo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3 no.5 = no.46, 2004년, pp.143 - 153  

윤영선 (극동정보대학 인테리어디자인과) ,  변혜령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to assess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with geriatric diseases in Japan, and to prepare the knowledge basis to develop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with geriatric diseases in Korea. For this, researcher visited 5 facilities in Tokyo from October 3 to October 9 in 2002, col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본 도심지의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환경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한 후, 분석된 틀을 사용하여 환경디자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결론 및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환경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을 개발한 후, 지역사회와 연계된 노인전문요양시설 계획이 바람직하다는 전제 하에 생활권에서 가까운 근거리권에 위치하며 최근 개발된 도심형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환경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자료 수집은 본 연구자와 일본 현지의 석, 박사대학원 재학생 5인이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본 연구자와 노인전문요양시설 연구 경험이 있는 연구원을 포함한 2인이 3회에 걸친 교차분석방식을 진행하여 분석상의 신뢰도를 높이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통계청, 장례인구추계결과 보도자료, 2001.11 

  2. 김대년 외 유료 치매노인 그룹홈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집단간 차이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3호, 2003 

  3. 김성한 외, 노인전문병원의 주요부분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7호, 2002 

  4. 류승수 외, 치매요양시설에서의 치료적 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7호, 2002 

  5. 문창호, 미국 노인주거시설의 건축적 특성과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5호, 2002 

  6. 문창호,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건축계획기준에 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권 2호, 2003 

  7. 박정아, 유니버설디자인 환경 및 제품의 디자인 특성에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8. 변혜령, 치매노인시설을 위한 환경디자인 이론과 실제의 연계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9. 서기영 외, 도시형 유료노인복지시설의 모형 개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8호, 2002 

  10. 소준영 외, 일본 신체장애인복지센터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1호, 2003 

  11. 양금석, 노인전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생활행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9호, 2002 

  12. 오은진 외, 치매노인의 행동특성과 거주환경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6권 6호, 2000 

  13. 오은진, 요양원 건축의 치료적 환경특성과 치매노인행동의 상호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4. 윤영선, 일본 노인전문요양시설 공용공간의 행동장면 특성과 공간적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발표집, 5호, 2003 

  15. 이민아. 유옥순,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소재 5개 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3권 1호, 2004 

  16. John Zeisel, Joan Hyde, & Sue Levkoff. Best Practices : an environment-behavior(E-B) model for Alzheimer special care units.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Vol. 9, No.2. 1994 

  17. Rudolf H. Moos & Sonne Lemke. Evaluating Residential Facilities: The Multiphasic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dure. Sage Pubns. 1996 

  18. Uriel Cohen & Kristen Day. Contemporary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3 

  19. 윤영선, 特別養護老人ホ-ムの居許環境評?に關する硏究, 日本學術振興財? 硏究報告書, 2002 

  20. 日本?療福祉健築協會(JIHA), ?療福祉用語の基礎知識 病院建築 51-136 ?, 2002 

  21. 祉?法人シルバ一サ一ビス振興會, 老人保建福祉施設建設マニユァル - 1.介護老人福祉施設, 中央法規,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