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노인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공간디자인
Space Design Based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5 no.5, 2004년, pp.59 - 67  

오찬옥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spac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achieve thi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grasped, and the design cases which were considered and reflected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기 위해서는 치매노인은 비치매노인과 비교해 볼 때 어떠한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을 수용해 주는 공간디자인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배려한, 치매노인의 치료와 보호를 지원해주는 공간디자인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과 관련된 치매노인의 행동 특성과 치매치료에 효과적인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문헌연구와, 치매노인의 행동특성을 배려하여 디자인된 공간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기 위한 현장 조사연구로 진행하였다. 현장조사연구의 주대상은 미국 미네아폴리스에 있는 JHR과 EC시설로 현지의 노인시설 디자인 전문가가 디자인이 잘 된 시설로 추천해 준 곳이며, 치매노인을 위한 시설과 노인생활보조시설(assisted living)이 같이 있는 노인시설이었다.
  • 이상 치매노인의 행동특성과 치매치료에 효과를 보인 공간디자인 사례와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매 노인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공간디자인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권순정(2003), 노인의 특성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건축계획, 건축, 25-29 

  2. 류승수·김광배·이경훈(2002), 치매요양시설에서의 치료적 환경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권 5호, 3-11 

  3. 박경원(2001), 치매의 정의와 원인, 치매이해시민강좌 교재 

  4. 변혜령(2001), 치매노인시설을 위한 환경디자인 이론과 실제의 연계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송혜정·오은진·김종인(2001), 치매전문요양시설의 치매증상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 21권 제2호 

  6. 오은진(2000), 요양원 건축의 치료적 환경특성과 치매노인행동의 상호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오은진·김민규·박영기(2000), 치매노인의 행동특성과 거주환경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권 6호 

  8. 이상훈(1997),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9. 이영숙·박경란·전귀연(1999), 가족문제론, 학지사 

  10. 이정민·유영민(2000), 치매노인전용병원의 병동부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0권 2호. 299-302 

  11. 이정희 외(1999), 치매상담매뉴얼, 보건복지부 

  12. 이혜진(2001), 원예치료가 치매치유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3. 조영행(2003), 영국 치매요양소 3곳의 배회환경평가를 통한 개선안,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제14권 3호, 41-50 

  14.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7), 치매관리 Mapping 개발연구 

  15. Cohen, U. & Weisman, G.D.(1991), Holding on to Home: Designing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16. Regnier, Victor(2002), Design for Assisted Living : Guidelines for Housing the Physically and Mentally Frail, John Wiley & Son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