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분에서의 조단백질 및 환원당 추출시 단백질 분해효소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ases on the Extraction of Crude Protein and Reducing Sugar in Poll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8, 2004년, pp.1353 - 1358  

최수정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충매 화분인 도토리 화분과 다래 화분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화분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의 조단백질 함량과 환원당 함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도토리화분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5.2%, 회분 2.7%, 조지방 6.2%, 조단백질 함량은 22.3%였고, 다래화분은 수분 5.4%, 회분 2.8%, 조지방 1.8%, 조단백질 함량은 27.8%였다. Casein을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한 효소의 비환성 (specific activity U/mg)은 Protease S>Flavozyme>Alcalase 2.4L>Protamex>Protease P>Protease A의 순이었다.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화분 추출물의 조단백질 함량은 효소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증가했고, Alcalase 2.4L을 0.2 U, 0.5 U 첨가시에 도토리 화분 추출물은 대조군보다 각각 35.8%, 45.8%, 다래 화분 추출물은 각각 68.8%, 101.5% 증가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화분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은 효소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증가했고, Protease A를 0.2 U, 0.5 U 첨가 시 도토리 화분 추출물은 대조군보다 각각 11.4%, 18.4%, 다래 화분 추출물은 대조군보다 각각 12.2%, 14.2% 증가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 처리에 의해 화분 추출물의 조단백질과 환원당의 함량이 증가되었고, 단백질 분해 효소는 화분 추출물의 조단백질 및 환원당 함량을 높이는 방법 중의 하나로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crude protein and reducing sugar contents in pollen extracts by proteases. Four commercial neutral proteases (Alcalase 2.4L, Protamex, Flavozyme and Protease A) and two alkaline proteases (Protease S and Protease P) were used to prepare acorn and Darae pollen ex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화분 영 양 성 분의 추출을 위 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화분 추출물을 제조하고 화분 추출물의 조단백질과 환원당 함량이 증가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BY, Choi HD, Hwang JB. 1997. Component analysis of Korean pollens and polle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69-875 

  2. 최승윤. 1982. 양봉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3. Wodehouse RP. 1935. Pollen grains off-setedition. Harfner, New York 

  4. Erdtman G. 1952. Pollen morprology and plant taxonomy. Academic Press, New York 

  5. Blancjard GC, Gardner R. 1976. Characterization of some of the enzyme in Ragweed pollen. Annals of Allergy 36: 410-418 

  6. Vivino AE, Palmer LS. 1944.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value of pollen collected by bees. Arch Biochem 4: 129-136 

  7. Anderson RJ, Kulp WL. 1922. Analysis and composition of corn pollen. J Biololical Chemistry 50: 433-435 

  8. Nelsen N, Grommer J, Lunden R. 1955. Investigations on chemical composition of pollen from same plant. Acta Chem 9: 1100-1106 

  9. Lunder R. 1954. Literature on pollen chemistry. Addison- Wesley, London. p 66, 201 

  10. Spector WS. 1956. Handbook of biological data. WB. Saunders, Philadelpia & London. p 87 

  11. Elser E, Ganzuller J. 1930. Die chemishe zusammensetzung einiger blutenstaubartern. Z Physical Chem 194: 21-28 

  12. Togasawa Y, Katsumata T, Ota T. 1967. Biochemical studies on pollen (inorganic components and phosphorus compound of pollen). Nippon Nogei Kagaku Kaishi 41: 178- 183 

  13. Ichikawa C. 1936. Biochemical studies of pollen. J Agr Chem Soc Japan 12: 1117-1125 

  14. Todd FE, Bretherick U. 1942. The composition of pollen. J Econ Entormol 35: 312-316 

  15. Sagromsky H. 1947. Uber einige bestimmungen des vitamin B gehaltes von pollen mit hilfe des phycomyces testes. Biol Zentr 66: 140-146 

  16. Togasawa Y, Katsumata T, Fukata M, Motoi T. 1967. Biochemical studies of pollen (vitamin of pollen). Nippon Nogei Kagaku Kaishi 41: 184-190 

  17. Suk KD, Kim MK. 1983. Gross chemical analysis for honey and pollen load. Korean J Phamacogn 14: 83-92 

  18. Kim JW, Shin SC, Kim BK. 1984. Studies on pollen preparations as a health food (I). Korean J Phamacogn 15: 147- 149 

  19. Kim JH, Lee KH, Kim ES, Park SB. 1992. A study on components of pollen load. J Korean Soc Food Nutr 21: 566- 572 

  20. Suk KD, Kim MK. 1983. Identification of floral type for honey and pollen load. Korean J Phamacogn 14: 197-200 

  21. Chung YG, Yoon SH, Kwon JS, Bae MJ. 1984. Nutrition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the pollen loads studies on lipld compositions of sunflower pollen load and effects of its pollen load on liver cholesterol metabolism in mouse. J Korean Soc Food Nutr 13: 169-174 

  22. Kwon CS, Yoon SH. 1986. Effect of pollen load on chloroform induced hepatic and renal damage in rats concerning pathohistological aspects. J Korean Soc Food Nutr 15: 229-234 

  23. Kwon CS, Cho SY, Park JM, Hub K. 1989. Nutritional biochemical study on the pollen load effect of azalea pollen on the hepatic microsmal aniline hydroxylas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18: 93-100 

  24. Kwon CS, Cho SY, Chung HJ, Park JM, Hub K. 1989. Nutritional biochemical study on the pollen load-effect of azalea pollen on the aniline induced hepatotoxicity. J Korean Soc Food Nutr 18: 239-246 

  25. Yoon SH, Kang JH, Kwon CS. 1989. Effects of azalea pollen on the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J Korean Soc Food Nutr 18: 363-371 

  26. Yoon SH, Park EJ. 1992. A Study for new hepatotropic agents natural resources- the effect of azalea pollen on aromatic toxicants induced hepatotoxicity. J Korean Soc Food Nutr 27: 341-347 

  27. Kwon CS, Yoon SH. 1986. Nutrition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the pollen load 3-the effect of pollen load on the chloroform-induced hepatic and renal damage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15: 235-242 

  28. Tyler VE, Brady LR, Robbers JE. 1986. Pharmacognosy. 8th ed. Lee and Febiger, Philadelphia. p 426-448 

  29. Lindahl O. 1982. Pollen. Forlags AB, ed. Johanneshoc, Phil- adelphia. p 136 

  30. Peng YS, Nedhat N, Masston JM. 1986. Release of alfalfa medicago sativa pollen cytoplasm in the gut of the honey bees. Physiol Entomol 79: 804-807 

  31. Kim DS. 1989. Effect of larva gut enzyme on polle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04-408 

  32. Kim JG, Son JH. 1990. Progress of chemical composition on pulverization of pollen. Korean J Apiculture 5: 23-30 

  33.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34. Jensen DE. 1972. Continuous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 by Bacillus subtilis in a two stage fermenter. Biotechnol Bioeng 14: 647-662 

  35. Somogyi M. 1952. Notes on sugar determination. J Biol Chem 195: 19-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