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minaria japonica를 이용하여 탄수화물과 환원당 생산을 위한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refinery Process Using Laminaria japonica for the Production of Carbohydrate and Reducing Suga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5, 2019년, pp.627 - 632  

김지현 ((주)씨케이바이오텍) ,  하정협 (평택대학교 환경융합시스템학과) ,  최석순 (세명대학교 바이오환경공학과) ,  박종문 (포스텍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호기성 혼합 균주의 기질로서 Laminaria japonica를 사용하여 수용성 당과 환원당을 생산하였다. Laminaria japonica는 대표적인 갈조류 바이오매스로 높은 생장율, 저렴한 가격 및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에 적용된 당화공정은 호기성 혼합 균주를 배양 및 순응시켜서 안정화하였다. 수용성 당과 환원당의 생산이 각기 다른 수리학적 체류시간에서 관찰되었으며, 당화 효율은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낮출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연속식 공정을 이용하여 1 day의 수리학적 체류시간 조건에서 최대 당화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17.96 g/L/day의 가용화된 탄수화물과 4.30 g/L/day의 환원당을 수득하였다. 그러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0.5 day로 낮추었을 때 당화수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Laminaria japonica가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통하여 유용물질을 생산하기에 매우 적합한 바이오매스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혼합균주를 이용한 연속 생물학적 전처리 시스템이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에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Laminaria japonica was used as a substrate for a mixed aerobic microbial consortium. Laminaria japonica is well-known as a representative brown algal biomass possessing advantages of cheap cost, and high productivity and carbohydrate content. A biological saccharification system was 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갈조류 다당류의 생물학적 전처리를 위해 갈조류의 분쇄물에 특정 미생물을 첨가하거나 유전자 조작된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전처리 공정이 개발되었으나[12,13], 다당류의 분해속도가 늦고 만니톨과 같은 유용한 단당류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전자 변형 균주의 경우 통제된 연구실에서 벗어날 경우 잠재적 위험에 대해 우려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수확되고 있는 다시마를 실험에 적용하여 고부가가치 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질 생산의 일환으로 생물학적 연속 당화생산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회분 및 연속공정을 도입하여 전처리 효율의 최적화 조건을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조류 고상 바이오매스의 저비용 및 고효율 당화 조건을 알아보았다.
  • 5 day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적용한 3, 4단계에서는 TS 농도가 더 증가하여 38 및 42 g/L의 농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기질로 사용된 갈조류 바이오매스는 2세대 바이오매스가 지닌 난분해성 리그닌이 없으므로 유기 고상 혼합물 TS 성분을 효율적으로 생물학적 전처리를 하여당화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aminaria japonica의 특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호기성 혼합 균주의 기질로서 Laminaria japonica를 사용하여 수용성 당과 환원당을 생산하였다. Laminaria japonica는 대표적인 갈조류 바이오매스로 높은 생장율, 저렴한 가격 및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에 적용된 당화공정은 호기성 혼합 균주를 배양 및 순응시켜서 안정화하였다.
효율적인 바이오리파이너리 생산 시스템의 개발에 융⋅복합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3세대 바이오매스로 분류되는 해조류는 여타 바이오매스에 비해 생장속도가 높아 원료 수급이 용이하고 바다를 이용하기 때문에 재배 가용면적이 넓으며 총에너지 전환수율이 높아 대체 바이오매스로 주목받고 있다[7-9]. 대형조류는 홍조류, 갈조류, 녹조류로 나누어지며, 이들의 성장과 구성성분은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절별, 지역별로 두 개체가 다르게 결정된다. 해양 바이오매스로 대표적인 갈조류의 경우 알긴산(alginate), 라미나란(laminaran) 등의 난분해성 다당류와 만니톨(mannitol) 등의 단당류가 주요 탄수화물이며 이 중 알긴산과 만니톨이 건조 중량대비 구성함량이 높다[10,11]. 따라서 조류별 각 성분의 특징에 따라 당화, 발효 공정이 달라지므로 융⋅복합적 접근을 통하여 효율적인 바이오리파이너리 생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3세대 바이오매스인 해조류의 장점은 무엇인가? 3세대 바이오매스로 분류되는 해조류는 여타 바이오매스에 비해 생장속도가 높아 원료 수급이 용이하고 바다를 이용하기 때문에 재배 가용면적이 넓으며 총에너지 전환수율이 높아 대체 바이오매스로 주목받고 있다[7-9]. 대형조류는 홍조류, 갈조류, 녹조류로 나누어지며, 이들의 성장과 구성성분은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절별, 지역별로 두 개체가 다르게 결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 S. Nigam and A. Singh, Production of liquid biofuels from renewable resources, Prog. Energy Combust. Sci., 37, 52-68 (2011). 

  2. B. Dien, M. Cotta, and T. Jeffries, Bacteria engineered for fuel ethanol production: Current status, Appl. Microbiol. Biotechnol., 63, 258-266 (2003). 

  3. K. A. Jung, S.-R. Lim, Y. Kim, and J. M. Park, Potentials of macroalgae as feedstocks for biorefinery, Bioresour. Technol., 135, 182-190 (2013). 

  4. A. Hendriks and G. Zeeman, Pretreatments to enhance the digestibility of lignocellulosic biomass, Bioresour. Technol., 100, 10-18 (2009). 

  5. Y. Sun and J. Cheng, Hydrolysis of lignocellulosic materials for ethanol production: A review, Bioresour. Technol., 83, 1-11 (2002). 

  6. R. E. Sims, W. Mabee, J. N. Saddler, and M. Taylor, An overview of second generation biofuel technologies, Bioresour. Technol., 101, 1570-1580 (2010). 

  7. P. Fasahati and J. J. Liu, Process simulation of bioethanol production from brown algae, Cellulose, 6, 6-13 (2012). 

  8. H. R. Park, Production of Organic Acids from Seaweed Biomass (Laminaria japonica) using a Continuous Mixed Culture System, Graduate School of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S Thesis, Pohang, Korea (2012). 

  9. S. Fernando, S. Adhikari, C. Chandrapal, and N. Murali, Biorefineries: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 Energy Fuel., 20, 1727-1737 (2006). 

  10. H. A. Kim, Enterobacter sp. JMP3, a Potent Bacterium for the Production of Value Added Products from Marine Algal Biomass, Laminaria japonica,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S Thesis, Pohang, Korea (2011). 

  11. J. Cronshaw, A. Myers, and R. Preston, A chemical and physical investigation of the cell walls of some marine algae, Biochim. Biophys. Acta, 27, 89-103 (1958). 

  12. F. A. Keller, J. E. Hamilton, and Q. A. Nguyen, Microbial pretreatment of biomass. Appl. Biochem. Biotech., 105, 27-41 (2003). 

  13. L. Ge, P. Wang, and H. Mou, Study on saccharification techniques of seaweed wastes for the transformation of ethanol, Renew. Energy, 36, 84-89 (2011). 

  14.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PHA), Washington DC, USA (1998). 

  15. M. Dubois, K. A. Gilles, J. K. Hamilton, P. T. Rebers, and F. Smith,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956). 

  16. R. Bottle and G. Gilbert, The use of alkaline reagents to determine carbohydrate reducing groups, Analyst, 83, 403-406 (1958). 

  17. R. P. John, G. Anisha, K. M. Nampoothiri, and A. Pandey, Micro and macroalgal biomass: A renewable source for bioethanol, Bioresour. Technol., 102, 186-193 (2011). 

  18. M. Daroch, S. Geng, and G. Wang, Recent advances in liquid biofuel production from algal feedstocks, Appl. Energy, 102, 1371-1381 (2013). 

  19. H. M. Jang, J. H. Ha, J. M. Park, M. S. Kim, and S. G. Sommer, Comprehensive microbial analysis of combined mesophilic anaerobic-thermophilic aerobic process treating high-strength food wastewater, Water Res., 73, 291-30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