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딸기 병걸린 식물잔재물과 토양에서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Glomerella cingulata의 월동과 생존
Overwinter and Survival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Glomerella cingulata in Soil and Plant Debris of Strawberry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0 no.3, 2004년, pp.198 - 202  

남명현 (충남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  송정영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김홍기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1년∼2002년에 탄저병을 심하게 발병시킨 딸기 재배포장의 식물체 조직에서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Glomerella cingulata의 월동과 토양에서의 생존유무를 조사하였다 식물체의 엽병, 런너, 관부에서 월동 생존율은 각각 68.7%, 14.3%, 36.7%였다. 그러나 포장조건하에서 분생포자는 토양의 표면, 3, 5, 10cm 깊이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C. gloeosporioides와 G. cingulata의 토양과 이병잔재물에서의 생존력을 비교 조사하기 위해 온도와 수분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한 다음 경시적으로 분리비율을 조사하였다. 분생포자는 모든 처리에서 10일 이내에 개체군이 40%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많이 사멸되었다. 토양 속에서 G. cingulata 분생포자의 생존율은 C. gloeosporioides와 비슷하였다. 분생포자의 생존율은 온도가 낮고 건조한 토양일수록 높았고 토양 온도와 습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토양에 묻어둔 감염된 엽병분석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verwinter and survival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Glomerella cingulata in strawberry tissues under field conditions was investigated in 2001 and 2002. The rates of overwinter survival in plant petiole, runner and crown were 68.7,14.3, and 26.7%, respectively. But, under field cond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도 5월과 7월 육묘포의 토양에서는 탄저병균이 검홀되지 않고 모주를 통한 천염 가능성을 확인하였지만&im 등, 2002) 탄저병균의 월동가능성과 토양에서의 생존조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보고된 딸기탄저병균 C. gloeosporioides와 G. ci, ig"lata의 토양 및 이병잔재물에서 월동 가능성과 토양 속에서의 생존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grios, G. N. 1997. Plant Pathology. Fourth edition. pp330-331 

  2. Dillard, H. R. and Cobb, A. C. 1993. Survival of Colletotnchum lindemuthianum in bean debris in New York state. Plant Dis. 77: 1223-1228 

  3. Dillard, H. R. and Cobb, A. C. 1998. Survival of Colletotrichum coccodes in infected tomato tissue and in soil. Plant Dis. 82: 235-238 

  4. Eastburn, D. M. and Gubler, W. D. 1990. Strawberry anthracnose: Detection and survival of Colletotrichum acutatum in soil. Plant Dis. 74: 161-163 

  5. Ekefan, E. J., Simons, S. A., Nwankiti, A. O. and Peters, J. C. 2000. Semi-selective medium for isoladon of Colletotrichum gtoeosporioides from soil. Experimental agriculture 36: 313- 321 

  6. Horn, N. L. and Carver, R. G. 1968. Overwintering of Colletotrichum fragariae in strawberry crowns. Phytopathology 58: 540-541 

  7. Khan, M. and Sinclair, J. B. 1991. Effect of soil temperature on infection of soybean roots by sclerotia-forming isolates of C. truncatum. Plant Dis. 75: 282-285 

  8. Kim, H. G. and Nam, M. H. 1999. Anthracnose of strawberry in Korea. Plant Dis. Agric. 5(1): 8-13 

  9. Kim, S. H., Kim, D. G., Choi, S. G., Yoon, J. T. and Lee, J. T. 2002. Primary inoculum of strawberry anthracnose in nursing field. Res. Plant Dis. 8(4): 228-233 

  10. Kim, W, G., Cho, W. D. and Lee, Y. H. 1992. Anthracnose ofstrawberry caused by CoI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 Korean J. Plant Pathol. 8(3): 213-315 

  11. Nam, M. H., Jung, S. K., Yoo, S. J., Seo, K. S. and Kim, H. G. 1998. Cultural and pathogenic characteristics between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Glomerella cingulata isolated from strawberry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14(6): 654-660 

  12. Norman, D. J. and Strandberg, J. 0. 1997. Survival of Colletotrichum acutatum in soil and plant debris of leatherleaf fern. Plant Dis. 81: 1177-1180 

  13. Urena-Padilla, A. R., Mitchell, D. J. and Legard, D. E. 2001. Oversummer survival of inoculum for Colletotrichum crown rot in buried strawberry crown tissue. Plant Dis. 85: 750-754 

  14. Wilson, L. L., Madden, L. V. and Ellis, M. A. 1992. Overwinter survival of Colletotrichum acutatum in infected strawberry fruit in Ohio. Plant Dis. 76: 948-950 

  15. Yoshida, S. and Shirata, A. 1999. Survival of Colletotrichum dematium in soil and infected mulberry leaves. Plant Dis. 83: 465-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