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80년대 이후 한국 주거문화에 나타난 근대화의 재평가
Revaluation of the Modernization in the Korean Housing Culture Since 1980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2 no.5 = no.71, 2004년, pp.59 - 73  

은난순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1980s' Korea had a great change on the housing culture by the supply of multi-family housing stock both on the macro-social and micro-soci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s which were estimated its modernizatio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자촌 아파트(1988)에서는 복층형의 평면형태가 반포아파트 이후 다시 등장하였는데, 아래층은 큰방과 거실을 중심으로 한 부엌과 식당이 배치되었다(<그림10>참조). 공간에 있어 획일화되어 가던 경향은 소비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많이 부여함으로써 그 오명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소비자 역시 남들과 똑같이 살기 싫은 욕구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 옵션들을 선택하게 되고 이전과는 다른 형태의 주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 소비자 역시 남들과 똑같이 살기 싫은 욕구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 옵션들을 선택하게 되고 이전과는 다른 형태의 주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개별가구의 지나친 욕구 중족은 단지 선택적으로 주어지는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개조와 같은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실현하고자 하였다. 개성을 살리기 위해 충분히 이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 개조는 거실 확장 등 표면적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질되기 시작했고, 이것 역시 모델하우스 등을 통해 상업적으로 이용되면서 또 다른 형태의 획일화된 모습으로 남게 되었다.
  • 첫째, 거시적 측면에서 볼 때 80년대 이후 주거환경의 근대화적 성과는 무엇이며, 이로 인해 달라진 주거문화의 특성은 어떠한지 규명한다. 둘째, 주택 관련 산업의 발달이 가져온 근대적 주거생활의 질적 향상은 무엇이며 부작용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밝힌다. 셋째, 물리적 성장이 가져온 생활상의 변화는 어떠한지 미시적 시각으로 분석함으로써, 물리적 성장으로만 논하였던 주거 근대화의 왜곡된 모습을 밝히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80, 90년대에 나타난 근대화로 평가되는 주거환경의 변화와 그 속에서 보여지는 물질주의와 개개인의 삶을 거시적 . 미시적 시각의 두 측면으로 조명해 봄으로써, 공동주택에서 나타난 근대화 특성과 그 왜곡된 모습을 재평가하는데 있다.
  • 그렇다면 시설, 설비, 위생 등의 발전을 통해 근대화된 공간과 거주자가 맺게 되는 관계를 통해 형성된 주거문화의 양상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파트 생활이 본격적으로 언론매체에 드러나기 시작한 70년대 후반에서 80년대까지의 시기동안, 공간과 가족, 공간과 이웃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타나는 일상사적인 문제들을 물리적 객체의 변화가 가져온 생활상의 변화로 파악하고자 한다.
  • 주거환경의 사회적 . 물리적 성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논문 및 보고서 등의 객관화된 수치가 검토되었다. 또한 미시적 측면에서 당시 거주자의 일상생활을 파악하기 위해 일간신문 기사와 광고, 잡지 등의 대중매체에 드러난 사건과 기고, 생활상들 연도별로 나누어 활용하였다.
  • 미시적 시각의 두 측면으로 조명해 봄으로써, 공동주택에서 나타난 근대화 특성과 그 왜곡된 모습을 재평가하는데 있다. 물질적 변화가 설명하는 표면적인 성장과 내재되어 있는 삶의 모습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거시적 측면에서 본 주거환경의 사회적 . 물리적 성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논문 및 보고서 등의 객관화된 수치가 검토되었다.
  • 둘째, 주택 관련 산업의 발달이 가져온 근대적 주거생활의 질적 향상은 무엇이며 부작용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밝힌다. 셋째, 물리적 성장이 가져온 생활상의 변화는 어떠한지 미시적 시각으로 분석함으로써, 물리적 성장으로만 논하였던 주거 근대화의 왜곡된 모습을 밝히고자 한다.
  • 주택의 양적, 질적 성장 역시 여러 지표들을 통해 차곡차곡 쌓여갔다. 수량화되고 도식화된 지난 20년간의 주거환경의 실상은 어떠했으며, 계량화 될 수 없었던 거주자들의 주거환경은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 정책과 산업이라고 하는 사회적 시스템 속에 놓여진 주거환경과 거주자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거시적인 틀 속에 영향을 받으며 형성되어 온 주거문화는 거주자의 주거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긍정적으로 진보해 오지만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영진(1989). '아파트 숲속의 貧民村, 양돈마을 사람들'. 신동아 1989년 6월호, 558-565 

  2. 건설교통부(2001). 건설교통통계연보 

  3. 공동주택연구회(1999).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역사. 세진사 

  4. 국토연구원 (2002). 도시거주가구 주거실태조사 

  5. 곽차섭(2002).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6. 김근용 외(2003). 국민주거안정을 위한 주택정책 개편방안연구 

  7. 김대년 . 최정신(2000). 실내디자인의 이해. 교문사 

  8. 김성희(2002). 한국여성의 가사노동과 경제활동의 역사. 신정 

  9. 김수암(1995). '국내 아파트 평면계획의 변천사'. 현대주택, 1995년 5월호 

  10. 김행자(1986). '아파트 예찬', 현대주택, 1986년 5월호, 74-75 

  11. 남충희(1991). '사회변화에 따른 주택생산기술의 발전 방향'. 주택, 52호, 79-95 

  12. 박국용(1979). '아파트 생활 어떻습니까?'. 여성동아, 1979 년 7월호, 228 -235 

  13.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일반주택지역 정비모델 개발 

  14.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1). 서울 20세기 생활 . 문화 변천사 

  15.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2).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16. 손경환 . 김혜승(2003). 주택종합계획(2003-2012) 수렵연구국토연구원 

  17. 안기석(1987). '얼어붙은 부동산경기'. 신동아, 1987년 6월호, 396-401 

  18. 알프 뤼트케 외 지음; 나종석 외 옮김 (2002). 일상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19. 양재섭(2001). 서울 도심부 주거실태와 주거확보방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 여성동아(1976). '소득과 지출은 맞는가'. 여성동아, 1976년 9월호, 344-345 

  21. 윤혜정 . 장성수(2003). 주거와 주택. 다락방 

  22. 이어령 .정용석(1985). '지금이 한국여성사의 터닝포인트'. 여성동아, 1985년 8월호. 274-279 

  23. 이홍란(1978). '아파트 열쇠를 건 아이들'. 여성동아, 1978년 6월호, 336-342 

  24. 장인석(1991). '아파트값, 평당 2천만원까지'. 신동아, 1991년 7월호, 414-427 

  25. 정재영(1989). '긴급르뽀 요지경속, 盆唐 . 一山 신도시 개발'. 신동아 1989년 6월호, 368-383 

  26. 조혜정(1998).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또하나의문화 

  27. 주거학연구회(1999). 새로 쓰는 주거문화. 교문사 

  28. 최병숙 . 강인호(2001). '주거 고층화와 아동의 신체적 병리현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5) 

  29. 통계청(1979, 1992, 2001). 한국의 사회지표 

  30. 현대주택(1985). '지하실 시대가 열리고 있다'. 현대주택, 1985년 3월호, 120-129 

  31. 현대주택(1986). '당신이 집 수명은 얼마나 됩니까?'. 현대주택, 1986년 11월호, 122-130 

  32. 홍태숙(1987). '아파트에 함께 사는 시부모와 며느리 정신진환 늘고 있다'. 여성동아, 1987년 8월호, 206-211 

  33. 사진자료. '아파트단지'. 신동아, 1980년 10월호, 232 

  34. 조선일보 기사 및 광고 1980-1999년. 동아일보 기사 2002년 10월15일, 2004년 5월7일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