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사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도시빈민의 형성배경과 주거문화 - 개항 이후 토막민촌부터 한구전쟁 직후 판자촌까지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Urban Squatter in Korea and their Housing Culture from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8 no.3, 2007년, pp.9 - 18  

전남일 (가톨릭대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과) ,  양세화 (울산대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홍형옥 (경희대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손세관 (중앙대 건축학부) ,  김묘정 (가톨릭대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ormation background of urban squatter and their housing state in Korea. This study was progressed on the basis of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from the opening of a port to the after the Korean War. In that sense,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작하였다. 끄) 일제는 계급구조의 재편뿐만 아니라 강점 초기부터 도시 개편을 통해 공간적으로도 식민지 지배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일제에 의한 도시개발은 초기에는 개항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다가 후에 러일전쟁(1903)과 만주사변(1931)을 겪는 동안, 북부지방의 큰 도시들을 공업 도시로 건설하여 대륙 침략을 위한 발판으로 삼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 구는 사회 사적 관점5)에 서 의 우리 나라 도시빈민의 형성배경과 주거문화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서, 개항이후부터 전쟁 직후까지 우리나라 도시빈민의 형성 배경과 주거를 문헌 중심으로 고찰하여 주거사 속에 내포되어 있는 도시빈민의 주거문화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도 존재하고 있는 도시빈민의 주거상황은 우리 주거문화의 저변을 이루고 있고,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나가야 할 주거문화의 가치를 찾는데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빈민의 형성 배경과 주거문화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서, 추후 심층적인 시대적 . 문헌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도시 빈민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8)수집된 자료는 사회적 흐름에 따른 도시빈민의 형성 배경과 주거상황을 토대로 분석하였고, 각 시기별 시대적 상황 속에서 형성 . 변화된 도시빈민의 주거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 끄) 일제는 계급구조의 재편뿐만 아니라 강점 초기부터 도시 개편을 통해 공간적으로도 식민지 지배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일제에 의한 도시개발은 초기에는 개항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다가 후에 러일전쟁(1903)과 만주사변(1931)을 겪는 동안, 북부지방의 큰 도시들을 공업 도시로 건설하여 대륙 침략을 위한 발판으로 삼고자 하였다. 그 중 한 예가 신의주였는데, 당시의 신의주는 도시계획에 의하여 바둑판 모양으로 상당히 현대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 개항이후의 자료는 당시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의 견문기와 사진기록을 토대로 하였고, 일제강점기의 자료는 신문, 소설, 한성부의 통계자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전쟁 및 전후시기의 자료는 당시의 현황을 기록한 신문 기사와 통계자료, 선행연구 등을 토대로 검토하였다. 8)수집된 자료는 사회적 흐름에 따른 도시빈민의 형성 배경과 주거상황을 토대로 분석하였고, 각 시기별 시대적 상황 속에서 형성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川村(2004), 吉川 역, 한양 경성 서울을 걷다, 다인아트 

  2. 강만길(1995), 일제시대빈민생활사연구, 창비 

  3. 강영환(2002), 새로 쓴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4. 경기도박물관(2003), 먼나라 꼬레-이플리트 프랑맹의 기억 속으로,경인문화사 

  5. 京城帝國大學衛生調査部(1942), 土幕民の生活.衛生, 岩波書店 

  6. 김병호 . 김성광 . 정갑식 . 유길준(1999), 불량주택지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10), pp.35-46 

  7. 김선재(1987), 한국근대 도시주택에 관한 연구: 일제시대 서울지역의 새로운 도시주택 유형을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성환(2005), 고바우 김성환의 판자촌 이야기, 열림원 

  9. 김영석(1985), 도시빈민론, 아침 

  10. 김영자 편역(1994), 서울, 제2의 고향-유럽인의 눈에 비친 100년 전 서울-, 서울학연구소 

  11. 김영재, 박용환(2000), 무허가정착지 재개발에 따른 근린관계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1), pp.395-398 

  12. 노병일,윤경아(2004), 주거빈곤층의 삶과 터전, 다운샘 

  13. 대한주택공사(1979), 대한주택공사 20년사, 대한주택공사 

  14. 동아일보, 1931/12/05, 1938/04/19, 1938/10/12 

  15. 박태원(1939), 골목안, 문장 1권 10호 

  16. 박영기(1973), 서울시 저소득층 주거환경에 관한 조사분석-연희지역의 무허가불량주거지역과 시민아파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7(55), pp.25-29 

  17. 北岳生(1932), 도시의 주택란과 기대책, 신동아 2(10) 

  18. 서울특별시(1981), 서울육백년사 제4권(1910-1945) 

  19.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2002), 사진으로 보는 서울1: 개항 이후 서울의 근대화와 그 시련(1876-1910), 서울특별시 

  2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2002), 사진으로 보는 서울4 : 다시 일어서는 서울(1961-1970), 서울특별시 

  21. 손세관(2004), 한국 근현대 주거사를 바라보는 시각,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5권, pp.1-10 

  22. 손정목(1982), 한국개항기 도시사회경제사 연구, 일지사 

  23. 손정목(1996),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 연구, 일지사 

  24. 손창섭(1953), 사선기(死線記), 문예 6월호,경인문화사 

  25. 염복규(2002), 일제말 경성지역의 빈민주거문제와 시가지 계획, 역사문제연구 제8호, pp.129-130 

  26. 우동주(2000), 한국전쟁이 도시 분산에 남긴 것-포화없는 전쟁터 부산항, 이상건축 6월호 

  27. 유치진(1931), 토막, 문예월간 12월호, 경인문화사 

  28. 이관구 . 임철희 . 김용하 . 이동배(2000), 불량주거지의 공간특성과 주거형태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1), pp.351-506 

  29. 이관구 . 박철만 . 이동배(2003), 도시불량주거지의 건축물 재료특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3(1), pp.503-506 

  30. 이규목(2002), 한국의 도시경관, 열화당 

  31. 이범선(1959), 오발탄, 현대문학 10월호, 현대문학사 

  32. 이상백(1962), 한국사-근세전기편-, 을지문화사 

  33. 이지연 . 이선구(1997), 서울도심 경사지불량주택 재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7(2), pp.545-552 

  34. 이호철(1955), 탈향(脫鄕), 문학예술 7월호,문학예술사 

  35. 장성수(2000), 한국전쟁과 건축-도시주거에 투영된 전쟁과 분단의 환경, 이상건축 6월호 

  36. 정동익(1985) . 도시빈민연구. 아침 

  37. 조용훈 . 이광노(1988), 서울시 불량주거지 형성배경과 그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4(6), pp.61-72 

  38. 조용훈(1984), 한국도시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조선총독부(각년도), 통계연보; 국세조사보고서 

  40. 朝鮮總督府(昭和19年; 1945년), 朝鮮事情, 京城 

  41. G. 로스(2004), 이경희.김은령 역, 호주 사진가의 눈을 통해 본 한국 1904, 교보문고 

  42. 채만식(1997), 탁류-우한용 해설.주석, 서울대출판부 

  43. 채만식(1994), 정거장 근처, 신원문화사 

  44. 한국사회사연구회(1993), 한국 근현대가족의 재조명, 문학과 지성사 

  45. 한국언론자료간행회(1987), 한국전쟁종군기자2, 한국언론자료간행회 

  46. H.N 알렌(1908), 신복룡 역(1979), 조선견문기, 박영사 

  47. W.E. 그리피스(1882), 신복룡 역(1999), 한말 외국인기록3-은자의 나라 한국-, 집문당 

  48. 서울특별시 서울육백년사: http://seouI600.visitseoul.ne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