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기술적 의사결정 모델에 따른 대학생들의 무자녀가족에 관한 인식 연구
College Students′ Views on Childless Families Based on an Ethnographic Decision Model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2 no.5 = no.71, 2004년, pp.149 - 159  

양성은 (조선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ㆍ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thnographic Decision Model (EDM) to explore socioeconomic, cul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attitudes toward childless family was developed in this study. From college students' protocol writing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general had conservative views ab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정 이유를 탐색한다. 끝으로, 연구참여자들이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보여주는 무자녀가족에 대한 태도의 일치 및 불일치가 우리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결과는 무자녀가족에 대한 20대 미혼 대학생들의 정의적 개념을 탐색하고, 무자녀가족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자녀관 또는 무자녀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문화기술적 의사결정 모델에 따라 분석한 것이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이 무자녀가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 고정관념, 느낌 등을 분석하여 무자녀가족에 대한 총체적 개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20대 미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우리 문화가 규정하는 무자녀가족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변인들, 즉 이들의 가족개념, 자녀관, 부모관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소수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보다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무자녀가족에 대한 20대 미혼 대학생들의 정의적(定義的) 개념을 우선적으로 고찰한 후, 문화기술적 의사결정모델에 의거하여 무자녀가족에 대한 찬/반을 시작으로 이러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무자녀가족의 부부관계, 확대가족과의 관계, 또래 및 동료집단과의 관계 등에 관한 연구참여자들의 사회적 인식을 탐색하였다.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의 의사결정이 비교, 분석되어 무자녀가족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 또한 논의되었다.
  • 연구참여자들은 그들의 부모세대가 손자녀 출산을 원한다고 확신하며, 세대전수에 대한 의무감을 갖고, 이를 완수하지 못할 때 야기되는 전형적인 고부갈등을 상정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확대가족관계가 실재로 어떠한가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20대 미혼 대학생들이 확대가족관계를 관념적 수준에서 어떻게 가정하고 있는가를 탐색함으로써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 문화 특유의 사회심리적 변인을 효과적으로 드러냈다고 하겠다.
  • 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유자녀나 무자녀가족을 선택한 연구참여자들의 숫자 그 자체보다는 이들이 왜 그러한 의사결정을 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의사결정 이유에서 드러나는 규범적 가족구조(structure of the intact family)에 대한 긍정, 이분화된 성역할에 근거한 가족기능의 수용, 문화적으로 규정된 전통적 부모역할에 대한 신념 등은 "신세대” 라는 이들의 가족관이 과연 기성세대와 구별되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한다.
  • 본 연구의 논의는 20대 미혼 대학생들이 무자녀가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의적 개념에 관한 분석을 시작으로, 문화기술적 의사결정 모델에 따라 도출된 연구참여자들의 자녀출산 및 무자녀 결정 이유를 탐색한다. 끝으로, 연구참여자들이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보여주는 무자녀가족에 대한 태도의 일치 및 불일치가 우리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자녀관, 부모관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소수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보다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타당화검증을 위한 후속작업으로서 문화기술적 의사결정 모델에서 도출된 잠정적 이론모델을 새로운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이상과 같은 무자녀가족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대 미혼 대학생들이 무자녀가족을 어떻게 개념화하며, 이들의 가족 내/외체계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이 자신의 자녀관 또는 무자녀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 선후배 . 직장동료와의 관계가 어떠할지 생각해보고 이를 묘사하시오.

가설 설정

  • 있을 것이다. 서로를 하나의 완전한 인격체로 대우하고 존중해 주는 자세도 높을 것이다. 자식으로 인해 생기는 경제적, 교육적 스트레스가 없을 것이며, 결혼만족도도 결혼 초나 말에도 똑같이 유지 될 것이다… 그러나 주위에서 "아직도 자식이 없어?" ”왜 자식을 갖지 않는거야?"라는 질문을 수 없이 들을 것이고, :그들의 부모 또한 자식을 갖는 것에 압력을 주어 엄청난 스트레스로 작용할 것이다.
  • 확대가족 내에서 무자녀가족이 가지는 발언권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집안의 대소사는 직계가족이 모두 모여서 결정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러한 상황에서 무자녀가족은 주눅이든 채 다른 이들의 의견을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고선주(2003). 부모기 전이기 교육 프로그램. 대한가정학회 건강 가정심포지움 자료집, 77-106 

  2. 김승권(2003). 저출산의 원인과 안정과 대책. 보건복지포럼, 12, 6-21 

  3. 김한곤(1991), 기혼여성의 무자녀지향과 그 결정인자에 관한 연구: 1966-1985. 영남대새마을지역개발연구, 11, 219-233 

  4. 노영주(1996). 여성의 경험으로서의 어머니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 35-55 

  5. 보건복지부(2000). 보건복지통계연보 

  6. 옥선화(2003). 20 . 30대 기혼남녀의 저출산 현상에 대한 지각수준과 저출산 대책. 대한가정학회 건강가정심포지움자료집, 27-46 

  7. 은기수 . 장혜경(2004). 한국가족은 어떤 모습인가?: 가족가치관과 혼인 및 출산. 여성부 '전국가족조사'에 따른 한국가족의 현실과 정책전망 세미나 자료집, 19-34 

  8. 이연주(2003). 결혼 및 출산 등의 가족형성과 여성의 경제활동: 가정과 직장의 병립을 위하여. 보건복지포럼, 12, 22-32 

  9. 이춘석(2003). 최근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황. 대한가정학회 건강 가정심포지움 자료집, 3-24 

  10. 조선일보(2003). 아이 안 낳는 사회. 출산율 세계 최저. 2003. 8. 11. 8면 

  11. 중앙보(2003). 여성은 지금 출산파업. 2003. 7. 12. 10면 

  12. 조옥라(1999). 21세기의 가족형태와 모성.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개소기념 학술대회 '21세기와 여성문화.' http://www.sungshin.ac.kr/-kowoin/d_2b.htm 

  13. 조용환(1999).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4. 통계청(2004). 세계 및 한국 인구현황 

  15. 통계청(2004). 2004년 5월 고용동향 

  16. 피디리포트(PD 리포트)(2003). 출산율 1.17 시대. EBS 2003. 8. 28 

  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1). 전국출산력 및 보건실태조사 

  18. 한국여성개발원(2004). 전국가족조사 및 한국가족보고서 

  19. Bigner, J. J.(2002). Parent-child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parenting(6th ed). Nj: Merrill Prentice Hall 

  20. Cain, M. 이한중 역(2002). 무자녀 혁명. 서울: 북키앙 

  21. Creswell, J. H.(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s, Inc 

  22. Daniluk, J.(2001). Reconstruction their lives: A longitudinal,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ransition to biological childless for infertile coupl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9(4), 439-449 

  23. Griffin, K,(2003). Childless by choice. http://www.babycenter.com/essay/preconception/gettingpregnant/6097.html 

  24. Hill, C. E.(1998). Decision modeling: Its using medical anthropogy. In De Munck, V. C. & Sobo, E. J.(Eds). Using Methods in the Field: A Practical Introduction and Casebook(139-164), Walnut Creek, CA: AltaMira 

  25. Letherby, G. & Williams, C.(1999). Non-motherhood: Ambivalent autographies. Feminist Studies, 25(3), 502-528 

  26. Mason, J. 김두섭 역(1996).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사 

  27. May, E. T.(2001). Barren in the promised land: Childless Americans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Journal of American Studies, 35(1), 171-188 

  28. Miles, M. B. & Hurbennan, A. M.(1994). Qualitative data anaysis: An expanded sourcebook(2nd ed). Thousand Oak, CA: Sage 

  29. Ryan, G. R. & Bernard, R.(2000).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Denzin, N. K. & Lincoln, Y. S.(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 769-802,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30. Ryan, G. R. & Martinez, H.(1996). Can we predict wha mother do? Modeling childhood diarrhea in rural Mexico. Human Organization, 55, 47-57 

  31. Schwandt, T. A.(1997). Qualitative inquiry: A dictionary of terms.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32. Spradley, J. P.(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 Wi nston 

  33. Van Manen, M.(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s: Human science of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New York: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