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Dual Earner Couples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2, 2011년, pp.221 - 229  

주애란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HPB) of the dual earner couples. Methods: The subjects were 312 dual earner couples selected from G city by convenient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산업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맞벌이 부부 의 가족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10월 1일부터 동년 11월 10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G시에 거주하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 정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맞벌이 부부를 위한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산업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관련 특성으로 운동, 흡연, 음주 실태를 조사하였는데 이는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한 건강증진생활양식 척도의 하위 관리영역 즉, ‘운동, 흡연, 음주를 관리하는 건강증진 실천행위를 얼마나 잘 하고 있는지’와는 다른 내용이며, 연구대상자가 종교를 가지고 있기에 이들의 실태를 알아보고자함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맞벌이 부부의 스트레스가 적절하게 해소되지 못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이러한 맞벌이 부부는 직업과 가족생활을 양립해야 한다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는데 이 스트레스가 적절하게 해소되지 못할 경우 가족관계를 위협하는 부부간 불화를 초래하고 나아가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에 소요되는 비용,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악화 및 직장에서의 사고 증가,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맞벌이 부부 의 가족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첫째,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2.98점으로 중간 정도 이상의 가족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있었으며,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평균 3.29점으로 중간 정도로 건강증진 실천행위를 하고 있었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 스트레스는 월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운동, 흡연, 음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란? 특히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는 가족 체계내의 압력이나 긴장, 즉 가족의 안정적 상태를 혼란시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가족이나 부부에게 있어서 때때로 정상 적이고, 심지어는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이를 통해 가족이 성숙하고 발달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가족 스트레스의 순기능이 보고(Boss, 2002)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ss, P. G. (1988). Family stress management: Family studies text series 8.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2. Boss, P. G. (2002). Family stress management.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3. Campbell, M. K., Motsinger, B. M., Jewell, D., Makarushka, C., Beatty, B., McClelland, J., et al. (2000). The north carolina black churches united for better health project: Intervention and process evaluation. Health Education Behavioral, 27 (2), 241-253. 

  4. Choi, J. H. (2005). Family stresses, coping strategy and job satisfaction in dual income couples: Comparison of husband and wife in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 (10), 55-68. 

  5. Choi, J. H. (2006).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in doubleincome couples.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 (6), 47-58. 

  6. Choi, J. H. (2006). Family stress, coping strategy and family strengths in dual income teache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 (4), 1-11. 

  7. Choi, Y. S. (2003). A study on the family stress and stresscoping method of dual earner social welfare work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8. Chung, E. C., & Doh, B. N. (2002).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 (3), 398-405. 

  9. Chung, M. J., & Lee, M. (2000). Analysis on relative effectiveness of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employed wives' job-and family-related stress.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 (11), 115-126. 

  1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 ${\ast}$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41 (4), 1149-1160. 

  11. Joo, A. R., & Park, I. H. (2010). The effect of the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internet games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2), 255-263. 

  12. Jung, A. S.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Jung, H. S., Kim, H. Y., Lee, H. K., Yi, Y. J., & Kwon, Y. S. (2001).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he factor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0 (1), 93-109. 

  14. Kim, G. S., & Cho, W. J. (2006).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family stress among married working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5), 761-769. 

  15. Kim, H. S., & Kim, K. S. (2003). Parental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 (4), 117-131. 

  16. Kim, M. S. (2001).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0 (2), 153-163. 

  17. Kwak, H. P., Seo, S. S., & Lee, K. C.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family stress, self-actualization among married women. Journal of Korea Sport Research, 16 (2), 123-130. 

  18. Lee, K. J. (2000). Correlations of job str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9. Nam, S. D. (2007). A study of job stres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mong the community health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1), 89-97. 

  20. Park, H. S., Jeong, S. H., & Park, K. Y. (2007). Predicti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on job stress and family stress with middle school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4), 549-557. 

  21. Park, I. H., Choi, I. H., Joo, A. R., & Kim, Y. K. (2005). The survey of health promotion life style. Gwang-ju: Health improvement based Namgu public health centers &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2. Pender, N. J. (1982).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Century-Crofts. 

  23. Pender, N. J., Murdaugh, C. L., & Parsons, M. A. (2002).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4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4. Pender, N. J., & Pender, A. R. (1980). Illness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services provided by nurse practitioners: Predicting potential consume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0 , 778-803. 

  25. Ross, J. K., & Halatin, T. (1982). When family stress affects worker productivity. Supervisory Management, 27 (7), 2-8. 

  26. Roxburgh, S. (1996). Gender differences in work and wellbeing: Effects of exposure and vulnerability. Journal of Health and Society Behavior, 37 (3), 265-277. 

  27. Stress of Super-mom ? Super-papa. (2008, May 27). Seoul newspaper , p. 23. 

  28. Statistics Korea. (2009, September). Social research in 2009. Retrieved July 5, 2011.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9.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2), 76-81. 

  30. You, S. Y. (2008). A study of the health status of a husband and wife related to paid and unpaid work and family characteristics for the dual earner household with respect to job satisfaction and reciprocit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9 (4), 509-5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