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학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경향 및 방법론적 문제점
A Critiqu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Family Studie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2 no.5 = no.71, 2004년, pp.161 - 173  

천혜정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scholars have been using qualitative research commonly since 1990 in Korea, discussions on the criteria for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have been ra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Family Studies, and critically examine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논문에서 연구자가 이해의 개념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지만, 질적 연구의 목적이 되는 이해를 주요한 연구 목적으로 삼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특히 "오늘날의 혼수 관행과 혼인 관행에서 발생하는 원인을 발견하기 위함” "이혼 후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함” "어떠한 방법으로 성욕구를 해소하는지 그 실태를 알아보고자 함” "성에 대한 인식과 노년기 성생활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함” "사회환경적 요인들이 아내 학대실태 및 아내학대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함” 등의 연구 목적을 살펴볼 때, 이러한 연구들은 실태조사 및 요인규명 등 양적 연구에 더욱 적합한 연구 주제 이자 목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혼수와 관련된 질적 연구로는 오히려 혼인 전 과정에서 당사자나 가족들이 느끼는 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를 통해 혼인을 준비하는 인간이나 인간의 행위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더 적합한 연구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예를 들면, 원가족의 건강성 측정을 통하여 미래 가족생활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과 관계, 상관 관계, 실험연구들을 통해 그 현상을 일으키는 조건을 제거하거나 제시함으로써 통제를 하는 것도 양적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마지막으로 어떤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고, 예측하고, 관련 변인들을 통제함으로써 주어진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 그런데 Schleiermacher는 이해란 어떤 주장의 일반적인 진리에 대한 인식을 촉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같은 주장의 배후에 있는 독특하고 고유한 조건들을 통찰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해석학에서의 이해의 개념은 진리 내용에 대한 이해가 아니라 원래 의도했던 바에 대한 이해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이해의 목적은 텍스트를 산출하게 된 의도, 상황, 배경이나 이면에 숨겨진 심리적, 역사적 상황에 대한 통찰력 등 저자의 의도를 밝히는 것이 되었다. 결국 자신의 상황이나 의도를 포기한 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저자의 의도를 재구성하는데 주력한 나머지 객관적 지식에 대한 믿음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이것은 2000년대 이후 가족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가 하나의 유행처럼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 연구 패러다임과 철학에 대한 이론적, 학문적 논의가 전혀 없이 실제 연구부터 행해짐으로 인해 질적 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비판적 논의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족학 분야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소위 '질적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질적 연구에서 나타나는 방법론적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자기반성을 통해 가족학에서보다 양질의 질적 연구를 생산해내기 위한 비판적 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결국 자기 존재에 대한 이해 없이는 대상 혹은 세계에 대한 이해는 불가능하며 동시에 타자에 대한 이해 없이는 자기 자신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Palmer, 1969). 따라서 이해라는 것은 단순히 다른 사람에 대한 직관적인 공감이나 감정이입을 이르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행위가 발생한 삶의 맥락과 사회적 규칙을 분명히함으로서 인간 행위의 명료함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은 인간사의 인과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왜 특정 현상이 특정 방법으로 지각되고 경험되는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키고 심도 있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 부부는 갈등 발생시 이성적 대처 행동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부부의 갈등 대처 행동을 잘 기술하고 있다. 또한 양적 연구는 어떤 한 시점에서 얻은 자료의 정보를 통하여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을 예측하는 목적을 가진다. 예를 들면, 원가족의 건강성 측정을 통하여 미래 가족생활을 예측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가족학 분야에서의 질적연구들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 그리고 한국가족관계학회지에 게재된 27편의 질적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또한 양적 연구의 제한점 때문에 질적 연구를 택하였다는 서술도 많이 나타난다. 즉,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가 어려워서, 기존의 양적인 연구가 보여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연구 대상의 특성 때문에 질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질적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한 집단에 대한 연구를 위한 방법론도 아니요, 양적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거나 양적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론도 아니다.
  • 그러나 질적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한 집단에 대한 연구를 위한 방법론도 아니요, 양적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거나 양적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론도 아니다. 질적 연구는 위에서도 지적했듯이 인식론과 존재론이 결합한 방법론적인 결과로써 인간이나 인간 행위의 의미를 파악하고 인간 경험에 대한 통찰을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모수미 등(1996). 가정학원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 한국해석학회(1996). 해석과 이해. 서울: 지평 문화사 

  3. Ambert, A., Adler, P. A., Adler, P. & Deitzner, D. F. (1995).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879-893 

  4. Deacon, S. A. (2000). Creativity within qualitative research on families: New ideas for old methods. Qualitative Report, 4(3/4), http://www.nova.edu/ssss/QR/QR4- 1/deacon.html 

  5. Eisner, E. W.(1991). The enlightened eye. New York: Macmillan 

  6. Eisner, E. W. & Peshkin, A. (1990). Qualitative inquiry in education: The continuing debate. New York: Teachers College 

  7. Goodwin, W. L. & Goodwin, L. D. (1996). Understan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8. Harbermas, J. (1972).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London: Heineman 

  9. Hultgren, F. H.(1989). Introduction to interpretive inquiry. In F. H. Hultgren & D. L. Coomer (Eds.). Alternative modes of inquiry in home economics research (37-59), Peoria, IL: Glencoe 

  10. Gadamer, H. G. (1975). Truth and method. New York: Crossroad 

  11. Kockelmans, J. J.(1994). Edmund Husserl's Phenomenology, 임헌규 옮김(2000). 후설의 현상학. 서울: 청계 

  12. Kvale, S. (1983).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A phenomenological and a hermeneutical mode of understanding.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14(2), 171-196 

  13. Lincoln, Y. S. (1990). Toward a categorical interpretative for qualitative research. In E. W. Eisner & A. Peskin.(Eds.). Qualitative inquiry in edumtion(277-295),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4. McClelland, J. (1995). Sending children to kindergarten: A phenomenological study of mothers' experiences. Family Relations, 44, 177-183 

  15. Morrow, S. L. & Smith, M. L. (1996). Constructions of survival and coping by women who have survived childhood sexual abus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 24-33 

  16. Palmer, E. R.(1969). Hermeneutics: Interpretation Theory in Schleiermacher, Dilthey, Heidegger and Gadamer, 이한우 옮김(1990).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문예 출판사 

  17. Radnitsky, G.(1970). Contemporary schools of metascience. Gothenburg, Sweden: Akademiforlaget 

  18. richardson, :L (1992). The poetic representation of lives: Writing a postmodemis sociology. In N. K. Denzin(ed.). Studies in symbolic interaction(19-28), Greenwich, CT: JAI Press 

  19. Smith, L. M.(1990). Ethics in qualitative field research: An individual perspective. In E. W. Eisner & A. Peskin.(Eds.). Qualitative inquiry in education(258-276),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0. Silverman, H. J.(1984). Phenomenology: From hermeneutics to deconstruction. Research in Phenomenology, 16, 19-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