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축 내장재의 Flashover시간 및 열방출량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lashover Time and Heat Release Rate(HRR) for Building Interior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18 no.3 = no.55, 2004년, pp.30 - 38  

하동명 (세명대학교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성장기 동안의 중요한 특징은 국부연소에서 전실연소로 전이되는 플래시오버 현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내장재의 플래시오버 시간 및 발화시간 그리고 열방출량을 예측에 있다.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방법과 문헌자료를 사용하여 플래시오버 시간 및 발화시간 그리고 열방출량을 예측하는 식을 제시하였다. 예측식에 의해 계산된 플래시오버 시간과 문헌값의 A.A.P.E.는 38.74초, A.A.D.는 51.42초 그리고 상관계수는 0.975이다. 발화시간의 예측값과 문헌값의 A.A.P.E.는 10.96초, A.A.D.는 1.97초 그리고 상관계수는 0.962이다. 또한 시간에 의한 플래시오버 열방출량의 예측값과 문헌값의 A.A.P.E.는 29.92, A.A.D.는 514 그리고 상관계수는 0.830이다. 제시한 예측식에 의한 계산값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식이 다른 건축내장재 연구에도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during fire growth is the phenomena of flashover, which is the transition from the local combustion to the full-room fi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flashover times, the ignition times and HRR(heat release rate) of flashover for building interior materials....

주제어

참고문헌 (18)

  1. M. Brandyberry and G. E. Apostolakis, 'Response Surface Approximation of Fire Risk Analysis Computer Code',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Vol. 29, pp.1534-184(1990) 

  2. NFPA, 'SFPE Handbook Fire Protection Engineering',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ssachusetts(1995) 

  3. T. L. Graham, G. M. Makhvilade, and J. P. Roberts, 'On the Theory Flashover Development', Fire Safety Journal, Vol. 25, pp.229-259(1995) 

  4. R. D. Peacock et al., 'Defining Flashover for Fire Hazard Calculation', Fire Safety Journal, Vol. 32, pp.331-345(1999) 

  5. D. Drysdale, 'An Introduction to Fire Dynamics, 2nd ed., John Wiley & Sons(1998) 

  6. 하동명, '화재위험분석을 위한 응답표면방법론(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의 적용', 제 17소방학술세미나, 행정자치부, 한국소방안전협회, pp.45-91(2002) 

  7. V. Babrauskas, 'Estimating Room Flashover', Fire Technology, Vol. 16, No. 2, pp.94-104(1980) 

  8. B. Hagglund et al., 'Estimating Flashover Potential in Residual Rooms', FOA Report C 20369-A3, Forsvarets Forskningsanstaklt, Stockholm(1980) 

  9. P. H. Thomas, 'Testing Products and Materials for their Contribution to Flashover in Rooms', Fire and Materials, Vol. 5, No. 3, pp.103-111(1981) 

  10. B. J. McCaffrey et al., "Estimating Room Fire Temperature and the Likelihood of Flashover Using Fire data Correlation", Vol. 17, No. 2, pp.98-119(1981) 

  11. H. J. Kim and D. G. Lilley, 'Flashover : A Study of Parameter Effects on Time to Reach Flashover Conditions', J. of Propulsion and Power, Vol. 18, No. 3, pp.669-673(2002) 

  12. G. E. P. Box and N. R. Draper, 'Empirical ModelBuilding and Response Surface', John-Wiley & Sons, Inc.(1987) 

  13. D. G. Kleinbaum, L. L. Kupper, and K. E. Muller,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ble Methods', 2nd ed., PWS-KENT Publishing Company, Boston(1988) 

  14. D. M. Ha, 'Interrelationship of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for Chlorinated Hydrocarbons', J.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Vol. 17, No. 4, pp.126-132(2002) 

  15. D. M. Ha, 'A Study on Explosive Limits of Flammable Material', J.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Vol. 14, No. 1, pp.93-100(1999) 

  16. D. M. Ha and S. K. Lee, 'A Study Flash Point of a Flammable Substances - Focused on Prediction of Flash points in Ternary System by Solution Theory-',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15, No. 3, pp.14-20(2001) 

  17. B. A. Ostman and T. D. Tsantraidis, 'Correlation between Cone Calorimeter Data and Time to Flashover in the Room Fire Test', Fire and Materials, Vol. 19, pp.205-209(1994) 

  18. V. Babrauskas, R. D. Peacock, and P. A. Reneke, 'Defining Flashover for Fire Hazard Calculation : Part II', Fire Safety Journal, Vol. 38, pp.613-622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