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건축 내장재의 연소가스 유해성 평가
Hazard Assessment of Combustion Gases from Interior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9 no.4, 2015년, pp.49 - 56  

서현정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가공과) ,  손동원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가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물 실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합판, 실내 마감용 목재(루바; 소나무), 압축 스티로폼 단열재, 강화마루 및 PVC 장판 5 종류의 연소가스 유해성을 분석하였다. 연소가스의 유해성 분석은 Naval Engineering Standard(NES) 713 규격 및 미국국방성 규격(MIL-DTL)을 적용하였다. $CO_2$의 방출량은 5종의 내장재 모두 NES 713 규격 한계치인 100,000 ppm을 초과하지 않았다. CO 방출량의 경우 압축 스티로폼 단열재가 6,098 ppm으로 규격 한계치인 4,000 ppm을 초과하는 값을 나타내었다. 포름알데히드는 PVC 장판과 압축 스티로폼 단열재에서 각각 25 ppm, 49 ppm 방출되었다. $NO_X$는 합판에서 955 ppm으로 가장 높은 양이 방출되었으며, 규정 한계치 250 ppm에 비하여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독성 지수는 합판 5.19, PVC 장판 4.13, 압축 스티로폼 단열재가 2.35, 강화마루 2.34, 그리고 실내 마감용 목재 1.22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발생되는 연소가스 측정 및 유해가스 농도를 확인하여, 향후 건축 내장재의 화재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xic gases from five types of interior build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Naval Engineering Standard (NES) 713. The materials were plywood, indoor wall coverings (wood wall plate members and pine wood), reinforced Styrofoam insulation, laminate flooring, and PVC. Specimens were mea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험편들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건축 내장재 중 바닥재 및 내부 벽체 등으로 수요량이 높은 재료들이다(27). 건축 내장재는 주로 벽체 및 바닥재, 단열재, 그리고 기타 인테리어 재로 분류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해당 분류에서의 대표적인 재료를 선정하여 연소가스의 유해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재료들은 최근 국내 건축 내장재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건축용 목제품 및 단열재 중 소비량이 많은 재료들을 선정하였다(27).
  • 본 연구는 건축 내장재 중 주로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 및 성분에 대하여 고찰하고 해당 재료들의 연소가스를 분석하고, 향후 건물 실내에 적용 시 유해 가스 성분 방출량을 감소시키는 연구를 진행하는 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내 건축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내장재 5종에 대하여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요소 중 연소가스 측정 및 독성 지수 산출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실내 단열재용 독성 지수를 적용하여 건물 실내에 적용되는 건축 내장재의 독성 지수를 평가하였다. 각 시험편에 대한 독성 지수를 Figure 6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분석하고, 유해가스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본 자료는 건물 실내에서 적용되는 재료의 화재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 S. Hur, M. S. Jang and S. Cho,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ire Resistance of Window Material in Compartment Fire",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17, No. 1, pp. 62-67 (2003). 

  2. N. W. Cho, H. D. Cho and E. H. Oh, "A Toxicity Evaluation for the Toxic Gases of Building Finish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Vol. 29, No. 1, pp. 129-140 (2012). 

  3. I. S. Kim and K. O. Yoo, "Combustive Characteristic and Toxic Gases Generation of Interior Materials -the Focus for Resist-carpet, Resist-after-treatment Plywood, Sofa Leath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2, No. 2, pp. 43-59 (1998). 

  4. W. K. Chow, "Performance-based Approach to Determining Fire Safety Provisions for Buildings in the Asia-Oceania Regions",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91, pp. 127-137 (2015). 

  5. Y. Fu, S. Lu, K. Li, C. Liu, X. Cheng and H. Zhang, "An Experimental Study on Burning Behaviors of 18650 Lithium Ion Batteries Using a Cone Calorimeter",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273, pp. 216-222 (2015). 

  6. D. W. Son and M. R. Ka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s Treated Wood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43, No. 1, pp. 96-103 (2015). 

  7. H. J. Seo and D. W. S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ood for Interior", Proceedings of 20105 Spring Annual Conference, Architecture Institute Conference, pp. 411-412 (2015). 

  8. H. J. Park, "Evaluation of Smoke Density and Noxious Gas for Phenol Foam Ins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5, No. 1, pp. 38-43 (2010). 

  9. S. K. Ham, H. Kim, Y. G. Kang, D. H. Kim and Y. S. Yi, "A Toxicity Evaluation on the Toxic Gases Released from Interior Upholstery Fi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17, No. 2, pp. 61-67 (2002). 

  10. H. J. Seo, S. Kim and D. W. Son, "The Evalu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the Wood-based Building Materials Applied to Carbon Materi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1, No. 5, pp. 855-861 (2014). 

  11. X. Qian, L. Song, Y. Bihe, B. Yu, Y. Shi, Y. H and R. K. K. Yuen, "Organic/Inorganic Flame Retardants Containing Phosphorus, Nitrogen and Silicon: Preparation and their Performance on the Flame Retardancy of Epoxy Resins as a Novel Intumescent Flame Retardant System",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Vol. 143, No. 3, pp. 1243-1252 (2014). 

  12. T. Morikawa and E. Yanai, "Toxic Gases and Smoke Evolution from Foam Plastic Building Materials Burning in Fire Environments", Journal of Fire Sciences, Vol. 7, No. 2, pp. 131-141 (1989). 

  13. NES 713, Determination of the Toxicity Index of the Products of Combustion from Small Specimens of Materials. U.K. Ministry of Defence Naval Engineering Standards, Foxhill Bath, U.K. (1985). 

  14. G. K. Kannan, M. Gupta and J. C. Kapoor, "Estimation of Gaseous Products and Particulate Matter Emission from Garden Biomass Combustion in a Simulation Fire Test Chambe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9, pp. 563-573 (2005). 

  15. Y. T. Kim, "A Study on the Combustion of Car Interior Materials", Department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amcheok (2009). 

  16. MIL-DTL-24643B, Cables and cords, Electric, low smoke, for shipboard use general specification for (2002). 

  17. MIL-DTL-24640/15D, Cable, Electric, 600 volts, light-weight, multi-pair, AWG 22, Type 2XSAW (Including variation type 2XSAOW) (2002). 

  18. H. H. Liang and M. C. Ho, "toxic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Manufactured Insulation Materials for Building Applications in Taiwa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1, pp. 1254-1261 (2007). 

  19. W. J. Kim, Y. J. Park, H. P. Lee, S. H. Lim and J. I. Lim, "A Study on the Toxicity Analysis of Combustion Gases of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s and Architectural Adhes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8, No. 4, pp. 48-52 (2013). 

  20. H. L. Kim,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Interior Materials of Residential Buildings", Department of Disaster Prevention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amcheok (2011). 

  21. D. H. Lee, H. J. Choi, D. S. Kim and B. H. Le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Products of Polyethylene", Polymer (Korea), Vol. 32, No. 2, pp. 157-162 (2008). 

  22. E. Wilkins and F. Murray, "Toxicity of Emissions from Combustion and Pyrolysis of Wood",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14, pp. 281-288 (1980). 

  23. L. D. Stacy, "Products of Incomplete Combustion ( $O_X,\;CO_X,\;HO_X,\;NO_X,\;SO_X,\;RO_X,\;MO_X,\;and\;PO_X$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22, No. 2, pp. 161-173 (1989). 

  24. L. Marynowski, R. Kubik, D. Uhi and B. R. T. Simoneit, "Molecular Composition of Fossil Charcoal and Relationship with Incomplete Combustion of Wood", Organic Geochemistry, Vol. 77, pp. 22-31 (2014). 

  25. S. B. Choi, B. Y. Oh and D. M. Choi, "Fire Patterns According to the Blood Hb-CO Concentration of Charred Bodies",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6, No. 3, pp. 40-48 (2012). 

  26. J. B. Terrill, R. R. Montgomery and C. F. Reinharde, "Toxicity Evaluation of Fire Effluent Gases from Experimental Fires in a Building", Journal of Fire Science, Vol. 5, No. 4, pp. 248-271 (1987). 

  27. A view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construction materials market, Korea Specialty Contractors Association. 2015. 

  28. J. C. Lee, J. S. Seo and S. B. Kim, "Study on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Resistance Properties of Phenolic Foam and Polyurethane Fo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7, No. 1, pp. 35-41 (2013). 

  29. D. G. Nam and S. C. Kim, "A Study on the Burning Characteristics of Interior Boards and Louver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2, pp. 34-39 (2014). 

  30. S. S. Kim, N. W. Cho and D. H. Rie, "A Research of Risk Assessment for Urethane Fire Based on Fire Toxicity",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2, pp. 73-78 (2015). 

  31. M. Chauhanm M. Gupta, B. Singh, S. K. Bhattacharyya, A. K. Singh and V. K. Gupta, "Pretreatment of Pine Needles/wood Particles and their Composites with Isocyanate Prepolymer Adhesive",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Vol. 53, No. 8, pp. 1740-1750 (2012). 

  32. M. Hagen, J. Hereid, M. A. Delichatsios, J. Zhang and D. Bakirtzis, "Flammability Assessment of Fire-retarded Nordic Spruce Wood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es and Cone Calorimetry", Fire Safety Journal, Vol. 44, No. 8, pp. 1053-1066 (2009). 

  33. Y. Chung, Y. Kim and S. Kim,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Polyurethane Produced by the Addition of Phosphorous Containing Polyurethane Oligomers (II)",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 15, No. 6, pp. 888-893 (2009). 

  34. L. A. Lowden and T. R. Hull, "Flammability Behaviour of Wood and a Review of the Methods for its Reduction", Fire Science Reviews, Vol. 2, No. 4, pp. 1-19 (2013). 

  35. H. J. Seo, S. Kim, W. Huh, K. W. Park, D. R. Lee, D. W. Son and J. S. Kim, "Enhancing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of Wood-based Materials Using Carbon-based Materials", 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Vol. 119, No. 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