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곰소만과 금강하구역에서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Myrionecta rubra) 개체군의 변동 특성
Comparative Population Dynamics of Photosynthe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Myrionecta rubra) in Gomso Bay and the Geum River Estuary,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9 no.4, 2004년, pp.164 - 172  

김형섭 (군산지방해양수산청) ,  김영길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양재삼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이원호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담수의 유입량 및 유입특성이 서로 다른 서해의 곰소만과 금강하구역에서 1999년 9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0.5-2주일 간격으로 수온, 염분,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Mesodinium rubrum(=Myrionecta rubra) 개체군의 변동 특성을 연구하였다. 두 해역에서 수온과 염분 환경의 차이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M. ruburm개체군의 시계열적 변동 양상의 상이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불규칙한 담수 방류에 의하여 상류 기원의 부영양물질의 유입이 많은 금강하구역에서는 곰소만에 비하여 평균 밀도가 더 높은 M. ruburm개체군이 유지됨과 동시에, M. ruburm대발생의 빈도와 규모가 더 크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보다 급격한 염분 변화를 보였던 금강하구역에서는 Skeletonema costatum을 비롯한 Asterionellopsis glacialis, A. kariana, Chaetoceros debilis, Eucampia zodiacus, Paralia sulcata, Thalassiosira pacifica, T. nordenskioeldii 등의 연안성 규조류우점도가 곰소만에서 보다 낮았던 반면, 염분 변화에 대한 내성이 강한 M. ruburm이 높은 우점율을 나타내었다. 향후 서해 연안에 새만금방조제와 같은 인공구조물이 건설되어 불규칙한 담수 방류의 빈도와 규모가 증가할 경우, 인근 해역에는 우점 규조류 대신 M. ruburm이 우점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temperature, salinity,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nd population of a marine photosynthe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Myrionecta rubra), were monitored every 0.5-2 weeks in Gomso Bay and the Geum River Estuary from September 1999 to December 2000. Patterns of temporal variation of the M. r...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국립수산진흥원, 1997. 한국연안의 적조. 부산, 280 pp 

  2. 권효근, 이상호, 1997.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1. 평균 해수면과 조석.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93-100 

  3. 양재삼, 김기현, 김영태, 2003.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 의 시공간적인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251-261 

  4. 이용혁, 양재삼, 1997. 금강하구역에서 영양염류, 엽록소,부유물질 과 염분변화에 대한 500일간의 연속관측.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 1-7 

  5. Barber, R.T, A.W. White and H.W. Siegelman, 1969. Evidence for a cryptomonad symbiont in the ciliate Cyclotrichium meunieri. J. Phycol., 5: 86-88 

  6. Cloem, J.E., B.E. Cole and S.W. Hager, 1994. Notes on a Mesod- inium rubrum red tide in San Francisco Bay (California, USA) J. Ptankton Res., 16: 1269-1276 

  7. Crawford, D.W., 1989. Mesodinium rubrum: The phytoplankter that wasn't. Mar. Ecot. Prog. Ser., 58: 161-174 

  8. Crawford, D.W. and D.A. Purdie, 1992. Evidence for avoidance of flushing from an estuary by a planktonic phototrophic ciliate. Mar. Ecot. Pros. Ser., 79: 259-265 

  9. Crawfbrd, D.W., D.A. Purdie, A.P.M. Lockwood and P. Weissman, 1997. Recurrent red-tides in the Southampton water estuary caused by the phototrophic ciliate Mesodinium rubrum. Estuar. Coast. SheIf Sci., 45: 799-812 

  10. Gibson, J.A.E., K.M. Swadling, T.M. Pitman and H.R. Burton, 1997. Overwintehng populations of Mesodinium rubrum (Ciliophora: Haptorida) in lakes of the Vestfold Hills, East Antarctica. Potar BioL, 17: 175-179 

  11. Gustafson, D.E., D.K. Stoecker, M.D. Johnson, W.F. Van Heukelem, and K. Sneider, 2000. Cryptophyte algae are robbed of their organelles by the marine ciliate Mesodiiuum rubrum. Nature, 405: 1049-1052 

  12. Holm-Hansen, O., F.J.R. Taylor and R.J. Barsdate, 1970. A ciliate red tide at Barrow, Alaska. Mar. BioI., 7: 7-46 

  13. Kifle, D. and D.A. Purdie, 1993. The seasonal abundance of the pho- totrophic ciBate Mesodinitim rubrum in Southampton Water, England. J. Ptankton Res., 15: 823-833 

  14. Laybourn-Parry, J. and S.J. Perriss, 1995. The role and distribution of the autotrophic ciliate Mesodinium rubrum (Myrionecta rubra) in three Antarctic saline lakes. Arch. Hydrobio., 135: 179-194 

  15. Leppanen, J.M and J.E. Bmun, 1986. The role ofpelagic ciliates including the autotrophic ciUate Mesodinium rubrum during the spring bloom of 1982 in the open Northem Baltic proper. Ophelia, SuppI., 4: 147-157 

  16. Lindholm, T., 1978. Autumnal mass development of the 'red water' ciliate Mesodinium rubrum in the Aland archipelago. Memo- randa Soc. Fauna Ftora Fennica, 54: 1-5 

  17. Lindholm, T., 1985. Mesodmwn rubrwn-a. unique photosynthetic ciliate. Adv. Aquat. MicrobioI, 3: 1-48 

  18. Montagnes, D.J.S. and D.H. Lynn, 1989. The annual cycle of Meso- dinium rubrum in the waters surrounding the Isles of Shoals, Gulf of Maine. J. Ptankton Res., 11: 193-201 

  19. Packard, T.T., D. Blasco and R.T. Barber, 1978. Mesodinium rubrum in the Baja Califomia upwelling system. In: Upwelling Ecosys- tems, edited by Boje R. and M. Tomczak, Spring-Verlag, Berlin, pp. 73-89 

  20. Perriss, S.J., J. Layboum-Parry and H.J. Marchant, 1995. Widespread occurrence of populations of the unique autotrophic ciliate Meso-diniwn rubirum (Ciliophora: Haptorida) in brackish and saline lakes of the Vestfold Hms (eastem Antarctica). Potar BioI., 15: 423-428 

  21. Sampayo, M.A., and G. Cabecadas, 1981. Occurrence of red water off Algarve. BoIetino tnstituto Nacioiwt de fnvestigacao das Pes- cas, Lisboa, 5: 63-87 

  22. Sanders, R.W., 1995. Seasonal disthbutions ofthe photosynthesizing ciliates Laboea strobita and Myrionecta rubra (Mesodmium rubrum) in an estuary ofthe Gulf of Maine. Aquat. Micmb. Ecol, 9:237-242 

  23. Satoh, H. and K. Watanabe, 1991. A red water-bloom caused by the autotrophic ciliate, Mesodinium rubmm, in the austral summer in the fast ice area near Syowa Station, Antarctica with note on their photosynthetic rate. J. Tokyo Univ. Fish., 78: 11-17 

  24. Smith, W.O. and R.T. Barber, 1979. A carbon budget for the autotrophic ciliate Mesodinium rubrum. J. Phycot., 15: 27-33 

  25. Stoecker, D.K., A. Taniguchi and A.E. Michaels, 1989. Abundance of autotrophic mixotrophic and heterotrophic planktonic ciliatesin shelf and slope waters. Mar. EcoI. Prog. Ser., 50: 241-254 

  26. Takahashi, M. and K.D. Hoskins, 1978. Winter condition of marine plankton populations in Saanich Inlet, B. C. Canada-II. Micro- zooplankton. J. exp. mar. BioI. EcoI., 32: 27-37 

  27. Wilkerson, F.R. and G. Grunseich, 1990. Formation of bloom by the symbio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the significance of nitro- gen uptake. J. PIankton Res., 12: 973-989 

  28. Yih, W., K.A. Soung, H.S. Kim and Y.M. Park, 2000. Toward theestablishment ofroutine laboratory culture of Mesodinium rubrum, a phototrophic mahne ciliate. BuIt. Coastat Res., Kunsan Nationat University, 12: 61-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