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충 용액의 종류, pH 그리고 침지 시간에 따른 소장점막하조직 쉬트의 물 흡수 효과
Effect of Types of Buffer Solution, pH and Soaking Time on the Water Uptake of Small Intestinal Submucosa Sheet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8 no.6, 2004년, pp.478 - 486  

김선화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신혜원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장지욱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조선행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강길선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장점막하조직은 콜라젠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및 세포활성을 촉진하는 성장인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종이식면역 거부반응이 없는 생체물질로서 응용되고 있고 SIS에 함유되어 있는 성장인자는 전층 피부손상층을 치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는 본래의 SIS 쉬트와 아세트산으로 처리하여 팽윤시킨 SIS 쉬트를 제조하였고, 각각에 대해 1겹과 5겹의 SIS 쉬트를 제조하였다. 이를 SEM을 통해 표면 및 단면의 형태를 확인하였고, 증류수, 인산염 완충액, HBSS (Hank's balanced salt solution)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HEPES (N-[2-hydroxyethyl) piperazine-N'-(2-ethanesulfonic acid]) 완충액에서의 물 흡수성, pH에 따른 물 흡수성 그리고 시간에 따른 물 흡수성을 비교 실험하였다. 본래의 SIS 쉬트보다 산 처리된 SIS 쉬트가, 증류수보다는 완충액에서의 물 흡수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중성 용액보다 산성과 염기성 용액에서 SIS 쉬트는 팽윤되어 더 많은 물을 흡수하였다. 또한, 증류수와 HEPES 완충액에서 시간에 따른 물 흡수성 실험을 한 결과 1일 이후부터 10일 동안 약 200%물을 지속적으로 흡수하였다. 이로써 SIS 쉬트와 산 처리된 SIS 쉬트가 창상 치료를 위한 드레싱제와 생분해성이식 재료로서 사용가능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ll intestinal submucosa (SIS) is consisted with collagen and glycosaminoglycan as well as some growth factors which can stimulate cell activity. Recently, it has been recognized that SIS has been successfully examined in the bio-medical application as biomaterials without xenograft immune-rej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소 농도가 높으면 상피세 포의 핵분열이 5~1。배까지 증가하며 호기성균의 식균작용도 왕성하여져 창상의 청정화, 육아형성, 상피세포 재 생 등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SIS 쉬트 자체가 약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SIS를 팽윤시켰다. SIS 쉬트를 드레싱제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내부 상처 분비물의 흡수 .
  • 본 연구에서는 SIS 쉬트를 창상 치료 드레싱으로 이용 하기 위하여 SIS 쉬트와 산 처리된 SIS 쉬트를 1겹과 5 겹으로 제조하여 삼출액의 조절과 흡수를 하는 특성을 증 진시키고자 하였다. 창상을 약산성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산 처리된 SIS 쉬트는 표면에서 더 많은 콜라젠 섬유와 다공이 존재하여 SIS 쉬트보다 물 흡수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면역학적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다양한 성장인자를 가지고 있는 SIS를 팽윤시키고 이를 창상 드레싱재로 응용하기에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현재 in vitro 실험 및 in vivo, 다른 생체적합 물질과 결합한 쉬트 제조 및 이들의 구조재로서의 의료용 디바이스 개발 등의 실험을 수행 중에 있다.
  • (Figure 2 (C)). 본 연구에서는 상온에서 건조되는 동안 SIS 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결건조한 SIS를 사용하였다. SIS 쉬트 두께는 약 0.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 연구를 바탕으로 조직공학적 담체와 창상 드레싱으로 이용이 연구되는 SIS를 SIS 쉬트 및 아세트산을 처리한 SIS 쉬트를 제조하였다 창상은 약산성을 유지할 때 가장 쾌적함을 느끼며, 약산성이 몸에 해로운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시켜 감염을 방지해준다.29 그리고 상처의 pH가 저하하여 산성이 되면 적혈구와 결합하고 있던 산소의 해리가 용이해져 산소 농도를 높이는 쪽으로 작용하게 된다.
  • 산 처리된 SIS 쉬트는 SIS 쉬트보다 4배 이상 두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Table 2).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흐卜여 창상 드레싱에 응용하기에 앞서 창상에서 삼출액의 조절과 흡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조된 SIS 쉬트의 물 흡수 경향성에 대한 연 구를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 K. Han and S. J. Choi, 'The demand of Dressing', in Advance in Wound Care, H. J. Yoo, J. H. Kim, M. H. Park, K. K. Lee, J. H. Lee, Y. S. Yoo, S. K. Han, and G. Yushimize, Editors,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Co., Seoul, pp 167 - 172 (2003) 

  2. J. W. L. Davies, Burns, 10, 94 (1983) 

  3. J. Golan, A. Eldad, and B. Rudensky, Burns, 11, 274 (1985) 

  4. J. F. Burke, I. V. Yannas, and W. C. Quinby, Ann. Surg., 194, 413 (1981) 

  5. R. Elliott and J. Hoehn, Plast. Reconstr. Surg., 52, 401 (1973) 

  6. T. Phillips, J. Dermatol. Surg. Oncol., 19, 794 (1993) 

  7. J. Nanchahal and C. M. Ward, J. Plast. Surg., 45, 354 (1992) 

  8. Y. Kuroyanagi, M. Kenmochi, and N. Shioya, Ann. Plast. Sur., 31, 340 (1993) 

  9. B. E. Bromberg, I. C. Song, and M. P. Mohn, Plast. Reconstr. Surg., 36, 80 (1965) 

  10. U. R. Shettigar, R. Jogannathan, and R. Natarajan, Artif. Organs, 6, 256 (1982) 

  11. J. P. Hodde, Tissue Eng., 8, 295 (2002) 

  12. J. P. Hodde, S. F. Badylak, A. O. Brightman, and S. L. Voytik Harbin, Tissue Eng., 2, 209 (1996) 

  13. T. B. Mcpherson and S. F. Badylak, Tissue Eng., 4, 75 (1998) 

  14. S. L. Voytik-Harbin, A. O. Brightman, M. Kraine, B. Waisner, and S. F. Badylak, J. Cell Biochem., 67, 478 (1997) 

  15. E. N. Lamme, H. J. de Vries, H. van Veen, G. Gabbiani, W. Westerhof, and E. Middelkoop, J. Histochem. Cytochem., 44, 1311 (1996) 

  16. S. F. Badylak, B. Kropp, and T. B. Mcphesron, Tissue Eng., 4, 379 (1998) 

  17. S. F. Badylak, G. C. Lantz, and A. C. Coffey, J. Surg. Res., 47, 74 (1989) 

  18. G. C. Lantz, S. F. Badylak, and A. C. Coffey, J. Invest. Surg., 3, 217 (1990) 

  19. G. E. Sandusky, S. F. Badylak, and R. J. Horff, Ann. J. Path., 140, 317 (1992) 

  20. S. P. Hong, J. K. Park, S. H. Huh, and H. S. Kim, J. Plast. Surg., 25, 547 (1998) 

  21. B. E. Bromberg, I. C. Song, and M. P. Mohn, Plast. Reconstr. Surg., 36, 80 (1965) 

  22. B. L. Kropp, B. L. Eppley, and C. D. Prevel, J. Urol., 46, 396 (1995) 

  23. C. D. Prevel, B. L. Eppley, and S. F. Badylak, Ann. Plast. Surg., 35, 381 (1995) 

  24. S. B. Song, G. Khang, S. K. Hong, I. Lee, S. W. Kim, and H. B. Lee, Biomater. Res., 4,13 (2000) 

  25. G. Khang, P. K. Shin, I. Y. Kim, B. Lee, S. J. Lee, Y. M. Lee, H. B. Lee and I. W. Lee, Macromol. Res., 10, 158 (2002) 

  26. J. A. Kang, S. J. Lee, G. Khang, I. Lee, and H. B. Lee, Biomatet. Res., 6, 107 (2002) 

  27. H. W. Shin, S. H. Kim, J. W. Jang, M. S. Kim, S. H. Ch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194 (2004) 

  28. S. H. Kim, H. W. Shin, J. W. Jang, M. S. Kim, S. H. Cho, H. B. Lee and G. Khang, Biomatet. Res., 8, 143 (2004) 

  29. Y. O. Park, K. M. Min, and J. P. Huh, J. Korean Soc. Plast Reconstr. Sur., 29, 297 (2002) 

  30. K. M. Clark, G. C. Lantz, S. K. Salibury, S. F. Badylak, M. C. Hiles, and S. L. Voytik, J. Surg. Res., 60,107 (1996) 

  31. M. C. Hiles, S. F. Badylak, G. C. Lantz, K. Kokini, L. A. Geddes, and R. J. Morff, J. Biomed. Mater. Res., 29, 883 (1995) 

  32. J. S. Pieper, T. Hafmans, J. H. Veerkamp, and T. H. van Kuppevelt, Biomaterials, 21, 581 (2000) 

  33. S. Doonan, 'Peptides and Proteins', in Tutorial Chemistry Texts, E. W. Abel, A. G. Davies, D. Phillips, and J. D. Woollins, Editors,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UK, p 16 (2002) 

  34. D. Agrawal, P. Patidar, T. Banerjee, and S. Patil, Process Biochemistry, 39, 977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