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충 용액의 유산 농도와 pH가 법랑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pH OF LACTIC ACID BUFFER SOLUTIONS ON ENAMEL REMINERALIZATION 원문보기

大韓齒科保存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perative Dentistry, v.33 no.6, 2008년, pp.507 - 517  

권중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존학교실) ,  서덕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존학교실) ,  송윤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존학교실) ,  이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존학교실) ,  이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존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 완충 용액의 pH 및 유산 농도 변화가 법랑질에서 인공 우식 병소의 재광화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유산 완충 용액을 이용하여 법랑질을 탈회시키고, 유산의 농도가 100, 50, 25, 10 mM이고 pH가 4.3인 네 가지 재광화 용액 (Group 1, 2, 3, 4)에 10일, pH 6.0인 네 가지 재광화 용액 (Group 5, 6, 7, 8)에 12일간 처리한 후 무기질의 양적 변화를 편광 현미경에서 얻은 상에서의 탈회 깊이의 변화, 우식 표면층 깊이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또한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를 이용하여 탈회 후와 재광화 후를 촬영하여 얻은 상으로부터 lesion 부위의 density를 비교하였다. 1. pH 4.3에서 유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우식 표면층의 증가와 표층하 탈회부 중 심층부의 isotropic zone 등의 재광화 현상을 보이나, 전체 탈회 깊이 역시 증가하였다. 2. pH 6.0에서 우식 표면층에 국한된 재광화 현상을 보이고, 전체 탈회 깊이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포화도가 일정한 유산 완충 용액으로 재광화 유도시 pH가 낮고 유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표면으로부터 심층부 동역학적 변화에 더 영향을 주었으며, micro-CT를 이용한 우식 병소 부위의 density 확인을 통해 무기질의 침착과 방출 현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considerable in vitro and in vivo evidences for remineralization and demineralization occurring simultaneously in incipient enamel caries. In order to "heal" the incipient dental caries, many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remineralization. It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실험에서 포화도가 가장 높은 군에서 심부보다 표층에 국한되어 재광화가 일어난 것을 보고하였는데 이렇게 표층에 침착된 무기질은 결국 심부의 재광화 현상에 있어서 무기질 침투를 방해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탈회 병소의 완전한 재광화를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이에 이 실험에서는 심부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전체 실험군의 포화도를 낮게 형성하였다. Group 1 에서는 포화도는 낮지만, 비이온화된 유기산의 양이 많고, pH가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 우식은 어떻게 예방되는가? 치아 우식은 치면 위의 치태 내에 존재하는 세균, 음식물과 타액의 상호작용으로 산이 생성되어 치질의 파괴가 일어나는 과정으로, 정상적인 구강 환경에서 치아의 무기질은끊임없는 탈회와 재광화가 되풀이 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고 이러한 무기질 교환의 평형이 유지될 때 치아 우식이 예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평형이 깨지는 상태가 지속될 때 비가역적인 치질 손실이 시작되므로 우식을 초기에 발견하고 재광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현미경으로 관칠 시 음성 복굴절을 보이는 우식 표면층의 존재에 대한 해석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가?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 시 음성 복굴절을 보이는 우식 표면층의 존재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해석이 존재한다. Brudevold 등4)은 표층 법랑질 자체의 화학적 특성 때문에 우식에 저항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즉 법랑질의 표면은 내부 법랑질에 비해 불소의 농도, mineral과 아연의 함량이 높고 탄소가 적어서 표면층이 보다 더 우식 저항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Christoffersen과 Arends5)는 구강 내에서 기인된 억제 인자 (불소, 인)가 우식 진행 동안 법랑질로 확산되어 표면의 용해를 막는다고 하였으며, 치태내 세균에 의해 생성된 산이 이런 protective surface layer를 통해 확산되어 방해 요소가 작용하지 않는 부위에서부터 산의 탈회를 일으켜 결국 표층하 법랑질만 용해시킨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가설에 대하여 Aoba6), Sperber 등7)에 의해 반론이 제기되었다. Sperber와 Buonocore7)는 법랑질의 표면을 일정한 두께만큼 갈아 낸 후에도 우식 표면층이 관찰된다고 보고하였다. 다른 가설로 Moreno 등8)은 우식 표면층의 형성을 precipitation-dissolution model로써 설명하였는데, 내부에서 용해된 무기질이 농도의 차이에 의해 점차 외부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물리 화학적인 기전에 의해 재침착이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 설에 의하면 법랑질 표면의 구조는 변하지 않는 안정된 구조가 아니라 하부에서 유리되는 칼슘, 인 등이 재침착되면서 유지된다고 하였다. Featherstone 등9)은 처음에는 법랑질 표면에 획득피막 같은 protective agent가 흡착되고, 이후 precipitation-dis-solution reaction이 생겨 건전표층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치아 우식이란 무엇인가? 치아 우식은 치면 위의 치태 내에 존재하는 세균, 음식물과 타액의 상호작용으로 산이 생성되어 치질의 파괴가 일어나는 과정으로, 정상적인 구강 환경에서 치아의 무기질은끊임없는 탈회와 재광화가 되풀이 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고 이러한 무기질 교환의 평형이 유지될 때 치아 우식이 예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평형이 깨지는 상태가 지속될 때 비가역적인 치질 손실이 시작되므로 우식을 초기에 발견하고 재광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ead J.A. A study of saliva and its action on tooth enamel in reference to its hardening and softening. J Am Med Assoc 59:2118-2122, 1912 

  2. Anderson, B.G. Clinical study of arresting dental caries. J Dent Res 17:443-452, 1938 

  3. Backer Dirks O. Posterupted changes in dental enamel. J Dent Res 45:503-511, 1966 

  4. Brudevold F., McCann H.G. Enamel solubility tests and their significance in regard to dental caries. Ann.N.Y.Acad.Sci. 153:20-51, 1968 

  5. Christoffersen J., Arends J. Progress of artificial carious lesions in enamel. Caries Res 16:433-439, 1982 

  6. Aoba T., Okazaki M., Takahashi J., Moriwaki Y. X-ray diffraction study on remineralization using systhetic hydroxyapatite pellets. Caries Res 12:223-230, 1978 

  7. Sperber G.H., Buonocore M.G. Enamel surface in white spot formation. J Dent Res 42:724-731, 1963 

  8. Moreno E.C., Zahradnik R.T. Chemistry of enamel subsurface demineralization in vitro. J Dent Res 53:226-235, 1974 

  9. Featherstone J.D.B., Duncan J.F., Cutress T.W. A Mechanism for dental caries based on chemical process and diffusion phenomena during in-vitro caries simulation on human tooth enamel. Arch Oral Biol 24:101-112, 1979 

  10. Feagin F., Patel P.R., Koulourides T., Pigman W. Study of the effect of calcium, phosphate, fluoride and hydrogen ion concentrations on the remineralization of partially demineralized human and bovine enamel surfaces. Arch Oral Biol 16:535-548, 1971 

  11. Featherstone J.D.B., Mellerg J.R. Relative rates of progress of artificial caries lesions in bovine, ovine and human enamel. Caries Res 15(1):109-114, 1981 

  12. Margolis H.C., Moreno E.C., Murphy B.J. Effect of low levels of fluoride in solution on enamel demineralization. J Dent Res 65:23-29, 1986 

  13. Darling AI. Studies of the early lesions of enamel caries its nature, mode of spread and points of entry. Brit Dent J 8:119-135, 1958 

  14. Silverstone L.M., Wefel J.S., Zimmerman B.F., Clarkson B.H., Featherstone M.J. Re-mineraliz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lesions in human dental enamel in vitro effect of calcium concentration of the calcific fluid. Caries Res 15:138-157, 1981 

  15. 박정원, 허복, 이찬영. 유기산 완충 용액의 포화도가 법랑질 및 상아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과 산회인회석의 AFM 관찰. 대한치과보존학회지 25:459-473, 2000 

  16. 오현석, 금기연, 노병덕, 이찬영. 산 완충 용액의 pH가 인공치근우식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존학회지 24:495-502, 1999 

  17. 이찬영. 산완충용액을 이용한 인공치아우식형성. 연세치대논문집 7:34-41, 1992 

  18. Gray J.A. & Francis M.D. Physical chemistry of enamel dissolution, Mechanism of hard tissue distruction, (American Association of Advances in Science, Washington) Publ, No 75:213, 1963 

  19. Featherstone J.D.B., Duncan J.F., Cutress T.W. Crystallographic changes in human tooth enamel during in vitro caries simulation. Arch Oral Biol 23:405-413, 1978 

  20. Featherstone J.D.B., Rodgers B. E., Smith M.W. Physicochemical requirements for rapid remineralization of early carious lesions. Caries Res 15:221-235, 1981 

  21. Moreno E.C., Margolis H.C. Composition of Human plaque fluid. J Dent Res 67:1181-1189, 1988 

  22. Nikiforuk G. Fluoride dentifrices and fluoride rinses. Understanding dental caries Vol. 11. Prevention :87-112, Karger, Basel and New York, 1985 

  23. 한원섭, 금기연, 이찬영. 인공치아우식의 재광화에 미치는 불소의 영향. 대한치과보존학회지 21:161-173, 1996 

  24. 김민경, 금기연, 이찬영. 법랑질 인공우식의 재광화에 미치는 pH의 영향에 한 연구. 대한치과보존학회지 22:193-208,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