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Lilium longiflorum ′Geogil′의 대량번식
Micropropagation of Lilium longiflorum 'Geogia' by Using Bioreactor. 원문보기

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31 no.3, 2004년, pp.197 - 201  

한봉희 (원예연구소 원예생명공학과) ,  서은정 (원예연구소 원예생명공학과) ,  예병우 (농촌진흥청 연구관리과) ,  유희주 (원예연구소 원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구를 형성 및 비대시키기 위하여 BA 0.5 mg/L와 IAA 0.5 mg/L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Lilium longiflorum 'Geogia'의 신초를 증식하였다. 증식된 신초 cluster를 5 L air lift 생물반응기에 배양하였다. 자구비대는 sucrose 60 g/L 및 1∼2배 사이의 MS 배지 염류농도에서 효과적이었다. 재료 투입량은 100 g을 투입하는 것이 자구형성 및 자구비대에 적절하였다. 배양방법은 air-lift 방법이 자구의 형성 및 비대를 촉진하였으며, 주입공기량은 200∼300 mL$.$$min^{-1}$을 주입하는 것이 자구비대에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oot clusters were induced from bulb scales of Lilium longiflorum 'Geogia', and proliferated on medium containing 0.5 mg/L BA and 0.5 mg/L IAA. Thereafter, these shoot clusters were cultured in 5 L air-lift bioreactors to form and grow normal bulblets. Number of bulblets increased on medium with 3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ian 등(2002)은 고체배지에 나리인 편을 배양하여 소자구를 만들고 소자구를 바이오리엑터에 배양하여 현저하게 자구의 비대를 촉진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은 생장 조절제가 첨가된 고체 배지에서 신초를 대량 증 식하고, 증식된 신초를 바이오리엑터에 배양하여 증식된 신초에서 다량의 자구를 형성 및 비대시키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Gerrits MM, De Klerk GJ (1992) Dry-matter partitioning between bulb and leaves in plantlets of Lilium speciosum regenerated in vitro. Acta Bot Neerl 41: 461-468 

  2. Han BH, Yae BW, Goo DH, Ko JY (1999a) The formation and growth of bulblets from bulblet sections with swollen basal plate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J Kor Soc Hort Sci 40: 747-750 

  3. Han BH, Yae BW, Goo DH, Ko JY (1999b) Effect of inorganic salts in MS medium, sucrose, and activated charcoal on bulblet formation from in vitro bulbscales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Kor J Plant Tiss Cult 26: 103-107 

  4. Lian ML, Chakrabarty D, Paek KY (2002) growth of Lilium oriental hybrid 'Casablanca' bulblet using bioreactor culture. Scientia Hort 97: 41-48 

  5. Maesato K, Sharada K, Fukui H, Hara T, Sarma KS (1994) In vitro bulblet regeneration from bulbscale explants of Lilium japonicum Thunb.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culture environment. J Hort Sci 69: 289-297 

  6.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 Physiol Plant 15: 473-497 

  7. Nhut DT (1998) Micropropagation of lily (Lilium longiflorum) via in vitro stem node and pseudo bulblet culture. Plant Cell Rep 17: 913-916 

  8. Niimi Y (1984) Bulblet productivity of explants from scales, leaves, stems and tepals of Lilium rubellum Barker. Scientia Hort 22: 391-394 

  9. Niimi Y (1986) Applicatrion of leaf segment culture to in vitrro bulblets production of six Lilium species. Acta Bot 35: 189-194 

  10. Niimi Y, Onozawa T (1977) Vegetative propagation of L. rubellum Barker; Comperison of bulblet formation between scaling and scale segment cultured in vitro. Abstracts Fall Meeting. Jap Soc Hort Sci pp. 348-349 

  11. Novak FJ, Petru E (1981) Tissue culture propagation of Lilium hybrids. Scientia Hort 14: 191-199 

  12. Paek KY, Hahn EJ, Son SH (2001) Application of bioreactors for large scale micropropagation systems of plants. In vitro Cell. Dev. Biol. Plant. 37:284-292 

  13. Priyadarshi S, Sen S (1992) A revised scheme for mass propagation of Easter Lily. Plant Cell Tiss Organ Cult 30: 193-197 

  14. Stimart DP, Ascher PD (1978) Tissue culture of bulb-scale sections for asexual propagation of Lilium longiflorum Thunb. J Amer Soc Hort Sci 103: 182-184 

  15. Takayama S, Misawa M (1979) Differentiation in Lilium bulbscales grown in vitro. Effect of various cultural conditions. Physiol Plant 46: 184-190 

  16. Takayama S, Misawa M (1980) Differentiation in Lilium bulbscales grown in vitro.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physiological age of bulbs and sucrose concentrations on differentiation and scale leaf formation in vitro. Physiol Plant 48: 121-125 

  17. Takayama S, Misawa M (1982) Regulation of organ formation by cytokinin and auxin in Lilium bulbscales grown in vitro. Plant Cell Physiol 23: 67-74 

  18. Takayama S, Misawa M (1983) The mass propagation of Lilium in vitro by stimulation of multiple adventitious bulb-scale formation and by shake culture. Can J Bot 61: 224-228 

  19. Tanimoto S, Matsubara Y (1995) Stimulating effect of spermine on bulblet formation in bulb-scale segments of Lilium longiflorum. Plant Cell Rep 15: 297-300 

  20. Wickremesinhe ERM, Holcomb EJ, Arteca RN (1994) A practical mrthod for the production of flowering Easter lilies from callus cultures. Sci Hort 60: 143-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