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일 가족복지정책의 쟁점변화 분석
An Analysis of Issue Shift in German Family Welfare Policy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7 no.1, 2004년, pp.91 - 119  

이진숙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일에서 가족은 전후의 산업화과정 속에서 다면적인 사회변동을 경험하면서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화와 탈제도화 그리고 개인화의 경향이 강해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가족은 저출산문제, 보육문제, 역할분담을 둘러싼 갈등, 빈곤과 실업, 노인부양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와 직접적으로 당면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통일을 전후로 하여 약 10년간에 걸쳐 저출산문제가 심화되면서 가족문제는 중요한 사회정책이 슈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가족주의에 기반한 가족의 복지정책의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증대시켰고 그로 인해 독일 가족복지정책은 인구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가족의 복지욕구를 수용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독일에서 시대별로 각 집권정당들은 다양한 가족쟁점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수용하여 정책의제화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어떠한 정책방안들을 발전시켜 왔는가 하는 과정적 전개양상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획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일의 가족복지정책은 가족쟁점의 변화에 따라 1인 부양자모델의 확립기, 취업모 지원과 가족의 다양성에 대한 정책적 수용기, 보육정책의 확대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체계화된 정책 프로그램은 소득지원, 양육 및 교육지원 그리고 노인부양가족지원 프로그램이 핵심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발전은 정책이 1인 부양자모델에서 2인 부양자모델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문제의 해결책을 모색 중인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주제어

참고문헌 (39)

  1. 김성천 (2003), '새 정부의 가족정책 과제.'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3년 춘계 학술대회자료집, 3-41 

  2. 김성천 . 윤혜미 (2000), , 보건복지부 

  3. 김수정 (2002),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학주 (2003), '미국의 한부모정책 및 가족복지정책,'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3년 춘계 학술대회자료집, 90-101 

  5. 심창학 (2003), '프랑스의 한부모정책 및 가족복지정책,'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3년 춘계 학술대회자료집 64-89 

  6. 이진숙 (2001), '가족내 간병과 간병보험의 복지정책적 함의,' <한국인구학) 24: 183-202 

  7. 이진숙 (2002a), '한국 가족정책의 현실과 전망,' 22:191-218 

  8. 이진숙 (2002b), '독일 가족정책의 이념적 변천에 대한 연구 - 정당별 가족정책의 이념과 정책수단의 관점분석,' ,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48-373 

  9. 이해영 (2000), '케어복지정책의 과제,' , 양서원, 219-247 

  10. 이혜경 . 홍승아 (2003), '성통합적 복지국가재편 논의를 위한 여성주의적 비판,' 19: 161-189 

  11. 장혜경 . 김혜경 . 이진숙 . 김현주 . 장화경 (2002), , 2002 연구보고서 240-18, 한국여성개발원 

  12. 최경석 . 김양희 . 김성천 . 김정윤 . 박정윤 . 윤정향 (2003), , 인간과 복지 

  13. Beck, Ulrich (1991), 'Der Konflikt der zwei Modemen', in W. Zapf (ed.), Modernisierung moderner Gesellschaflen, Frankfurt a.M./New York, 40-53 

  14. Beck, Ulrich, und Elisabeth Beck-Gemsheim (1993), 'Nicht Autonomie, sondem Bastelbiographie', Zeitschrift fuer Soziologie 22: 178-187 

  15. Bertram, Hans, Renate Borrmann-Mueller (1988), 'Individualisierung und Pluralisierung familialer Lebensformen,' Aus Polilik und Zeitgeschichte 38: 14-23 

  16. Bundesministerium flir Arbeit und Sozialordnung (2002), Sozialbericht 2001, Bonn 

  17. Bundesinstitut fur Bevolkerungsforschung (2000), Bevolkerung, FaktenTrends-Ursachen-Erwartung 

  18. Bundesministerium fur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Hg.) (1995), Fiinfter 

  19. Daly, Mary (1994), 'Comparing Welfare States: Towards a Gender Friendly Approach,' in D. Saninsbury (ed.), Gendering Welfare States, Sage 

  20. Esping-Andersen, Gosta (1990),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Polity Press 

  21. Esping-Andersen (1999),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2. European Commission (2002), Family Benefits and Family Policies in Europe, Employment & Social Affairs 

  23. Familienbericht. Familien und Familienpolitik im geeinten Deutschland, Bundestagsdrucksache 1217560, Bonn 

  24. Familienbericht (2002), Staatliche Hilfen fur Familien 

  25. Familienbericht (2003a), Die Familie im Spiegel der amtlichen Statistik 

  26. Familienbericht (2003b), Agenda 2010: Vorteil Familie, Material fuer die Presse 

  27. Gauthier, Anne H. (1996), The State and the Family. A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 Policie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Oxford: Clarendon Press 

  28. Gerlach, Irene (1996), Familie und Staatliches Handeln: Ideologie und Politische Praxis in Deutschland. Opladen 

  29. Herlth, Alois and Franz-Xaver Kaufmann (1982), 'Zur Einfuehrung Familiale. Probleme und sozialpolitische Intervention,' Staatliche Sozialpolitik und Familie 

  30. Kamerman, Sheila and Alfred Kahn (eds.) (1978), Family Policy: Government and Families in 14 Countri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1. Kaufmann, Franz-Xaver (1995), Zukunft der Familie im vereinten Deutschland. Gesellschaftliche und politische Bedingungen, Munchen 

  32. Kohli, Martin (1989), 'Gesellschaftszeit und Lebenszeit. Der Lebenslauf im Strukturwandel der Moderne,' Die Moderne - Kontinuitaeten und Zaesuren. J. Berger(Ed.), pp. 183-208 

  33. Lee, Jin-Sook (1999), Familie und staatliche Familienpolitik im vereinten Deutschland, Ergon 

  34. Lewis, Jane (1992), 'Gender and the Development of Welfare Regimes,'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3: 73-91 

  35. Orloff, Ann Shola (2001), 'Farewell to Maternalism: Welfare Reform, Ending Entitlement for Poor Single Mothers and Expanding the Claims Poor Employed Parents,' Harvard Seminar on Inequality and Social Policy, February 26, 2001 

  36. Sainsbury, Diane (1999), 'Gender, Policy Regimes, and Politics'. in Sainsbury (ed.),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 Oxford University Press 

  37. Statistisches Bundesamt (2000), Bevolkerungsentwicklung Deutschlands bis zum Jahr 2050 

  38. Ergebnisse der 9. koordinidrten Bevolkerungsvorausberechnung 

  39. Zimmerman, S.L.(1988), Understanding Family Policy: Theoretical Apporaches, New Bury Park: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