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lecular nuclear cardiac imaging has included Tc-99m Annexin imaging to visualize myocardial apoptosis, but is now usually associated with gene therapy and cell-based therapy. Cardiac gene therapy was not successful so far but cardiac reporter gene imaging was made possible using HSV-TK (herpes sim...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분야의 전망과문제형성이 어려운 것이 한 가지 이유이고, 어렵게 구성한 문제를 풀어낼 인력과 시간이 모자란 것이 또 하나의 이유이다. 이 원고에서 우리는 이 분야 선발연구자들이 심장핵의학 분자영상학 분야에서 다룰 문제라고 제시한 것을 조금 거론하고 앞으로 이 분야에서 다루어야 할 문제를 요약하려 한다.
  • 유전자치료가 동맥질환이나 심장질환의 치료에 응용되기 시작한지는 10여 년이 되었고4-6) 국내에서도 adeno- associated virus (AAV)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유전자치료가 가능성이 보였으므로 이 새 치료의 효과와 기전을 조사하여 치료방침을 최적화하려 하게 되었고, 또한 치료효과에 개인차가 생기는 이유에도 관심이 커졌다. 이에 따라 임상응용 단계의 동반자로서 리포터 유전자 영상방법을 고려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ofstra L, Liem IH, Dumont EA, Boersma HH, van Heerde WL, Doevendans PA, et al. Visualisation of cell death in vivo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Lancet 2000;356:209-12. 

  2. Flotats A, Carrio I. Non-invasive in vivo imaging of myocardial apoptosis and necrosi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3;30:615-30. 

  3. Bengel FM, Ueberfuhr P, Ziegler SI, Nekolla S, Reichart B, Schwaiger M. Serial assessment of sympathetic reinnervation after orthotopic hearttransplantation. A longitudinal study using PET and C-11 hydroxyephedrine. Circulation 1999;99:1866-71. 

  4. Isner JM. Myocardial gene therapy. Nature 2002;415:234-9. 

  5. Isner JM, Feldman LJ. Gene therapy for arterial disease. Lancet 1994;344:1653-4. 

  6. Losordo DW, Vale PR, Hendel RC, Milliken CE, Fortuin FD, Cummings N, et al. Phase 1/2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dose-escalating trial of myocardial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2 gene transfer by catheter delivery inpatients with chronic myocardial ischemia. Circulation 2002;105:2012-8. 

  7. Byun J, Heard JM, Huh JE, Park SJ, Jung EA, Jeong JO, et al. Efficient expression of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gene in vitro and in vivo, using an adeno-associated virus vector. J Mol Cell Cardiol 2001;33:295-305. 

  8. Inubushi M, Wu JC, Gambhir SS, Sundaresan G, Satyamurthy N, Namavari M, et al. Positron-emission tomography reporter gene expression imaging in rat myocardium. Circulation 2003;107:326-32. 

  9. Bengel FM, Anton M, Richter T, Simoes MV, Haubner R, et al. Noninvasive imaging of transgene expression by use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a pig model of myocardial gene transfer. Circulation 2003;108:2127-33. 

  10. Kang HJ, Kim HS, Zhang SY, Park KW, Cho HJ, Koo BK, et al. Effects of intracoronary infusion of peripheral blood stem-cells mobilised with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on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and restenosis after coronary stenting in myocardial infarction: the MAGIC cell randomised clinical trial. Lancet 2004;363:751-6. 

  11. Siminiak T, Kurpisz M. Myocardial replacement therapy. Circulation 2003;108:1167-71. 

  12. Barbash IM, Chouraqui P, Baron J, Feinberg MS, Etzion S, Tessone A, et al. Systemic delivery of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o the infarcted myocardium: feasibility, cell migration, and body distribution. Circulation 2003;108:863-8. 

  13. Aicher A, Brenner W, Zuhayra M, Badorff C, Massoudi S, Assmus B, et al. Assessment of the tissue distribution of transplanted human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by radioactive labeling. Circulation 2003;107:2134-9. 

  14. Hill JM, Dick AJ, Raman VK, Thompson RB, Yu ZX, Hinds KA, et al. Serial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injected mesenchymal stem cells. Circulation 2003;108:1009-14. 

  15. Kraitchman DL, Heldman AW, Atalar E, Amado LC, Martin BJ, Pittenger MF, et al. In vivo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myocardial infarction. Circulation 2003;107:2290-3. 

  16. Kim YH, Lee DS, Jang JH, Lee YJ, Chung J-K, Lee MC. Expression of sodium/iodide symporter transgene in neural stem cells. Korean J Nucl Med 2004;38:99-108. 

  17. Zeiher AM. Peipheral blood progenitors for cardiac repair. Heart Failure Symposium. 654 J Am Coll Cardiol. 2004. 268 (Abstract) 

  18. Paeng JC, Lee DS, Kang JH, Chung J-K, Lee MC. Development of a transgenic muse model for imaging of cellular differentiation into cardiomyocyte. J Am Coll Cardiol. 2004. 43 (Suppl) 24A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