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환경 특성 파악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개발
A Geo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to Chatacterize Ecological Processes over the Landscape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39 no.4, 2004년, pp.495 - 513  

박수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율적인 국토환경관리와 지속 가능한 생태자원의 보존을 위해서는 지형 및 토양의 공간적인 분포특성과 그것이 각종 자연 및 인문현상들과 가지는 상관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지형분류법은 대부분 지형형성과정 혹은 지형의 단순한 형태분류에 치중하여, 분류 결과와 지표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생태학적 현상들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 연구는 지표면에서 나타나는 물과 에너지, 그리고 물질의 흐름을 생태적 환경특성을 반영하는 주원인으로 규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산화된 지형분류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표면을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을 반영하는 8개의 토양지형단위(sod landscape units)로 구분하였으며, 이것을 수치고도모델(DEM)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양평군의 약 12$extrm{km}^2$ 크기의 지역에 개발된 기법을 적용하여 토양지형단위들을 분류한 뒤, 각 단위들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살펴보았다. 개발된 방법은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수치고도모델에 적용할 수 있어, 넓은 지역의 지형특성들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분류된 토양지형단위들은 자연환경조사와 제반 수문 및 토양환경 특성 파악에 중요한 기본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제시된 방법이 보다 널리 쓰이기 위해서는 기존 수치지도의 정확성의 문제, 사용된 수치고도모델의 격자크기에 따라 분류기준의 변화를 야기 시키는 스케일의 문제, 그리고 다양한 지형형성작용과의 상관성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hape of land surface work as a cradle for various environmental processes and human activities. As spatially distributed process modelings become increasing important in current research communities, a classification system that delineates land surface into characteristic geomorphological units...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권혁재, 1999, 지형학(제 4판), 법문사 

  2. 김우관. 임용호, 1997, 'GIS를 이용한 거제도 지형 및 하계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2), 19-35. 

  3. 김주환, 2002, 지형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4. 김태호, 2003, '제주도 해안지대의 지형분류.' 한국지형학회지, 10(1), 33-47 

  5. 오경섭, 1996, '한국의 지형. 토양환경 정밀지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지, 3(1), 1-25. 

  6. 이금상. 조화룡, 1998, 'GIS 기법에 의한 한국의 고도. 기복량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3(4), 487-497 

  7. 이민부. 김남신. 한균형, 2001,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지형요소의 지도화' 대한 지리학회지, 36(2), 81-92 

  8. 조태영, 1997, GIS 활용을 위한 지형분류체계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석사학위논문 

  9. Ahnert, F., 1976, Brief description of a comprehensive three-dimensional process-response model of landform development, Z. Geomorphol., N.F., Suppl. Bd., 25, 29-49 

  10. Armstrong, A.C., 1980, Soils and slopes in a humid temperate environment: a simulation study, Catena, 7, 327-338 

  11. Blaszczynski, J.S., 1997, Landform characterization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3, 183-191 

  12. Carson, M.A. and Kirkby, M.J., 1972, Hillslope Form and Proc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3. Conacher, A.J. and Dalrymple, J.B., 1977, The nine unit landsurface model: An approach to pedogeomorphic research, Geoderma, 18, 1-153 

  14. Conrad. O., 1998. DiGem-Software for Digital Elevation Model. Ph.D. Thesis (in German), University of Goettingen, Germany 

  15. Dalrymple, J.B., Blong, RJ., and Conacher, A.J., 1968, An hypothetical nine unit landscape model, Zeitschrift fure Geomorphologies N.F. Bd, 12, 60-76 

  16. Dikau, R., 1989, The application of a digital relief model to landform analysis in geomorphology, in Raper J. (ed.), Three Dimensional Applications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Taylor & Francis, 151-175 

  17. Dymond, J.R., Derose, R.C. and Harmsworth, G.R., 1995, Automated mapping of land components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0, 131-137 

  18. Gerrard, J., 1992, Soil Geomorphology, Chapman & Hall, London 

  19. Giles, P.T. and Franklin, S.E., 1998, An automated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slope units using digital data, Geomorphology, 21, 251-264 

  20. Hack, J.T., 1960, Interpretation of erosional topography in humid climates,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58, 80-97 

  21. Jenson, S.K. and Domingue, J.O., 1988, Extracting topographic structure from digital elevation data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Phogrammetric Engeneering and Remote Sensing, 54, 1593-1600 

  22. Mitas, L. and Mitasova, H., 1998, Distributed soil erosion simulation for effective erosion preven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34, 505-516 

  23. Moore, I.D. and Wilson, J.P., 1992, Length-slope factors for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simplified method of estimation,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475, 423-428 

  24. Park, S.J. N. and van de Giesen, N., 2004, Delineation of soil-landscape units along hillslopes to identify the spatial domains of hydrological processes, Jounral of Hydrology, 295, 28-46 

  25. Park, S.J., McSweeney, K. and Lowery, B., 2001, Prediction of soils using a process based terrain characterisation, Groderma, 103, 249-272 

  26. Parsons, A.J., 1988, Hillslope Form, Routledge, London 

  27. Pennock, D.J., Zebarth, B.J. and De Jong, E., 1987, Landform classification and soil distribution in hummocky terrain, Saskatchewan, Canada, Geoderma, 40, 297-315 

  28. Ruhe, R.V., 1960, Elements of the soil landscape, Transaction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Soil Science, Madison, 4, 165-169 

  29. Schoeneberger, P.J., Wysocki, D.A., Benham, E.C., and Broderson, W.D., 1998, Field book for describing and sampling soils, Natioan Soil Survey Center, Nation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USDA, Lincoln, NE. 

  30. Tucker, G.E. and Bras, R.L., 1998, Hillslope processes, drainage density, and Iandscape morphology, Water Resource Research, 34, 2751-2764 

  31. Vitek, J.D., Giardino, J.R. and Fitzgerald, J.W., 1996, Mapping geomorphology: A journey from paper maps, through computer mapping to GIS and virtuall reality, Geomorphology, 16, 233-249 

  32. Wilson, J.P. and Gallant, J.C., 2000, Digital terrain analysis, in Wilson J.P. and Gallant J.C. (eds.), Terrain Analysis: Principles and Application , 1-27, John Wiley and Sons 

  33. Wilson, J.P., Repetto, P.L. and Snyder, R.D., 2000, Effect of data source, grid resolution, and flow routing method on computed topographic attribute, in Wilson J.P. and Gallant J.C. (eds.), Terrain Analysis: Principles and Application, John Wiley & Sons, 133-161 

  34. Wise,S., 2000, Assessing the quality for hydrological applications of digital elevation models derived from contours, Hydrological Processes, 14,1909-1929 

  35. Wolock, D.M. and Price, C.V., 1994, Effects of digital elevation model and map scale and data resolution on a topography-based watershed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30, 3041-3052 

  36. Young, A., 1972, Slopes, Oliver and Boyd, Edinburgh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