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민가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벽체, 지붕, 창호, 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Pross of Vernacular Houses in Ulleung-Island -Focused on wall, roof, window and ceiling-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5 no.5, 2004년, pp.85 - 96  

김찬영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house in Ulleung Island in terms of building material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structural design by actual field surveys. This study found several facts; First, the house was classified into the log hous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본문은 선행조사된 나리리 민가를 포함해 울릉도 전역의 민가를 현장조사하고, 각 민가의 건축적 구성요소인 벽체, 창호, 우데기, 지붕, 천장 등의 특성파악과 더불어 이들이 어떻게 변화되어 갔고, 그 변화의 요인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였다.
  • 아울러 타 지역 민가와의 관계성도 고찰하였다.
  • 누목식 민가」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울릉도에 이주한 개척민들이 본토와 다른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민가를 어떻게 변용시켰는가를 규명하고자 1977년 1월 16일-17일 4일간에 걸쳐 가장 오지인 나리리의 투방집을 대상으로 평면과 배치, 구조(지붕재료 및 형, 벽체, 우데기)를 분석한 것이다. 이 분석에서 평면규모는 一자형에 3칸, 4칸형에 모든 기능이 몸채에 집중되는데, 이는 적설시에 옥내활동을 편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 파악했다.
  • 이에 본 연구는 동해 유일의 도서군으로 본토와 문화적 교섭이 크게 제약되어 온 울릉도 민가의 구성요소인 벽체, 우데기, 창호, 천장, 지붕 등을 조사해 그 특성을 분석한 뒤 이들이 변화해 온 과정과 여기에 영향을 주었던 요인은 어떤 것이 있었는가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타 지역 민가와의 관계성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경북대학·울릉도,독도종학합술조사단,'울릉도·독도답사기요', 1977 

  2. 장보웅(1981), '한국의 민가연구', 보진재 

  3. 울릉군(1989), '울룽군지' 

  4. 강영환(1991), '한국주거문화의역사', 기문당 

  5. 조성기(1985.2), '한국남부지방의 민가 연구', 영남 대 박사논문 

  6. 국립민속박물관(1994), '강원도 산간지역의 가옥과 생활 삼척군 · 평창군 · 정선군' 

  7. 김일진(1996), '옛집에 담긴 생각', 도서출판 황토 

  8. 하종한(1992.6), '민가유형의 분류 체계화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제3권 제1호, 69-84쪽 

  9. 이경희(1999), '울릉도 투막집의 환경건축요소에 관한 고찰', '울릉문화', 울릉문화원, 제4집, 100-113쪽 

  10. 조성기(1999.1),'태백산간지역의 민가형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계획계, 145-152쪽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