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영양교육 주제 도출
Identifying the Subj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37 no.10, 2004년, pp.938 - 945  

강여화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양일선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혜영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해영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the present sit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junior/senior high school,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vorite subjects on students and the existing subject done by dietitians on nutrition education, and then to identify the subjects of nutri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규명된 중 . 고등학교 급식 담당 영양사와 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견해와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중 . 고등학생을 위하여 행해져야하는 영양교육의 중요 주제 24가지를 선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영양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현황과 이에 관련된 영양사의 의견을 조사하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육 주제와 학생들의 견해를 비교해 봄으로써 중고등학생에게 적합한 영양교육주제를 도출하여 향후 중 . 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 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육 주제와 학생들의 견해를 비교해 봄으로써 중고등학생에게 적합한 영양교육주제를 도출하여 향후 중 . 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 . 고등학생의 식생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태도로 식생활에 임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영양교육의 필요성 영역은 영양교육의 중요성, 학생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그 이유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였다. 영양교육 주제 영역에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교육 주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한편 학생용 설문지에는 영양교육에서의 학생의 관심 주제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영양사가 실시한 주제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영양교육 주제 영역에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교육 주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한편 학생용 설문지에는 영양교육에서의 학생의 관심 주제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영양사가 실시한 주제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 사항은 영양사의 경우 근무지, 제공 식수, 영양사 근무 경력으로 구성하고 학생의 경우 학교, 성별, 생년월일일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xelson ML, Brinberg D.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Nutrition Knowledge. J Nutr Edu 24(5): 239-245, 1992 

  2. Mo SM. Symposium: The Present Status and a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Nutrition 23 (3) : 208-212, 1990 

  3. Yeom CA, Kim HR, Park HR, Kim HS, Kim SA, Park OJ, Shin MK, Son SM. Parents and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 with Meal Service Want Sou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erformed by Dietitian. J Korean Diet Assoc 1 (1) : 89-95, 1995 

  4. Norton PA, Falciglia GA, Wagner M.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in Ohio elementary schools. J Nutr Edu 29: 92-97, 1997 

  5. Kim KM, Lee SY. A study on consciousness of administer and dietitians for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al education. J Korean Diet Assoc 7 (2): 129-137, 2001 

  6. Huh ES, Lee KH.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Using Internet for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ition 36(5):500-507, 2003 

  7. Sims LS. Toward an Understanding of Attitude Assessment in Nutrition Research. J Nutr Edu 78: 460-466, 1981 

  8. Brush KH, Woolcott DM, Kawash GF. Evaluation of an Affective Based Adult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Nutr Edu 18 (6): 258-264, 1986 

  9. B-Bredbenner C, Shannon B, Hsn L, Smith DH. A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for Senior High Economics Students: Its Effect on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J Nutr Edu 20(6): 341-349, 1988 

  10. Lewis M, Brun J, Talmage H, Rasher S. Teenagers and Food choices: The hnpact of Nutrition Education. J Nutr Edu 20(6): 336-340, 1988 

  11. Yang IS, Kim EK, Chai IS The Development and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Korean J Nutrition 28 (1) : 61-70, 1995 

  12. Garry WA, Cathy R, Jerianne H, Carolyn H, Michael H. Outcomes from a School-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lternating Special Resource Teachers and Classroom Teachers. J School Health 69 (10): 403-408, 1999 

  13. Arnold CG, Sobal J. Food practices and nutrition lmowledge after graduation from the expanded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FNEP). J Nutrition Edu 32(3): 130-138, 2000 

  14. Kang HJ, Kim KM, Kim KJ, Ryu ES.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Kindergarten. Korean J Nutrition 34 (2) : 230-240, 2001 

  15. Agron P, Takada D, Purcell A. California Project LEAN's Food on the Run Program: An evaluation of a high school-based student advocacy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 J Am Diet Assoc Supplement(102): 103-105, 2002 

  16. Auld GW, Romaniello C, Heimendinger J, Hambidge C, Heimendinger M: Outcomes from a school-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lternating special resource teachers and classroom teachers. J Sch Health 69 (10) : 403-408, 1999 

  17. Lytle LA, Gerlach S, Weinstein AB. Conducting nutrition education research in junior schools: Approaches and challenges. J Edu 33 (1): 49-54, 2001 

  18. Lee KA. Evaluation of Nutrition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Nutrition 32(2): 192-205,1998 

  19. Chyun JH, Choe EO, Hong SA, Woo KJ, Kim YA. A Study on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Inchon. J Korean Soc Food Culture 14(4): 417-429, 1999 

  20. Yoon HS, Lee KH. Study on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elementary schools in Kyungnam and Ulsan Nutrition management. J Korean Diet Assoc 7 (3): 237-247, 2001 

  21. Huh ES, Yang HR, Yoon HS, Lee KH.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in the Gyeongnam Area. Korean J Comm Nutr 7 (6) : 781-793, 2002 

  22. Yang IS, Kwak DK, Han KS, Kim EK.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Providers. Korean J Nutrition 26(5): 639-650, 1993 

  23. Paik JJ. Effects of a Basic Nutrition Course on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J Korean Practical Arts Edu 15 (4): 137-149,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