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일 국립공원 관리체계 비교
A Study on Comparison of National Park Management Systems in Korea and Japa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18 no.4, 2004년, pp.446 - 455  

배중남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원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한국과 일본의 공원관리 현황과 구조특성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관련문헌조사와 함께 관련기관 담당자와의 전화인터뷰 및 방문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일본의 공원지정기준은 최소의 공원면적을 수치로 정하고 있고 관리인원이 한국보다 적으면서 넓은 면적을 관리하고 있다. 양국의 공원관리기관은 중앙과 위탁기관으로 구분되었다. 중앙기관은 한국이 환경부내 자연자원과 6명이 담당하고 일본은 3개과(국립공원과, 자연환경정비과, 총무과) 53명이 담당하고 있다. 총무과는 국토를 11개 블록으로 구분해 11개 자연보호사무소와 12개지소, 67개의 자연보호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위탁기관의 경우 일본의 자연공원재단은 본부와 20개지부에 54명의 직원이 현장관리업무를 하고 있으나 한국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본부와 25개사무소에 748명의 직원이 중앙기관의 업무와 현장관리업무를 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국립공원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공원지정기준에 수치화를 도입하고 둘째, 용도지구를 재검토하며 셋째, 국립공원관리사무소를 현지사무소$.$권역사무소로 구분해서 업무분담 및 인원 재배치하고 넷째, 환경부의 공원관리 부서를 확대하고 다섯째,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에 대한 신분을 국가공무원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높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s a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efficient ways of managing Korean National Parks by finding differences via the comparison of present management systems of national parks in Korea and Japan.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and direct interview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원지 정 은 Table 1의 기 준이 종합적으로 평 가되 겠지만 공원지정 기준에 반드시 보호해야 하는 지역이 어디에 어느 정도가 분포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은 향후 공원관리의 방향을 명확히 수립하고 그 목표달성 도를 파악하는데도 기 여 한다. 따라서 우리 나라 공원지정 기준은 공원최소면적과 수려 한 경관성 - 자연성을 지닌 면적을 정량적으로 명기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앞으로 국립공원의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지정기준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원관리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한일양국의 공원 관리현황과 구조특성에 주목하여 그 차이점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양국의 공원지정기준, 공원지정현황 및 관리체계 등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공원 관리의 효율화를 위 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원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한국과 일본의 공원관리 현황과 구조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됐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의 공원지정기준은 공원지정대상지의 경관, 자연생태계, 공원이용과 전 국토의 균형적인 공원 배치 등의 유사한 기준과 일본은 공원구역의 면적과 공원 구역에 경관이 우수한 면적의 최소치와 육상공원과 해상공원을 구분한 기준을 적용하는 차이점을 알았다.
  • 이를 위해 양국의 공원지정기준, 공원지정현황 및 관리체계 등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공원 관리의 효율화를 위 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립공원관리공단 (1998) 국립공원30년사 (1967-1997). (주)정문사문화, 서울, 899쪽 

  2. 국립공원관리공단(1999) 생테계 보전을 고려한 공원시설물의 정비 및 조성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334쪽 

  3. 국립공원관리공단(2000) 국립공원변 특성에 따른 공원관리 방안연구, 634쪽 

  4. 국립공원관리공단(2001) 국립공원백서. (주)대성인쇄공사, 서울, 540쪽 

  5.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2003) 국립공원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정책방향 심포지엄, 제1차자연공원기본계획, 101-123쪽 

  6. 국립공원협회(1997) 국립공원의 가치와 효용. 제18차 자연공원세미나, 270쪽 

  7. 배중남(2003) 한 $\cdot$ 일 자연공원법제 및 공원현황 비교. 한국환경 생태학회 심포지엄 , 41-66쪽 

  8. 배민기, 신원섭(2003) 자연공원의 사회적 수용능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79-97 

  9. 신익순. 배중남(2000) 일본의 국립공원 경관관리를 위한 시설물정비에 관한 법제도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3): 183-198 

  10. 오강임. 조우. 이경재(2004) 국립공원 탐방객안내소 기능평 가를 통한 이 용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249-262 

  11. 오구균(2003). 국립공원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정책방향,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10주년 심포지엄, 49-70쪽 

  12. 유기준, 김정민(2003) 국립공원에서의 이용 및 관리 속성에 대한 탐방객과 관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35-43 

  13. 전재경(2003) 자연공원 관련 법률들의 체계적 정비방안. 국립공원의 어제와 오늘,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정책방향, 41-46쪽 

  14. 허학영. 안동만(2003) 휴양환경 이용수준에 대한 방문객의 적은 및 대응행동. 한국조경학회지 30(6): 38-46 

  15. 환경부 $\cdot$ 국립공원관리공단(2002) 공원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338쪽 

  16. 환경부(1998) 국립공원구역 타당성 조사 기준작성, 490쪽 

  17. 石井 弘,福富久夫?(1985)綠の計書(自然公園の歷史,l14~211쪽), 地球社, 車京 

  18. 環境省自然環境局(2001) 人と自然との共生をめざして. 46pp 

  19. 環境省自然環境局(2001)環境省-21C環境の世紀を迎 えて,47pp 

  20. 環境省自然環境局長(2001) 國立公園の公園計畵作成要 領等の一部改正について,91pp 

  21. 國立公園協含編(2003)自然公開の出孝引き,226pp 

  22. 油井 正昭 등(2003) 日本 $\cdot$ 韓國國立公園制度の特?と 公園管理比較. 광일문화사, 서울, 227쪽 

  23. 일본 환경성(2004,9) http://www.env.go.jp 

  24. 일본 자연공원재단(2004,9) http://www.bes.or.jp 

  25. 법제처(2004.9) http://www.moleg.go.kr/자연공원법 

  26. 환경부(2004.9) http://www.hie.go.kr 

  27. 국립공원관리공단(2004.9) http://www.npa.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