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식시설 . 설비 표면의 위생상태 및 계절별 미생물 균수의 변화
Seasonal Changes of Microbiological Counts and Sanitation State on the Surface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10, 2004년, pp.1653 - 1660  

김지현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이선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시내 초등학교 5곳을 방문하여 현 급식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급식시설$.$설비에 대한HACCP 적용시 중점관리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생평가를 실시하였다. 학교 급식 시설$.$설비는 학교급식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 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 등 총 8곳으로 분류하여 총균수, 대장균군수 측정을 통해 위생상태를 확인하였다. 급식시설$.$설비 표면의 위생상태를 검사한 결과 천장, 벽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10^4$$10^{6}$ CFU/100 $\textrm{cm}^2$의 세균이 검출되어 여전히 학교급식소의 위생수준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특히, 그리스 트랩의 경우가 가장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수의 경우는 천장을 제외한 나머지 장소에서 $10^2$$10^4$ CFU/100 $\textrm{cm}^2$의 세균이 검출되었고 그리스 트랩에서 가장 높은 수의 세균과 대장균이 발견되어 특별히 관리 해야 되는 부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급식 시설$.$설비의 하절기 및 동절기의 위생상태를 알아보고 중점 관리 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급식 후 세 척 및 소독을 실시한 다음 시간 및 요일의 경과에 따른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하절기에는 매일 소독을 실시해야 하는 바닥, 트렌치, 그리스 트랩, 덤웨이터의 경우는 급식 전에 소독을 실시한 후 급식을 시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 1회 소독을 실시 하는 벽, 후드, 방충망은 주 3회 이상으로 소독횟수를 늘려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절기에는 바닥, 트렌치, 덤웨이터의 경우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급식 후에 소독을 실시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스 트랩의 경우는 급식 전에 실시한 후 급식을 시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벽, 후드, 방충망은 주 2회 이상으로 소독횟수를 늘려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asonal changes of microbiological counts and sanitation state on the surface of food 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rea. Samples swabbed using sponge were collected from the surface of food 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선정된 급식소는 2002년 부산지역 학교급식소 영양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18) 결과를 토대로, 영양사 근무경력 10년 이상과 급식 실시 학생 수 1, 200명 이상으로 비교적 위생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2003년 7월에 2회에 걸쳐 실시하였 다. 계절별 미생물균수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하절기는 2003년 7월, 동절기는 11월〜12월에 각각 실시하였다.
  • 총균수는 tryptic soy agar(TSA, Difco, USA)를 이용하여 35°C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산하였다 (19). 대장균군 수는 violet red bile agar(VRBA, Difco, USA)를 이용하여 35°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형성된 전형적인 암적색의 집락 수와 의심스러운 집락수를 계산하였으며, 살모넬라균 및 대장균 O157:H7은 증균배 양, 분리배양, 확인시험을 거쳐 균수를 측정하였다 (19).
  • 설비의 시간대별 위해 분석 장소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매일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덤웨이터로 분류하였다.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덤웨이터의 위생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급식 후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한 다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총균의 변화는 Fig. 1과 같았다. 바닥은 세 척 및 소독 1시간 후 2.
  • 설비의 요일별 위해 분석 장소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주 1회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벽, 후드, 방충망으로 분류하였다. 벽, 후드, 방충망의 하절기 위생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급식 후 세 척 및 소독을 실시한 다음 요일의 경과에 따른 총균의 변화는 Fig. 2, 대장균 군수의 변화는 Fig. 3과 같았다. 하절기 총 균의 오염도는 벽의 경우 1일 후 1.
  • 시간별 오염도 : 급식소 시설. 설비 중매일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덤웨이터의 동절기위생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급식 후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한 다음 총균수의 변화는 Fig. 4와 같았다. 바닥의 경우 1시간 후는 총균이 검출되지 않았고, 6시간 후 1.
  • 설비를 2002년의 설문조사(18)를 토대로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로 분류한 후, 부산지역 초등학교 급식소 5곳을 선정하여 급식 시설 . 설비 표면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수, 살모넬라균수, 대장균 O157:H7 검사를 실시하여 위생 상태를 파악하였다. 선정된 급식소는 2002년 부산지역 학교급식소 영양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18) 결과를 토대로, 영양사 근무경력 10년 이상과 급식 실시 학생 수 1, 200명 이상으로 비교적 위생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2003년 7월에 2회에 걸쳐 실시하였 다.
  • 설비와 주 1회 청소를 하고 있는 시설 . 설비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미생물균수의 변화 및 오염도를 알아보았다. 이 결과를 HACCP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 자 본실험을 실시하였다.
  • 설비의 시간대별 위해 분석 장소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매일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덤웨이터로 분류하였다.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덤웨이터의 위생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급식 후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한 다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총균의 변화는 Fig.
  • 설비의 요일별 위해 분석 장소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주 1회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벽, 후드, 방충망으로 분류하였다. 벽, 후드, 방충망의 하절기 위생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급식 후 세 척 및 소독을 실시한 다음 요일의 경과에 따른 총균의 변화는 Fig.
  • 다음 swab sampling의 방법(19)으로 실시하였다. 간대별 오염도 측정은 세척 및 소독 후 1시간, 6시간, 11시간, 16시간 후 측정하였다.
  • 알콜로 핀 셋을 소독한 후 멸균된 스폰지를 꺼내 10 cmXlO cm되는 시료 채취 면적을 잘 문지른 후 다시 Whirl-pak bag에 담고 아이스박스에 넣은 후 2시간 이내에 실험실로 옮겨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장소는 선정된 5개 교 급식소의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 등 8곳에서 2회에 걸쳐 채취한 후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채취할 때 천장은 조리를 할 때 응축수가 떨어져서 간접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부분, 벽, 바닥, 트렌치는 주조리 작업과 가장 근접한 부분, 방충망은 주방 내부 쪽으로 손잡이 부분에서 5~20 cm 떨어진 부분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였다.
  • 5 X 5 X 3 cm의 크기로 자른 후 비이커에 넣어 121°C에서 15분간 멸균시킨 후 Whirl-pak bag(Nasco, USA)에 무균적으로 넣은 후 아이 스박스 속에 넣어 이송하였다. 알콜로 핀 셋을 소독한 후 멸균된 스폰지를 꺼내 10 cmXlO cm되는 시료 채취 면적을 잘 문지른 후 다시 Whirl-pak bag에 담고 아이스박스에 넣은 후 2시간 이내에 실험실로 옮겨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장소는 선정된 5개 교 급식소의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 등 8곳에서 2회에 걸쳐 채취한 후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 하였다. 요일별 오염도 측정은 세척 및 소독 후 1일부터 7일까지 측정하였다.
  • 설비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미생물균수의 변화 및 오염도를 알아보았다. 이 결과를 HACCP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 자 본실험을 실시하였다.
  • 그 후 희석수로 희석하여 희석액을 petri-dish에 넣은 후배지를 부어 응고시켜 배양기에 배양하였다. 총균수는 tryptic soy agar(TSA, Difco, USA)를 이용하여 35°C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산하였다 (19). 대장균군 수는 violet red bile agar(VRBA, Difco, USA)를 이용하여 35°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형성된 전형적인 암적색의 집락 수와 의심스러운 집락수를 계산하였으며, 살모넬라균 및 대장균 O157:H7은 증균배 양, 분리배양, 확인시험을 거쳐 균수를 측정하였다 (19).

대상 데이터

  • 설비 표면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수, 살모넬라균수, 대장균 O157:H7 검사를 실시하여 위생 상태를 파악하였다. 선정된 급식소는 2002년 부산지역 학교급식소 영양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18) 결과를 토대로, 영양사 근무경력 10년 이상과 급식 실시 학생 수 1, 200명 이상으로 비교적 위생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2003년 7월에 2회에 걸쳐 실시하였 다. 계절별 미생물균수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하절기는 2003년 7월, 동절기는 11월〜12월에 각각 실시하였다.
  • 총균의 오염도 : 초등학교 급식소 시설. 설비 표면의 위생 상태 를 알아보기 위 하여 부산지역 초등학교 급식 소 5곳을 선정하여 총균의 오염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위 해 분석 장소는 급식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 등 총 8곳으로 구분하였다.
  • 급식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급식시설. 설비를 2002년의 설문조사(18)를 토대로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로 분류한 후, 부산지역 초등학교 급식소 5곳을 선정하여 급식 시설 . 설비 표면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수, 살모넬라균수, 대장균 O157:H7 검사를 실시하여 위생 상태를 파악하였다.
  • 시료를 채취한 장소는 선정된 5개 교 급식소의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 등 8곳에서 2회에 걸쳐 채취한 후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채취할 때 천장은 조리를 할 때 응축수가 떨어져서 간접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부분, 벽, 바닥, 트렌치는 주조리 작업과 가장 근접한 부분, 방충망은 주방 내부 쪽으로 손잡이 부분에서 5~20 cm 떨어진 부분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였다.
  • 설비 표면의 위생 상태 를 알아보기 위 하여 부산지역 초등학교 급식 소 5곳을 선정하여 총균의 오염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위 해 분석 장소는 급식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 등 총 8곳으로 구분하였다. 급식을 마친 후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에 준하여 세척 및 소독을 한 다음(20)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swab sampling하여 분석한 결과 장소별 평균 1.

이론/모형

  • .설비 의 표면으로부터 스폰지를 이용한 swab sampling의 방법 (19)으로 시 료을 채취 하였다. 스폰지 는 2.
  • 시간대별 시료 채취는 매일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바닥, 트렌치, 그리스트랩, 덤웨이터의 표면으로부터 급식을 마친 후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에 준한 방법(20)으로 세척 및 200 ppm sodium hypochlorite(Yuhanrox™, Korea)로 소독한 다음 swab sampling의 방법(19)으로 실시하였다. 시 간대별 오염도 측정은 세척 및 소독 후 1시간, 6시간, 11시간, 16시간 후 측정하였다.
  • 요일별 시료 채취는 주 1회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벽, 후드, 방충망의 표면으로부터 급식을 마친 후 학교급식 위 생 관리지침서 에 준한 방법(20)으로 세척 및 200 ppm sodium hy- pochlorite로 소독한 다음 swab sampling의 방법(19)으로 실시 하였다. 요일별 오염도 측정은 세척 및 소독 후 1일부터 7일까지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anagement Report of School Lunch Program (2/2). 2001.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sanitary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HACCP.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2. Lee YW. 1997. Guidelines of sanitation and safety for school lunch program.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23-47 

  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4.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od poisoning in Korea. Seoul 

  4. Kassa H, Harrirgton B, Bisesi M, Khuder S. 2001. Comparisons of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selected kitchen areas with visual inspections for preventing potential risk of foodborne outbreaks in food service operations. J Food Protection 64: 509-513 

  5. Tebbutt GM. 1991. Development of standardized inspection in restaurants using assessments and microbiological Sam-pling to quantify the risks. Epidemiol Infect 107: 393-394 

  6. Tebbutt GM, Southwell JM. 1989. Comparative study of visual inspections and microbiological sampling in premises manufacturing and selling high-risk foods. Epidemiol Infect 103: 475-489 

  7. Kwak TK. 1999. Implementation of HACCP to the food-service industry and HACCP plans development.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 1-13 

  8. Lee SY, Jang YS, Choi HJ. 1999. Current status and further prospect on HACCP implementat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 14-26 

  9. Heo YS, Lee BH. 1999.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in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Focused on Vege-table dishes (Sengchae and Namul)-. J Fd Hyg Safety 14: 293-304 

  10. Kim SH. 1996.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sanitary man agement practices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Dosirak items marketed in CVS. Korean J Diet Cutture 11: 235-242 

  11. Kwak TK, Kim SH, Park SJ, Cho YS, Choi EH. 1996.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atices for packaged meals (Kim Pab)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using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Korean J Food Hygiene 11: 177-187 

  12. Kim JE. 1998. The application of HACCP model to the development of the sanitation management tools for quality control of food service establishment. MS Thesis. Sook myo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JS. 1999. Development of the computer-assisted HACCP system program and HACCP-based sanitation evaluation tools for institutional food service operation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4. Chun HJ. 1998.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plastic container and kitchen utensils used in employee feeding foodservice operation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14: 21-24 

  15. Kim YS, Jeon YS, Han JS. 2001.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utensils & equipments used to food service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69-977 

  16. Park HY, Kim KG, Shin HW, Kye SH, Yoo WC. 2000.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J Fd Hyg Safety 15: 315-323 

  17. Kim EM, Kim HS. 2002. Nutritional evaluation, stability of cereals and sanitation status of processing utensils and environments based on hygiene education. Korean J Com munity Nutr 7: 833-843 

  18. Kim JY, Kim YS, Han JS. 2004.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etitian, employee and foodservice. Korean Dietetic Assoc 10: 34-46 

  19.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2. Bacteriotogicat analytical manual. 7th ed. AOAC International, Arlington 

  20. Education of ministry. 2002.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21. Harrigan WF, McCance ME. 1976.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New York 

  22. Jeong DK, Lyu ES. 2002. Th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environments and facilities at food service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16-220 

  23. Lee JS. 2001. Growth of Escherichia coti 0157:H7 at $21^{\circ}C$ in biofilms with microorganism isolated from meat Proc-essing environment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4. Jeong DK, Lee JS. 2000.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microflora at foodservice facilities at Youngdo-Gu, Busan The Kosin J Youngdo Studies 2: 375-390 

  25. Bryan FL. 1982. Microbiological hazards of feeding systems. In Microbiotogical safety of food in feeding systems. ABMPS Report No. 125,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 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