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종의 향신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or 5 Kinds of Sp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9, 2004년, pp.1426 - 1431  

김진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애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원경 ((주)메타만나) ,  김은정 ((주)메타만나) ,  우미경 ((주)메타만나) ,  이미숙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 서양에서 널리 사용되고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후추, 겨자, 고추냉이, 계피, 정향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억제, MDA에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측정하여 각 향신료의 항산화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해보고, 각 향신료들 간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향신료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정향(92.9%)과 계피(89.9%)가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각 향신료의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과산화억제 활성은 정향만이 55.8%로 강한 linoleic acid의 과산화화 억제 활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고추냉이, 겨자, 정향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 저해율이 상승하였으나, 후추와 계피는 1000 ${\mu}g$/assay의 고농도에서는 저해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고의 효과를 보인 농도는 300 ${\mu}g$/assay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MDA에 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검색한 결과, 겨자와 고추냉이가 각각 73.2%와 72.2%로 MDA-BSA의 교차결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였고, 후추도 61.6%의 저해율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측정법에 따라 항산화 효과에 차이가 있었으나 이들 향신료를 상용함으로서 생체산화와 관련된 질병 및 노화의 예방과 억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5 spices. They were separately extracted in ethanol from dried samples at room temperature, and freeze-dried. In vitro testing were conducted by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 서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후추, 겨자, 고추냉이, 계피, 정향을 대상으로각 향신료의 항산화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해보고, 각 향신료들 간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향신료 에탄올 추출물의 MDA(malondialdehyde)에 대한 단백질의 보호효과와 지 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저해효과,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소거효과를 측정하여 단백질의 산화 및 유지류의 자동산화 반응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비교함으로서, 항산화 기능을 갖는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향신료 에탄올 추출물의 MDA(malondialdehyde)에 대한 단백질의 보호효과와 지 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저해효과,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소거효과를 측정하여 단백질의 산화 및 유지류의 자동산화 반응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비교함으로서, 항산화 기능을 갖는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s are mean ± S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tteron P, Labbbe G, Degott C, Berson A, Fromenty B, Delaforge M, Larrey D, Pessaycare D. 1990. Mechanism for the protective effects of silymarin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hepatotoxicity in mice. Biochem Pharmacol 39: 2027-2034 

  2. Masuda T, Jitoe A, Isobe J, Nakatani N, Yonemori S. 1993. Anti-oxidtive and anti-inflammatory curcumin-related phenolics from rhizomes of Curcuma domestica. Phytochemistry 32: 1557-1560 

  3. Fang YZ, Yang S, Wu G. 2002. Free radical, antioxidant and nutrition. Nutr 18: 872-879 

  4. Morrissey PA, O'Brien NM. 1998. Dietary antioxidant in 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 8: 462-472 

  5.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33: 626-632 

  6. Oh SI, Lee MS.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seven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44-1350 

  7. Kim JH, Kang BH, Jeong JM. 2003. Antioxidant, antimutagenic and chemopreventive activities of a phyto-extract mixture derived from various vegetables, frutis, and oriental herbs. Food Sci Biotechnol 12: 631-638 

  8. Yoo KM, Hwang IK. 2004. In vitro effe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extra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9-344 

  9. Kim YE, Lee YC, Kim HK, Kim CJ. 1997.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fraction for several Korean medicinal plant hot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 Nutri 10: 141-144 

  10. Saha K, Lajis NH, Israf DA, Hamzah AS, Khozirah S, Khamis S, Syahida S. 2004.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nitric oxide inhibitory activities of selected Malaysian medicinal plants. J Ethnopharm 92: 2263-267 

  11. Burton GW. 1989. Antioxidant action of carotenoids. J Nutr 119: 109-115 

  12. Veloglu YS, Mazza G, Gao L, Ooom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3. Nunez MJ, Moure A, Cruz JM, Franco D, Dominguez M, Sineirio J, Dominguez H, Parajo JC. 2001. Natural antioxi-dants from residual source. Food Chem 72: 134-171 

  14. Yang X, Chen L, Park J, Shen S, Wang Y. 2001. Mechanism of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of tea catechins. The 6th International Symphosium on Green Tea, Seoul, Korea. p 111-120 

  15. Frag RS, Badei AZMA, Baroty GSAE. 1989. Influence of thyme and clove essential oils in cotten seed oil oxidtion. JAOCS 66: 800-804 

  16.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OCS 52: 59-63 

  17. Lrson R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18. Colditz GA, Branch LG, Lipnick RJ, Willet WC, Rosner B, Posner BM, Hennekens CH. 1985. Increased green and yellow vegetable intake and lowered cancer deaths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Clin Nutr 41: 32-36 

  19. Pruth, JS. 1980. Spices and condiments. Academic press, London. p 18 

  20. Farag RS, Badei AZMA, Hewedi FM, E1-Baroty GSA. 1989.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pice essential oils on linoleic and oxidation in aqueous media. JAOCS 66: 792-799 

  21. Seo KI, Park SK, Park JR, Kim HC, Choi JS, Shim KH. 1996. Changes in antimicrobial activity of hydrolyzate from mustard seed (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Nutr 25: 129-134 

  22. Kim NM, Sung HS, Kim WJ. 1993. Effect of solvents and some extraction condition on antioxidant activity in cin-namo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04-209. 

  23. Seo KL, Kim DY, Yang SI. 1995.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wasabi extracts. Korean J Nutrition 28: 1073-1077 

  24. Lee MS, Chung MS. 2000.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sensory evaluation as natural spice. Korean J Soc Food Sci 16: 216-220 

  25. Chen HM, Muramoto K, Yamauchi F, Fujimoto K, Nokihara K. 1998.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istidine-containing peptides designed from peptide fragments found in the digests of a soybean protein. J Agri Food Chem 46: 49-53 

  26. Saija A, Scalese M, Lanza M, Marzullo D, Bonina F, Castelli F. 1995. Flavonoids as antioxidant agents. Importance of their interaction with biomembrane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19: 481-486 

  27. Haase G, Dunkley WL. 1969. Ascorbic acid and copper in linoleate oxidation. I. Measurement of oxidation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nd the thiobarbituric acid test. J Lipid Research 10: 555-560 

  28. Park YH. 2000. Effect of polyamine on modification of biomodics by aldehydes. PhD in Medicin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9. Bradford M. 1970.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0-254 

  30. Gomez-Sanchez A, Hermonsin I, Mayo I. 1990. Cleavage and oligomerization of malondialdehyde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Tetrahedron Letters 28: 4077-4080 

  31. Hur JM, Lee JH, Choi JW, Hwang KO, Jung SK, Park JK, Park KY, Park JC. 1997. Inhibitory effect of lipid peroxidation by flavonoid derived from Wasabi. Korean J Soc Food Sci, Spring symposium 

  32. Han YB, Kim MR, Han BH, Han YN. 1987. Studies on an-tioxidant component of mustard leaf and seed. Nat Pro Sci 18: 41-49. 

  33. Han BY, Han YN, Park MH. 1985. Chem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antioxidant components of ginseng. In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Materials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l. Co., Shingapore. Vol 1, p 485 

  34. Friedman M, Kozukue N, Harden LA. 2001. Cinnamonal-dehyde content in food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Agri Food Chem 48: 5702-5709 

  35. Murcia MA, Egea I, Romojaro F, Parras P, Jimenez AM, Martinez-Tome M. 2004. Antioxidant evaluation in dessert spices compared with common food additives. Influence of irradiation procedure. Agric Food Chem 52: 1872-1881 

  36. Prasad NS, Raghavendra R, Lokesh BR, Naidu KA. 2004. Spice phenolics inhibit human PMNL 5-lipoxygenase.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70: 521-5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