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연안지역 어패류 중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제1보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Fishes and Shellfishes of Gyeongsangnam-Do Coastal Area-Part 1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19 no.3, 2004년, pp.132 - 139  

하강자 (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 ,  송주영 (창원대학교 환경 ${\cdot}$<)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measure agains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maximum efforts to improve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also been made; removal of the contaminated sediments of the bay and the coastal area, monitoring of several heavy metal levels in fishes, shell fishes, sea water and sediment, and so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 등60)도 총알고둥에서 transport system상에서 카드뮴과 아연은 경쟁하여 아연이 카드뮴의 흡수를 감소시킨다고 추정하였고, 동시 노출시험 결과 아연은 카드뮴의 제거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카드뮴은 아연을 더 빠른 속도로 제거 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조건에서 중금속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경남 연안지역 7곳을 선정하여 그 곳에서 서식하는 패류와 어류 그리고 이 들의 서식환경인 갯벌과 해수를 채취하여 중금속 함량을 조사함으로써 각 연안 지역 의중 금속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 패류와 갯벌, 어류와 해수 중의 중금속 상호간의 상관관계 및 각 시료 중의 중금속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중금속에 의한 식품의 오염 방지 및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5. 어류와 패류 중의 유해 중금속함량은 국내 해산 어?패류에 대한 규제치인 Pb 2.0 mg/kg이하, Cd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秋山高,環境保健-上水?下水を中心とした最近の硏究から, 公 衆?生, 46(5), 344(1982) 

  2. 創田亮, 水環培の生態とその保全, 公??生, 51(6),373, (1987) 

  3. Goyer, Robert A. and Clarkson, W. Toxic effects of metals In., Curds D. Klassen casarett & doull's Toxicology, 6th edition, Mc giaw Hill, Califonia, (2001) 

  4. Kim O. H.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Korean Salt-Fermented Fish and Shellfish Produ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Food and Agiicultur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985) 

  5. Kim. J. M. Screening of heavy metals in Korean edible shellSsh, A master's thesis, Dep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5-10, (2003) 

  6. Lee, B. G., WHO's New Recommendation to the Permissible Levels of Toxic Substances, Korea J. Occup. health, 19(1), 89 (1980) 

  7. 정상진, 유갑봉, 금강 담수어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 8(2), pp.59 (1990) 

  8. Martin, J. M. and M. Whitfield, The sisnificance of the river input ofchemical elements to the Ocean, In trace metals in sea water, ed. C. S. Wong, E. Boyle, K. W, Bruland, J. D. Burton and E. D. Goldbeig, Plenum, New York, PP.265-296, (1983) 

  9.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 p.8-196, (2002) 

  1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d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pp.864-871, (1990) 

  11. Nippon Instruments Corporation Instruction manual for mercury SP-3D, pp.30-34, (1993) 

  12. 김종수, SPSS/PC+ 바로쓰기, 흥진출판사, 서울, pp.76, (1996) 

  13. 김용희, 통계학, 자유아카데미, 서울, pp.178, (1984) 

  14. 식품의약품안전청 , 식품공전, pp.45-46, (2002) 

  15. Hwang, G. C., S. J. Kim and C. H. Wi,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oyster, Crassoatrea gigas And Blue mussel, Mytilus edulis in Hansan-Geoje Bay,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37, 201-209 (1986) 

  16. Hwang, G. C., K. C. Song and C. H. Wi,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in K.amak Bay. Bull. Nat. Fish. Res. Dev. Asency. 48, 205-215, (1993) 

  17. Hwang, G. C., K. C. Song and C. H. Wi,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in Charanman-Saryagdo and Mirukdo Area. Butt. Nat. Fish. Res. Dev. Agency. 48, 217-225, (1993) 

  18. Hyun, D. Y. and D. B. Lee, A Study on the Heavy Metal Level of fishes and Shellfishes in Westem Coast of Chungnam Area. Res. Rep. Env. Sci. Tech. Chungnam Univ. Korea, 12, 65-80 (1994) 

  19. 서윤수, 이홍재, 박종겸, 김민호, 이정희, 해양환경중 중금속 함량에 관한 조사연구, 국립환경연구구원보, 10, 165-171 (1988) 

  20. 원종훈, 한국산 어패류중의 수은, 카드뮴, 납, 구리의 함량, 한국수산학회지, 6(1), 9-18 (1973) 

  21. 염용태, 패류 및 부유식물을 통한 우리나라 연안수의 중금속 오염도 기초조사, 고려의대논집, 20(2), 31 (1983) 

  22. 김길생, 식품중의 미량금속에 관한 조사연구(연안 패류중의 미량금속 함유량에 관하여), 극립보건원보, 27(2), 388 (1990) 

  23. 김충배, 한국 서남해 연안 서식 패류중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24. Goldberg, E. D., T. B. Vaughan, J. W. Fairington, G. Harvey, J. H. Martin, P. L. Parker, R. W. Risebrough, W. M. Robertson and E. Schneider, The Intemational Mussel Watch,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Environ. Conserv., 5(2), (1978) 

  25. Kim, Y. C. and S. H. Han,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of the Fresh Water Fish, and the Shellfish in Korean, J. Fd Hye. Safety, 14(3), 305-318 (1999) 

  26. Kim, S. K., A Study on the Heavy Metals Contents of Shellfish in Westem Coast of Korea. Soonchunhyang J. Nat. Sci., 3(1), 353-364 (1997) 

  27. 市川富夫,鐵, 亞鉛, 銅の 生體內作用機能と 食品中の 含量 について, 日本食品?生硏究所, 33(11), 75-83 (1983) 

  28. Baik, D. W., K. P. Kwon, 식품중의 미량금속에 관한 조사연구, 국립보관원보, 25, 551-565 (1988) 

  29. Rainbow, P. S. and S. L. White, Comparadve strategies of heavy metal accumulation by crustaceans, zinc, copper and cadmium in a decapod, an amphipod and a barnacle. Hydrobiol, 174, 245-262 (1989) 

  30. Rainbow, P. S., D. J. H. Phillips and M. H. Depledge. The significance of trace metal concentratons on maiine invertebrates. Mar. Pollut. Bull. 21, 321-324 (1990) 

  31. 권우창, 원경풍, 김준환, 소유섭, 이희덕, 박건상, 이종옥, 성덕화, 서정숙, 김미희, 이만술, 이경진, 백덕우, 식품중의 미량금속에 관한 조사연구, 극끕브낀을보, 26, 447-460 (1989) 

  32. 한선희, 시판 어류중의 Cd파 Zn함량에 관하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보, 15, 59-69 (1979) 

  33. 최한영, 한강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부위별 중금속 함량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보, 21, 157-165, (1985) 

  34. WHO, Enviromental Health Criteria, No.l, Mercury, Geneva, (1976) 

  35. Reilly, C., Metal contamination of food, Applied Science Publishers, London, England, pp. 116-122, (1980) 

  36. 소유섭, 우리나라 어패류중 미량금속 함량 및 안전성평가, 한국식품영야과학회지, 29(4), 549-554 (2000) 

  37. 서윤수, 이흥재, 박종겸, 김민호, 이정희, 연안 서식 어패류 및 해저 퇴적물 중의 유해중금속함량에 관하여, 국립보건원보, 9, (1987) 

  38. 이필용, 박종수, 윤금영, 온산만의 중금속 오염에 관한 연구,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43, 41 (1986) 

  39. 이필용, 권락연, 강청미, 최희구, 문정웅, 진해만 및 거제 한산만의 해저퇴적물중의 중금속함량에 관한 연구.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39, 7 (1986) 

  40. 국립수산진흥원, 한국연안어장 보전을 위한 환경오염 조사연구, pp.58, (1983) 

  41. 박상철, 진해?마산만 해역의 해수오염에 관한 연구,해양의학, pp.35-45, (1989) 

  42. 국립수산진흥원, 해양환경보전, 수산기술지, 23, (1988) 

  43. 황규철, 김성준, 이응호, 한산, 거제만 굴,진주담치 및 해수의 중금속 함량, 부산수산대학연구보고, 24(1), 121-128 (1984) 

  44. 김경태, 홍기훈, 이수형, 진해만 표층해수중의 중금속 농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16, 19-27 (1994) 

  45. 이인숙, 노분조, 송준임, 김은정, 한국 임해 공단 연안에서 퇴적물, 해수 및 굴의 중금속 함량. Korean J. Ecol., 19(3), 261-270, (1996) 

  46. 노미경, 차미선, 박근태, 손홍주, 문두호, 이상준, 가덕도주변 해역 해수의 중금속 함량, 부산수산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환경연구보, 18, 49-53, (2000) 

  47. 학원출판공사, 학원대백과사전, 서울, pp.232-235, (1994) 

  48. 日本葉學會編, 街生試驗法注解, 金原出版社, 東京,pp.23-93,319-403,(1983) 

  49. 堀口博, 公害食品, 三共出版社, 東京, pp.1-42, (1977) 

  50. 환경부,세계보건기구(WHO) 먹는물 수질관리 지침서, pp.153-307, (1998) 

  51. 堀口博, 公善と毒, 危陵物 無機編, 三共出版社, 東京, pp.16- 84, 94-108, (1971) 

  52. Turnlund, J.R., Modern nution in health and disease', Lea & Febiger, pp.231-241. (1994) 

  53. Mills, C. F., Zinc in human biology, London, International Life Sciences Institute, (1989) 

  54. Enviroment protection agency, Quality criteria for water,U.S. Washington. D.C., pp.20, (1978) 

  55. Elliott, N. G., R. Swain and D. A. Rits, Metal interaction duiing accumulation by the mussel Mytilus edulis planulatus. Marine Biology, 93, 395-399, (1986) 

  56. Engel, D. W., Accumulation and cytosolic partidoning of metals in the Ameiican oyster Crassostrea virginica.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47, 89-102 (1999) 

  57. Martinez, M., J. D. Ramo, A. Torreblanca and J. Diaz-Mayans, Effect of cadmium exposure on zinc levels in the brine shrimp Artemia parthenogenetica, Aquaculture, 172, 315-325, (1999) 

  58. Tacnet, R, D. W. Watldns and P. Ripoche, Studies of zinc transport into brush-border membrane vesicles isolated from pig small intestine, Biochemical et biophysical Acta, 1024, 323-330 (1991) 

  59. Bobilya, D., M. Bhske-Anderson and P. G. Reeves, Zinc transport into endothelial cells is facilitated process, Journal of Cellular Physioloey, 151, 1-7 (1992) 

  60. 한수정, 이인숙, 총알고둥에서 카드뮴과 아연의 축적과 제거, 한국생태학회지, 24(1), 35-4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