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하계 독도 연안 해조류의 종조성 변동과 갯녹음현상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Algae and Whitening in the Coast of Dokdo Island during Summer 원문보기

Algae, v.19 no.1, 2004년, pp.69 - 78  

김미경 ,  신재기 ,  차재훈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variations in a marine ecosystem through examin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algae in the coast of Dokdo Island during summer (June & August, 2003). The total number of species found in benthic algae was 45 composed of 11% green algae, 29% red algae and 60% b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독도 연안의 하계 해조 종조성과 해조상의 변화를 조사하여 이미 발표된 바 있는 독도 해조상의 연구 결과 들과 비교함으로써 독도 연안의 해양 생태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제원. 1968. 한국동식물도감. 제8권 식물편(해조류) 삼화출판사. 465pp 

  2. 국립수산과학원. 1993-2001. 동해수산연구소 해양자원정보지. http://www.nfrda.re.kr/korea/data/data11.htm 

  3. 국립수산진흥원. 1995. 우리나라 동 . 서 . 남해 연안 수온의 변동 추이. 국립수산진흥원 사업보고서. 16 p 

  4. 김미경,김기태. 2000. 울릉도 독도의 해조류 연구:1. 해조류의 종조성 감소와 해조상의 변화 Algae 15: 119-124 

  5. 김미경. 김영환. 1999. 일반조류학 아카데미서적 194pp 

  6. 김영환,김형섭,김광훈,이욱재,옥정현,이인규. 1996. 울릉도독도의 하계 해조상. 자연설태종합보고서. 10: 275-320. (Kim et al. in Table2) 

  7. 독도연구보전협회. 1999. 독도 해양환경 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해양수산부 544 pp. (KACN/MOMAF in Tables1&4) 

  8. 박찬선,황은경, 손철현. 1992. 독도의 해조군락에 대한 예보 선연구회 논문집 1-46 pp 

  9. 오윤식. 1998. 독도의 해조류 분석 특성 독도연구보전협회 75-89 pp 

  10. 이용필,강서영. 2001.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출판부 662 pp 

  11. 이인규,부성민. 1981. 울릉도 - 독도의 해조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 201-214. (Lee & Boo in Table2) 

  12. 한국해양연구소. 2000. 독도 생태계 등 기초조사 연구 해양수산부. BSPM 99045-00-1282-6. 1033pp 

  13. Cheney D.P. 1977. R&C/P -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J. Phycol. 13: 12 

  14.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e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Fev. Algol. T.X. These, Paris 

  15. Hiscock S. 1986. Red seaweeds. Aidgap, Somerset. 100pp 

  16. Kang J.W. 1965. Marine algae of Ulrungdo Island in Japan Sea Bull. Pusan Fish. Coll. 6: 41-58 

  17.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18. Kang J.W. and Park C.H. 1969. Marine algae of Dok-do (Liancour t Rocks) in the Sea of Japan (I). Bull. Pusan Fish. Coll. 9: 53-62 

  19. Lee R.E. 1999.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4pp 

  20. Noda M. and Kang J.W. 1964. Notes on the marine algae of Woolyungdo Island in the Japan Sea. Bull. Jap. Soc. Phycol. 12: 39-43 

  21. Segawa S. 1956.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 Co. Osaka 

  22. Shin J.K., Kim M.K., Kang c.K., Hwang S.J. and Chung M.H. 2003. Freshwater ecosystem (MuIKol) and periphytic algal biomass in the Tok Island, Korea. Kare'm J. Limnal. 36: 463-466 

  23. Strickland J.D. and Parsons T.R. 1972. A par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 Fish. Res' Bd. Canada 167: 1-310 

  24. Tokuda H. , Kawashima S., Ohno M. and Ogawa H. 1994. Seaweeds of Japan. Midori Shobo Publication. Tokyo. 194p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