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이 연구는 제주연안 해역에서 갯녹음의 확산동향과 기후변화로 인한 동계 수온변화(수온상승)가 갯녹음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갯녹음 원인생물인 무절석회조류의 번식과 생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제주연안의 갯녹음 발생면적은 1998년에는 2,931ha였으나, 2003년에는 4,541ha로 증가하였다. 발생해역도 1998년은 제주도 남부해역에서 주로 발생했으나, 2003년에는 조천읍, 구좌읍을 제외한 제주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1992년부터 2004년까지 관측된 2월 평균수온은 갯녹음 해역
The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oliferation of whiten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sea temperature rise) on the proliferation of whitening, and the reproduction and growth of crustose coralline algae, which causes the whitening, in the coast of Jeju Island. The size of the whitening-affected area in the coast of Jeju was 2,931ha in 1998 and increased to 4,541ha in 2003. The whitening occurred mainly in the southern coast of Jeju in 1998 but spread across the whole coast of Jeju by 2003, except in the coast of Jocheon-eup (eup refers to an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and Gujwa-eup. The average sea water temperature in February from 1992 to 2004 wa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IPCC 제4차 보고서 | IPCC 제4차 보고서에서 제시한 21세기 해수 상황은? |
21세기에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어 해수 평균수온이 6.4℃해수면은 최대 59cm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
2007년에 발간된 IPCC 제4차 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에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어 해수 평균수온이 6.4℃해수면은 최대 59cm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주변해역은 지난 1968년부터 2008년까지 41년 동안 동해 0.034℃, 남해 0. |
갯녹음의 확산 | 갯녹음의 확산이 불러오는 가장 큰 문제점은? |
해양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될 수 없다는 점
갯녹음의 확산은 조식성 동물에게는 먹이장 파괴로 인해 먹이를 찾아 이동하거나 굶어 죽게 되고, 해조군집을 서식장으로 이용하는 모든 생물은 서식장과 산란장 파괴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게 된다. 이 보다 더 큰 문제는 해양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갯녹음 확산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갯녹음을 일으키고 지속시키는 원인을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며, 그 다음으로 파괴된 갯녹음 해역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복원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수온상승 | 수온상승이 원인이 되는 현상은? |
해조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며 해조류가 소실되는 갯녹음 현상이 원인으로 주목
기후변화의 대표적인 현상인 수온상승은 해조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며 해조류가 소실되는 갯녹음 현상이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Fujita, 2010). 갯녹음이란 일반적으로 연안에 서식하는 엽상바닷말이 소실되고 무절석회조류(Crustose coralline algae)가 암반 표면을 광범위하게 피복하면서 암반에 서식하던 해양생물의 종다양성과 생체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바다 암반이 황폐화되는 현상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