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돼지고기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Pork with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2, 2004년, pp.217 - 226  

진상근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김철욱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이상욱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송영민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김일석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박석규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경희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생명산업연구센터) ,  배대순 (진주교육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 전통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돼지고기의 품질 특성에 관한 것으로 돼지고기의 바깥 볼깃살을 채취하여 7${\times}$12${\times}$2cm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양념액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20일간 숙성한 발효육[T1(마늘소스 돼지고기), T2(제육김치 돼지고기), T3(김치소스 돼지고기), T4(된장소스 돼지고기), T5(고추장소스 돼지고기)]의 품질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1은 수분이 가장 높은 반면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T5는 수분이 가장 낮은 반면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이 가장 높았다. 양념 페이스트와 발효육의 pH는 T1이 가장 높았으며, T3가 가당 낮게 나타났다. 보수력은 T4와 T5가 매우 높고, T3는 가장 낮았다. 전단력은 T5가 가장 높고, T4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방산패도는 T3가 가장 높았으며, T4가 가장 낮았다. 휘발성염기태질소화합물은 T4가 가장 높았으며, T1이 가장 낮았다. 당도는 T5가 가장 높았으며, T3가 가장 낮았다. 염도는 T2가 가장 높았으며, T5가 가장 낮았다. 표면육색과 심부육색 모두 $L^*$값, $a^*$값, $b^*$값은 각각 T4, T2, T2가 가장 높았으며, $L^*$값은 T5가 가장 낮았다. 가열육의 관능평가 결과 전 항목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T5가 가장 높았으며, T4가 가장 낮았다.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T5가 많고 T2는 적었다.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T5, T4, T3, T1, T$, T3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여 볼 때, 소비자가 구입을 꺼려하는 뒷다리살을 한국 전통양념류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었을 때, 제품의 맛과 품질을 개선시켜 그 소비를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포장방법과 유통기간 설정 등 이에 대한 더욱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n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pork with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The samples, outside muscle of pork ham were cut to cube(7 ${\times}$ 12 ${\times}$ 2cm) and five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such as garlic paste(TI), ...

주제어

참고문헌 (32)

  1. A.O.A.C. 1998. Official methods of analy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ton, D.C. 

  2. Bouton, P. E., Carroll, F. D., Fisher, A L., Harris, P. V. and Shorthose, W. R 1973. Influence of pH and fiber contraction state upon factors affecting the tenderness of bovine muscle. J. Food Sci. 38:404. 

  3. Brewer, M. S., lkins, W. G. and Harbers, C. A Z. 1992. TBA w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 Effects of packing. J. Food Sci. 57:558. 

  4. Buege, J. A and Aust, J. 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302. 

  5. Carlin, A F. and Harrison, D. L. 1978. Cooking and sensory methods used in experimental studies on meat. Natl. Livestock and Meat Board. Chicago, Illinois. 

  6. Chung, K. S., Yoon, K. D., Hong, S. S. and Kwan, D. J. 1996.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effect of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s (in Korean), The 1st International symposium proceedings on functional and physiolosical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an fermented foods, KonKuk Univ. 3. 

  7. Crespo, F. L., Millian, R and Serrani Moreno, A. 1978. Chemical changes during ripening of spanish dry sausage(Salchichn) III. Changes in water-soluble N compounds. Archivos de Zootecnia. 27:105. 

  8. Decker, E. A and Shantha, N. C. 1994. Concentrations of the anticarcinogen, conjugated linoleic acid, in beef. Meat Focus International. 3:61. 

  9. Dierick, N., Vandekerckhove, P. and Demeyer, D. 1974. Changes in nonprotein nitrogen compounds during dry sausage ripening. J. Food Sci. 39:301. 

  10. Du, M., Ahn, D. U. and Sell, J. L. 2000.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CLA) and linoleic/linolenic acid ration on polyunsaturated fatty acid status in laying hens. Poultry Sci. 79:1749. 

  11. Engler, N. M., Karanian, J. W. and Salem, J. M. 1991. Influence of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aortic and plate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rat. Nutr, Res. 11:753. 

  12. Folch, J., Lees, M. and Sloane Stanley, G. H. 1956.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26:497. 

  13. Greene, B. E., Hsin, I. and Zipser, M. W. 1971. Retardation of oxidative color changes in raw ground beef. J. Food Sci. 36:940. 

  14. Joo, S. T., Lee, J. I., Ha, Y. L. and Park, G. B. 2002.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oxidation,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of pork loin. J. Ani. Sci. 80:108. 

  15. Kim, I. S., Min, J. S. and Lee, M. 1998. Comparison of TBA, VBN, fatty acids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imported and domestic Frozen pork bellies. Korean J. Anim. Sci. 40(5):507. 

  16. Mottram, D. S. and Edwards, D. S. 1983. The role of triglycerides and phospholipids in the aroma of cooked beef. J. Sci. Food Agr. 34:517. 

  17. Pearson, C, K. and Barnes, M. M. 1970. The absorption and distribution of the naturally occurring tocohromanols in the rat. Brit. J. Nutr., 24: 581. 

  18. SAS. 1999.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Cary, NC, U.S.A. 

  19. Savell, J. and Cross, H. R 1988. The role of fat in the palatability of beef, pork, and lamb. In Designing foods: Animal Product Options in the Market Place(p.345).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 Sim, J. S. 1997. Designer eggs and their nutritional and functional significance. World Review of Nutrition and Dietetics. 83:89. 

  21. Whitaker, J. R 1978. Biochemical changes occuring during the fermentation of high protein foods. Food Technol. 32:175. 

  22. Wu. F. Y. and Smith S. B. 1987. Ionic strength and myofibrillar protein solubilization. J. Anim, Sci., 65:597 

  23. 高坂和久. 1975. 肉製品の鮮度保持と 測定. 食品 工業.18:105. 

  24. 김기태, 황용일, 임성일, 이동선. 2000. 포장된 전통 된장 및 고추장의 저장 중 $CO_2$ 발생과 특성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807. 

  25. 김일석, 민중석, 이상옥, 신대근, 이정일, 변준석, 이무하. 1998. 국내산 진공포장 냉장 돈육 뒷다리 사유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축산심품학회지. 18:132. 

  26. 신동화, 김동한, 최웅, 임대관, 임미선. 1996. 전통 고추장의 맛 성분. 한국식품과학회지. 28:152. 

  27. 이종수, 권수진, 정성원, 최영준, 유진영, 정동효. 1996. 한국 재래식 된장과 고추장의 숙성 중 미생물, 효서활성 및 주요 성분의 변화.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4:247. 

  28. 이종호, 김미혜, 임상선. 1991. 재래식 메주 및 된장 중의 항산화성 물질에 관한 연구. 제1보. 메주 발효 및 된장 중의 지질산화와 갈변.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0:148. 

  29. 이희봉. 1974. 한국산 향신료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논문집. 제 8집:173. 

  30. 한국영양학회. 1995. 한국인 영양 권장량. 6차 개정판. 서울. 

  31.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2003. 2003년 돈육수급 및 가격전망. No. 97. 

  32. 허영미. 1996. 배추김치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