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돈분 퇴비화 중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인자 구명
Studies on a Factor Affecting Composts Maturity During Composting of SWine Manure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2, 2004년, pp.261 - 272  

김태일 (농진청 축산연구소 축산환경과) ,  송준익 (농진청 축산연구소 축산환경과) ,  양창범 (농진청 축산연구소 축산환경과) ,  김민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화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돈분과 팽연왕겨를 6:4로 혼합하여 함량을 65% 정도로 조절한 후 에스컬레이트식 축분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바닥에서 강제 송풍이 이루어진 대단위 퇴비화 시설에서 수행하였으며 본 시설을 이용한 축분 퇴비화중 퇴적더미의 온도는 15일령에 가장 높은 76$^{\circ}C$까지 상승한 후 25일령까지는 62$^{\circ}C$ 이상에서 온도가 유지되었으며 그 후 온도가 서서히 감소하여 완숙퇴비 단계에는 20$^{\circ}C$까지 떨어졌다. 수분 함량의 변화는 1일령부터 25일령까지 약 20%가 줄었으며 15일령부터 후발효 단계까지 급격하게 수분의 감소가 있었고 후발효 이후 수분 함량은 30%${\sim}$40% 사이로 유지되었다. 완숙퇴비의 안정성에 주된 인자로 알려진 퇴적더미내의 미생물상의 조사 결과 중온성 세균은 $10^8$-$10^10$ $CFUg^{-1}$, 사상균$10^3$-$10^4$, 방사선은 $10^6$-$10^8$의 범위에 상존하는 것으로 밝혀져 퇴비화 최종단계(퇴비화 45일령)에서는 축분퇴비의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공정단계별 부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특성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퇴비화되면서 퇴비화 초기인 1일령에 최고치인 421.87mg/kg에서 점차 감소하여 완숙에는 104.89mg/kg으로 낮아졌다. 암모니아태 질수와 질산태 질소의 비율은 퇴비화 초기에는 11이상이었으며 퇴비화 45일령(완제품 단계)에서는 2 이하로 감소되었다. 2) 종자 발아지수는 퇴비내 독성물질과 영양소에 크게 좌우되었으며 퇴비화 전반기에는 무희석처리구의 수치로 볼 때 독성물질에 의한 저해로 간주가 되며 25일 이후 작물의 양적 영양소에 따라 발아지수가 달라졌다. 45일의 발효완료 단계에서의 발아지수는 80 이상을 나타내었다. 3) Humic acid의 E4:E6는 퇴비화 기간 중 25일 이전에는 E4:E6 ratio가 8.86에서 6.76 범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5일 이후 완제품까지는 6.76에서 4.67의 범위에서 감소하였으며 이때의 퇴비화 전기간의 $r^2$ 값은 0.96이였다. 4) 수용성 탄소는 퇴비화 전반기에 0.54%에서 0.78%로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는 0.42%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용성 질소의 경우는 퇴비화 15일령까지 0.22%에서 0.32로 증가하다가 퇴비화 15일령 이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수용성 탄소와 수용성 질소간의 상관계수는 퇴비화 25일령까지인 전반기에 0.12인 반면 퇴비화 25일령 이후에는 0.5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dices affecting composts maturity for swine manure compost produced in a commercial composting facility with air-forced from the bottom. The composting was made of swine manure mixed with puffing rice hull(6: 4) and turned by escalating agitator twice a day....

주제어

참고문헌 (49)

  1.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and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APHA, Washington, D.C. 

  2.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3. Baker, M., Knoop, B., Quiring, S., Beard, A., Lesikar, B., Sweeten, J. and Bums, R 1999. Composting Guide Index. Prepared by the Texas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Solid and Hazardous Waste Management Initiative Team. 

  4. Bernal, M. P., Navarro, A F., Sanchez-Monedero, M. A, Roig, A. and Cegarra, J. 1998. Influence of sewage sludge compost stability and maturity on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in soil.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0:305-311. 

  5. Chanyasak, V. and Garcia, P. 1981. Carbon/nitrogen ratio in water extract as measure of composting degradation J. Ferment, Technol. 59:215-219. 

  6. Chefetz, B., Hatcher, P. G., Hadar, Y. and Chen, Y. 1996.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organic matter during composting of municipal solid waste.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5: 776-785. 

  7. Chen, Y. and Inbar, Y. 1993. Chemical and spectroscopical analyses of organic matter transformations during composting in relation to compost matyrity, p. 551-600. In:H. Holtink and H Keener (eds.) Science and engineering of composting. Renaissance Publications, Washington, Ohio. 

  8. Chen, Y., Senesi, N. and Schnitzer, M. 1977. Information provided on humic substances by E4: E6 ratios. Soil Sci. Soc. Am. J. 41:352-358. 

  9. Clairon M., Zinsou, C. and Nagou, D. 1962. Etude des possibilites d'utIlIzatl-on agronomique des compost d'ordures menageres en milien tropical. I. Agronomie. 2(30):298-300. 

  10. DeVleeschauwer, D., Verdonck. O. and VanAssche, P. 1981. Phytotoxicity of refuse compost. BioCycle 22:44-46. 

  11. Duncan, D. 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erics. 11:142. 

  12. Eng, N. Z. 1951. Second Interim Report of the Interdepartmental Committee on Utilization of Organic Wastes. 61-12: November-December. 

  13. EPA(United States Environnental Production Agency). 1998. An Analysis of Composting As an Environmental Remediation Technology. EPA530-R-98-008. Washington, DC. 

  14. EPA(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duction Agency). 1989. Control of pathogens in municipal wastewater sludge. Center for Environmental Research information. Summary Report EAP/62518-89/016 Cincinnati, Ohio, USA. 

  15. Forgaty, A M. and Tuovinen, O. H 1991. Microbiological degradation of pesticides in yaed waste composting. Microbiol. Rev., 55:225-233. 

  16. Gleuke, G. C. 1977. Biological processing; Composting hydrolysis. In : Hand book of solid waste management. D. G. Wilson(ed)NY Van Nostrand Reinbold. pp. 197-225. 

  17. Golueke, C. G. 1977. Biological reclamation of solid wastes. Redale Press, Emmaus, Pensylvania. 

  18. Haug. R T. 1997. The Practical Handbook of Compost Engineering, Lewis Publishers, Inc., Boca Raton, Florida. U.S.A. 

  19. Hsu, J. H and Lo, S. L. 1999. Chemical and spectroscopic analysis of organic matter transformation during composting of pig manure. Environmental Pollution. 104:189-196. 

  20. Hue, N. V. and Evans, C. E. 1986. Procedures used for soil and plant analysis by the Auburn University Soil testing laboratory. Dept series No. 106. Alabama Agric. Exp., Auburn Univ, Alabama. 

  21. Hue, N. V. and Liu J. 1995. Predictating compost stability. Compost science and utilization. 3(2):8-15. 

  22. Iannotti, D. A., Grebus, M. E., Toth, B. L., Madden, L. V. and Hoitink, H. A J. 1994. Oxygen respirometry to asses stability and maturity of composted municipal solid waste. J. Environ. Qual. 23:1177-1183. 

  23. Iannotti, D. A, Pang, T., Toth, B. L., Elwell, D. L., Keener, H M. and Hoitink, H. A. J., 1993. A quantitative respirometric method for monitoring compost stability. Compost Science & Utilization. 1(3):52-65. 

  24. Jimenez., E. I. and Garcia, V. P. 1992. Determination of maturity indices for city refuse composts.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38:331-343. 

  25. Kahman, L. 1981. Kompostqualitatskriterien und Sxhwermetal, Mull und Abfall 7/81. pp. 188-194. 

  26. Lamey, F. J. 2000. Composting of cattle feedlot manure in southern Alberta. In: 2000 Annual Meeting Abstracts. American Soc. Agron. Madison, Wisconsin. p. 47. 

  27. Miller, F. C. and Finstein, M. S. 1985. Materials balance in the composting of wastewater sludge as affected by process control. J. Wat, Pollut. Contr, Fed. 57:122-127. 

  28. Pare, T., Dinel, H, Schnitzer, M and Dumontent, S. 1998. Transformations of carbon and nitrogen during composting of animal manure and shredded paper. Biol. Fertil. Soils, 26:173-178. 

  29. Raymond P. Poincelot. 1975. The biochemistry and methodology of composting. The Conneticut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9p. 

  30. Riffaldi, R, Levi-Minzi, R, Pera, A and Bertoldi, M. de. 1986. Evaluation of composting maturity by means of chemical and microbial analyses. Waste Manage. Res. 4:387-396. 

  31. SAS. 1988. SAS/STAT. User's Guide(Release 6.03). SAS Inst. Inc., Cary, NC. 

  32. Solbraa, K., Santo M. D., Selmer-Olson, A R and Gislerod, H. R 1983. Composting soft and hardwood bark. BioCycle. 24(4):44-48. 

  33. Strauch, D. 1987. Microbiological specifications of disinfected compost. In: De Bertoldi, M, M. P. Ferranti, P. L. L'Hermite and F. Zucconi, F. (eds.). Compost: Production, Quality and Use. Elsevier Science, London, pp. 210-229. 

  34. Still, S. M., Dirr, M. A. and Gartner, J. B. 1976. Phytotoxic effects of several bark extracts on mung bean and cucumber groth. J. Am. Soc. Horitic. Sci. 101:34-37. 

  35. Sweeten, J. M. 1988. Composting manure and sludge. p. 38-44. 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poultry waste management symposium.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io. 18-19 Apr. 

  36. Tiquia, S. M., Tam, N. F. Y. and Hodgkiss, I. J. 1996. Effects of composting on phytotoxicity of spent pig-manure sawdust litter. Environ. pollut. 93(3):249-256. 

  37. Vicki, B. 1999. Evaluating microbiology of compost. Biocycle May:40(5)62-64. 

  38. Zucconi, F., Pera, A., Forte, M. and Bertoldi, M. de. 1981a. Evaluating toxicity of immature compost. BioCycle. 22:54-57. 

  39. Zucconi, F., Forte, M., Monaco, A. and Bertoldi, M. de. 1981b. Biological evaluation of compost maturity. BioCycle. 22:27-29. 

  40. 김태일, 정광화, 곽정훈, 전병수, 박치호, 김형호, 한정대. 1996. 돈분퇴비 발효과정 중 산소 소모율이 퇴비부숙도에 미치는 영향. 농업과학논문집. 38(2):632-636. 

  41. 김태일, 한영근, 전병수, 유용희, 박주희, 권두중, 김형호, 김경남. 2001. 돈분 퇴비화의 단계별 물질수지 변화를 통한 퇴비 규격화 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3(6):997-1004. 

  42. 김태일, 정광화, 최기춘, 류병희, 곽정훈, 전병수, 박치호, 김형호, 한정대. 1997. 돈분의 호기성 퇴비화 단계별 물리.화학적 성상변화. 축산시설환경학회지 3(1):13-18. 

  43. 박경규, 서상룡, 김상헌, 김현옥, 성삼경, 장동일, 최홍림, 홍지형. 1996. 축산기계 및 시설. 문운당. 

  44. 서명철, 소규허, 박원목. 1999. 가축분 퇴비화 과정에서 부숙도 및 퇴비의 항균활성 검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2(3):285-294. 

  45. 서정윤. 1988. 폐기물의 퇴비화 과정중 물질 변화. 한국환경농학회지 7(2):285-294. 

  46. 서정윤, 1989. 폐기물의 퇴비화 과정중 물질 변화. 한국환경농학회지 8(1):55-59. 

  47. 홍지형. 1988. 호기성 발효퇴비화에 의한 농축산 기타 유기성폐기물의 녹농지 환원 이용. 한국농업기계학회지 13(3):81-90. 

  48. 홍지형. 2001. 농축산 폐기물 퇴비화.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6(1):67-73. 

  49. 황선현, 신창호, 신부영, 조무환, 1999. 온도를 공기량으로 제어한 음식물 쓰레기 호기성 퇴비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지 14(5):621-6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