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얕은 부영양 저수지의 육수학적 특성-계절에 따른 수질변화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a Shallow Eutrophic Reservoir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37 no.2 = no.107, 2004년, pp.180 - 192  

김호섭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2년 1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수심이 얕은 부영양상태의 저수지에서계절에 따른 수질변화와이에 대한 유입 부하량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수심간의 수온차가 $1^{\circ}C\;m^{-1}$ 이상의 수온약층이 5월에 형성되었고, 심층에서 2 mg $O_2\;L^{-1}$ 이하의 낮은 산소농도가 5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었다. $Z_{eu}/Z_{m}$은 0.2${\sim}$l.1의 범위로 수온약층 형성으로 혼합 층이 수심 4m근처이고 유광대 층이 수심 4.3m였던 5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에 유광대층에 비해 혼합층의 수심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체내 질소는 1.1 ${\sim}$ 4.5 mg N $L^{-1}$ 의범위로, 대부분이 용존 형태(Avg. 58.7%)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결빙된 수표면의 해빙 시에 암모니아성 질소와 질산성질소가 증가하였다. 저수지내 총인 농도는43.g${\sim}$126.6 ${\mu}g\;P\;L^{-1}$범위로 대부분은 입자성인의 형태(Avg. 80%)로 존재하고 있었다. 용존무기인 농도는 심층에서의 일시적인 증가가 관찰된 7월과 8월을 제외하고는 10 ${\mu}g\;P\;L^{-1}$ 이하였다. 엽록소 a 농도의 뚜렷한 증가는인 유입부하량이 많았던 7월 (99 ${\mu}g\;L^{-1}$)과 11월 (109 ${\mu}g\;L^{-1}$)에 관찰되었고 수체내 총인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r=0.55, P<0.008, n=22).수층간의 평균 엽록소 a 농도는11월 8일에 84.5${\pm}$29.0 ${\mu}g\;L^{-1}$으로 가장 높았고 2월에13.5${\pm}$ 1.0 ${\mu}g\;L^{-1}$로 가장 낮았다. 유입수량이 증가할 수록유입수내 층인 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r=0.69,P<0.001), 1년 중 강우량이 많았던 7월 25일 하루동안에 연간 총인 유입부하량의 40.5%가 유입되었고, 11월 8일에도 17.1%가 유입되었다.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총인 부하량은 159.0kg P $yr^{-1}$였고, 식물플랑크톤에 의해직접 이용 될 수 있는 용존무기인 부하량은 126.3 kg P $yr^{-1}$로 총인의 77.7%에 해당하였다. 총 질소 부하량은 5.0 ton $yr^{-1}$로 총 인 부하량(159.0 kg P $yr^{-1}$)에 비해 30배 정도 많았으며, 총질소 부하 중 무기질소 부하량은3.9 ton $yr^{-1}$로 총 질소의 78%였다. 인 임계 부하량은 1.6 g ${\cdot}$ $m^{-2}$${\cdot}$$yr^{-1}$으로 과잉임계부하량을 상회하는 수준 이였다. 본 연구결과 저수지의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많은양의 유입 인 부하는 저수지 수질의 계절적인 변화 뿐 만아니라 부영양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중영양상태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총인 유입부하량(159 kg $yr^{-1}$)의 71%가 감소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여름철 심층 산소 고갈이 야기되었고, 이 시기에 퇴적물로 용출된 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될 수 있기때문에 퇴적물에 대한 관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the effect of pollutant loading from watershed in a shallow eutrophic reservoir (Shingu reservoir) from November 2002 to February 2004, Stable thermocline which was greater than $1^{\circ}C$ per meter of the ...

주제어

참고문헌 (47)

  1. 김동섭, 김범철, 황길순, 박주현. 1995a. 팔당호의 부영양화 경향 (1988-1994).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 295-302 

  2. 김범철, 김재옥, 전만식, 황순진. 1999. 소양호 동.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2: 127-134 

  3. 김범철, 허우명, 황길순. 1995b. 도암호의 부영양화 실태. 한국육수학회지 28: 233-240 

  4. 김윤희. 1998. 홍수시 소양호에서 중층탁류의 이동 및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5. 김호섭, 황순진, 2004. 부영양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대한 제한영양염과 질소/인 비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7:36-46 

  6.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2001.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보고서 

  7. 박주현. 2003. 한국 주요호수의 비교육수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환경학과 대학원 이학박사학위논문 

  8. 신재기, 강창근, 황순진. 2003b. 팔당호에서 수중탁도의 일변동과 고탁수 입자의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36: 257-268 

  9. 신재기, 조주래, 황순진, 조경제. 2000. 경안천-팔당호의 부영양화와 수질오염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3: 387-394 

  10. 신재기, 황순진, 강창근, 김호섭. 2003a. 하천형 저수지 팔당호의 육수학적 특성: 수문과 환경요인. 한국육수학회지 36:242-256 

  11. 조경제, 신재기. 1997. 낙동강 중?하류에서 무기 N?P 영양염의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0: 85-95 

  12. 조경제, 신재기. 1998. 낙동강 하류에서 동?하계의 N?P 영양염류와 식물플랑크톤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1: 97-75 

  13. 조규송. 1993. 한국담수동물플랑크톤 도감. 아카데미서적 

  14. 한명수, 유재근, 유광일, 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수질의 연변화: 과거와 현재. 한국육수학회지 26: 141-149 

  15. Agbeti, M.D. and J.O. Smol. 1995. Winter limnology: Com-parison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in two temperature lakes during lakes during ice over. Hydrobiologia 304: 221-234 

  16.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PHA-AWWA-WEF, Washington, D.C., USA 

  17. Carpenter, S.R. and J.R.Kitchell. 1993. Cascading trophic interactions and lake productivity. Bioscience 35: 634-639 

  18. Cooke, G.D., E.G. Welch, S.P. Peterson and P.R. Newroth. 1993.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akes and reser-voirs (2nd ed.). Lewis. Boca Raton. p.548 

  19. Denman, K. and A.E. Gargett. 1983. Time and space scale of vertical mixing and advection of phytoplankton in the upper ocean. Limnol. Oceanogr. 28: 801-815 

  20. Edmonson, W.T. and J.T. Lehman. 1981.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nutrient income on the condition of lake Washington. Limnol. Oceanogr. 26: 1-29 

  21. Faithful, J.W. and D.J. Griffiths. 2000. Turbid flow through a tropical reservoir (Lake Dalrymple, Queensland, Australia): Responses to summer storm event. Lakes & Reservoir Management 5. 231-247 

  22.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2nd edition. McGraw-Hill, Singapore. p. 50 

  23. Hoyer, M.V. and J.R. Jones. 1983. Factors affecting the ralation between phosphorus and chlorophyll a in USA midwestern reservoirs. Can. J. Fish. Aquat. Sci. 40: 192-199 

  24. Hutchinson, C.E. 1957. A treaties on limnology. I, Geogr-aphy Physics and Chemistry. New York, Jone Wiley and Sons Inc. p.1015 

  25. Hwang, Soon-Jin, Chun. G. Yoon and Soon Kook Kweon. 2003. Water quality and limnology of Korean reser-voirs. Paddy & Water Environment 1: 43-52 

  26. Jeppesen, E., P.Kristensen, J.P. Jensen, M. Sndergaard E. Mortensen and T.L. Lauridsen. 1991. Recovery resilience following a reduction in external phosphorus loading of shallow eutrophic danish lakes: duration, regulating factors and methods for overcoming resilience. Memorie dell’sIstituto Italiano di Idrobiologia 48: 127-148 

  27. Kalff, J. 2002. Limnology, Inland Water Ecosystem. Pren-tice-Hall, Inc 

  28. Kimmel, B.L. and M.M. White. 1979. DCMU-enhanced chlorophyll fluorescence as an indicator of the physiol-ogical status of reservoir phytoplankton: An initial eva-luation. pp. 246-262. In: Phytoplankton-environmental interactions in reservoirs (M.W. Lorenzen, ed). U.S. Army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29. Lathrop, R.C. and S.R. Carpenter. 1990. Zooplankton and their relationship to phytoplankton, p.127-150. In: Food Web management (J.F. Kitchell, ed.). Springer-Verlag, New York 

  30. Lillie, R.A. and J.W. Mason. 1983.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sconsin lakes. Tech. Bull No. 138., Dept. Nat. Resour., Madison, WI 

  31. $L\phi vatad$ , O. and K. $Bj\phi rndalen$ . 1990. Nutrients (P, N, Si) and growth conditions for diatom and Oscillatoria spp. in lakes in south-estern Norway. Hydrobiologia 196:255-263 

  32. Marker, A.F.H. 1972. The use of acetone and methanol in the estimation of chlorophyll in the presence of phaeo-phytin. Freshwater Biol. 2: 361-385 

  33. Marker, A.F.H., E.A. Nusch, I. Rai and B. Riemann. 1980. The measurement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fresh-waters and standardization of method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ch. Hydrobiol. Beih. 14: 91-106 

  34. Odum, E.P. 1959. Fundamentals of Ecology. W.B. Saun-ders, Philadephia. p. 546 

  35. Phlips, E.J., M. Cichra, K.E.Havens, C. Hanlon, S. Badylak, B. Rueter, M. Randall and P. Hansen. 1997.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dynamics and the avail-ability of light and nutrients in a shallow subtrophical lake. J. Plankton Res. 19: 319-342 

  36. Prepas, E.E. and F.H. Rigler. 1982. Improvements in quan-tifying the phosphorus concentration in lake water. Can. J. Fisher Aquat. Sci. 39: 882-829 

  37. Reynolds, C.S. 1982. Phytoplankton periodicity its moti-vation, mechanisms and manipulation. Annual Report of the Freshwater Biological Association 50: 60-75 

  38. Reynolds, C.S. 1987. Cyanobacterial water-blooms. In J. Callow (ed), Advances in Botanical Research, Academic Press, London 13: 437-481 

  39. Reynolds, C.S. 1989. Physical determinants of phytop-lankton succession. pp. 9-56. In : Plankton ecology: succession in plankton communities (U. Sommer, ed.). Springer Veri., Berlin 

  40. Schindler, D.W. 1974. Eutrophication and recovery in experimental lakes: implications for lake management. Sci. 184: 897-899 

  41. Sommer, U., Z.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s. Arch. Hydrobiol. 106: 433-471 

  42. Talling, J.F. 1962. Freshwater algae, pp. 743-757. In: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algae (R. A. Lewin, ed.). Academic Press, New York 

  43. Tarapchak, S.J., S.M. Bigelow and C. Rubitschun. 1982. Overestimation of prthophosphorus concentrations in surface waters of southern Lake Michigan: Effects of acid and ammonium molybdate. Can. J. Fish. Aquat. Sci. 39: 296-304 

  44. Thornton, K.W., B.L. Kimmel and F.E. Payne. 1990.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246 pp.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45. Van der Molen, D.T. and P. C. M. Boers. 1994. Influence of internal loading on phosphorus concentration in shal-low lakes before and after reduction of the external loading. Hydrobiologia 275/276: 379-389 

  46. Vollenweider, R.A. 1976. Advances in defining critical loading levels for phosphorus in lake eutrophication. Mem. Ist. Ital. Idrobiol. 33: 53-83 

  47. Williams, W.F. and J.W. Barko. 1991. Estimation of phos-phorus exchange between littoral and pelagic zones during nighttime convective circulation. Limnol. Oceanogr. 36: 179-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