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옹호의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ake Hwaong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37 no.2 = no.107, 2004년, pp.193 - 204  

정미희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호섭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최청일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 화성시 서해안 하구역에 조성된 간척 인공호인 화옹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와 종조성,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2002년 6월에서 11월까지 호내 3개 정점과 호외 1개 정점에서 월별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4개 정점에서 관찰된 식물플랑크톤은 총 5강 8목 26과 63속 192종이었으며, 식물플랑크톤의 총 밀도는 각 정점의 표층에서 24${\sim}$1,882cells $mL^{-1}$로 시기와 정점에 따라 변화의 폭이 컸다. 식물플랑크톤의 총밀도는 염분도, pH, BOD, COD, SS, TN 및 TP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조류의 밀도와 관계가 있는 요인은 염분, SS, BOD, COD 및 TN으로 나타났다. 다소 지역적인 차이는 있으나 거리에 따른 농도 구배가 엽록소-a, 총인 및 총질소 모두에서 똑같이 나타남으로써 선행강우로 인한 영양염의 유입이 안정된 시기에 식물플랑크톤의 발달로 나타났다고 추정되었다. 화옹호 태동기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는 해양성 조류, 특히 규조류에 의해 좌우되고 있으며, 이들의 시 ${\cdot}$ 공간적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염분도, 강우사상, 영양염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결과로 판단할 매 화옹호의 현재 환경은 해수의 교환, 희석(강우사상)과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기원 영양염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상태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both temporal and spati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in a newly made reclaimed esturine lake (L. Hwaong). Monthly sampling was conducted at 4 sites covering the longest transect of longitudinal gradient of the lake from Ju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형성 초기단계에 있는 간척 인공호수인 화옹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적인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리·화학적 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화옹호 태동기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경기도.(2000). 화옹호 수질개선대책. 보고서 

  2. 권기영, 이평강, 박 철, 문창호, 박미옥. 2001.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동시식물플랑크토의 현존량 및 종조성. 한국해양학회지'바다' 6: 93-102 

  3. 신윤근, 김영길. 2002.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5: 187-197. 

  4. 신윤근, 전상호. 2002.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상태. 한국육수학회지 35: 181-186 

  5. 신재기, 김동섭, 조경제. 2000. 시화호에서 무기영양염과 식물 플랑크톤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3: 109-118 

  6. 신재기 2003. 평택호에서 수환경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동태. Algae 18: 145-156 

  7.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V. 34 식물편 (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8. 황순진. 2002. 화옹호 조성에 따른 수질오염도 및 생태계 변화 추이 조사. 안산환경기술개발센터 

  9. 최 상 1969. 한국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연구 III. 1967년 5월 북동부 한국해협 표층수의 식물플랭크톤의 양과 분포한국해양학회지 4: 1-8 

  10. 최중기, 이은희, 노재훈, 허성회. 1997. 시화호와 시화호 주변 해역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일차 생산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 78-86 

  11. 최중기, 이진환, 이 경. 1995. 한국산 돌말류 (규조류)의 분류학적 연구. I. 분류체계와 분류계급의 한국명화. 한국조류학회지 10: 1-11 

  12. 환경부. 1997. 수질오염공정시험법 

  13.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 C., USA 

  14. Boney, A.D. 1975. Plytoplankton. Adward Arnold, London.pp.236 

  15. Chapmann, D. (Ed.) 1996. Water quality assessments. 626pp. E&FN Spon. London 

  16. Bougis, P. 1976. Marine plankton ecology. N.H. publishing. Netherlands 

  17. Choi, J.L. and J.H. Shim. 1986.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lankton. J. Korean Soc. Oceanogr. 21:156-170 

  18. Choi, J.L. and J.H. Shim. 1988.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V. The successional mechanism and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J. Korean Soc. Oceanogr. 23: 1-12 

  19. Elser, J.J. and B.L. Kimmel. 1985. Phytoinhibition of tem-perate lake phytoplankton by near-surface irradiance: Evidence from vertical profiles and field experiments. J. Phycol. 21: 419-427 

  20. Hwang, S.J., H.S Kim, M.H. Chung and C.I. Choi. 2003.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at the birth stage of a large reclaimed estuarine lake in Korea (Lake Hw-aong). Korean J. Limnol. 36: 455-462 

  21. Isamu, Y. 1982. Illustrations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Hoikusha. Japan 

  22. Iwasaki, H. 1979.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ritic red tide f lagellates. In: Toxic dinof lagellates blooms, Taylor, D.L. and H.H. Seliger (eds.) Elsevier, North Holland. pp. 95-98 

  23. James, A. and L. Evison. 1979. Biologic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24. Jewson, D.H. and R.B. Wood. 1975. Some effects on inte-gral photosynthesis of artificial circulation of phyto-plankton through light gradients. Verh. Int. Verein. Limnol. 19: 1037-1044 

  25. Kondo, K., Y. Seike and Y. Date. 1990. Red tides in the brackish Lake Nakanoumi (II), Relationships between the occurrence of Procentrum minimum red tid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Bull. Plank. Soc. Jpn. 37:19-34 

  26. Marker, A.F.H. 1972. The use of acetone and methanol in the estimation of chlorophyll in the presence of phaeo-phytin. Freshwat. Biol. 2: 361-385 

  27. Marker, A.F.H., E.A. Nusch, I. Rai and B. Riemann. 1980. The measurement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fresh-waters and standardization of method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ch. Hydrobiol. Beih. 14: 91-106 

  28. Marra, J. 1978. Effects of short-term variations in right intensity on photosysnthesis of a marine phytoplankton: A laboratory simulation study. Mar. Biol. 46: 191-202 

  29. Moon, C.H. and W.M. Dunstan. 1990. Hydrodynamic trapping in the formation of chlorophyll a peak in turbid, very low salinity waters of estuaries. J. Plankton Res. 12: 323-336 

  30. Nybakken, J.W. 1997.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31. Odum, E.P. 1974. Fundamentals of ecology (3rd Ed.). W.B. Saunders, Philadelphia 

  32. Parsons, P.R. N. Takahasi N. and B. Hargrave. 1984. Biolo-gical Oceanographic Processes 3rd Edition. Pergamon Press Ltd, Oxford, England 

  33.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131-144 

  34. Seike, Y., K. Kondo, Y. Date and Y. Ishida. 1986. Nitrogen metabolism in the brackish Lake Nakanoumi (I), Uptake rate of inorganic nitrogen by phytoplankton. Jpn. J. Limnol. 47: 121-132 

  35. Simonsen, R. 1979. The diatom system : Ideas on phylo-geny. Bacillaria 2: 9-71 

  36.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pp.8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