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s and Satisfactions of Visitors at Natural History Museum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5 no.5, 2004년, pp.315 - 326  

최지은 (청주교대 과학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관람 유형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 소재 초, 중, 고 학생, 교사, 학부모, 그리고 대학생들 204명이었고, 연구 결과는 교차 분석카이 제곱 검증 등을 통해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연사 박물관 관람의 지배적인 행동 유형을 알아본 후, 그 다음 이것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지배적인 관람 행동 유형은 '가족 단위'의 관람, '여가와 단순 관람'의 목적, '설명카드'를 읽으면서 관람하는 방식, 그리고 평균 '2시간 이상'의 관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행인이 가족과 혼자인 경우, 과학에 대한 관심으로 관람하는 경우, 설명카드나 설명을 들으면서 하는 관람 등은 관람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셋째, 학교 단체 관람객, 여가 및 단순관람의 목적, 과제탐구의 목적 그리고 전시물만 보는 관람방식은 관람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넷째, 관람 시간이 길수록 관람 만족도가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behavior and their satisfaction at Natural History Museum (NHM). This study involves 204 participants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ir teachers and parents, and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수적으로, 전시 만족도, 교육적 효과, 자연사 인식의 변화 등 3개 변인의 값을 합산하여 카이 제곱 검증을 한 결과 응답자수가 20%미만인 셀이 늘어나 검증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응답 경향은 전시 만족도와 관련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와 유사하였기에 본 논문에서는 보다 명백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 전시 만족도와 관련변인간의 관계만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중 관람 시간을 제외한 3개 변인들과 관람 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다만, 전시 만족도와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가 보다 분명한 패턴을 보여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 결과만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수적으로, 전시 만족도, 교육적 효과, 자연사 인식의 변화 등 3개 변인의 값을 합산하여 카이 제곱 검증을 한 결과 응답자수가 20%미만인 셀이 늘어나 검증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 박물관 관람 후 가장 기억에 남는 전시물에 관해 알아보았다. Table 7과 같이 전체적으로 동물(37%), 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고, , 고고 인류학(27%), 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 박물관을 관람한 후 어느 정도 교육적 효과가 있었는가를 질문하였다. 그 결과 Table 9과같이, 새로운 것을 많이 배웠다(29%), , '조금 새로운 것을 알게 되었다(49%), 라고 응답해 전체 78% 이상이 긍정적인 교육효과가 있다고 생각했다.
  • 본 연구는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관람 유형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조사를 목적으로, 자연사 박물관 관람의 지배적인 행동 유형을 알아본 후, 이들 유형에 따른 관람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몇 가지 의미 있는 결과는 첫째, 자연사 박물관 관람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주로, 가족 단위, 의 관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방문 목적으로는 '여가와 단순 관람'이 가장 많았으며, 또한 관람 방식은 '설명 카드, 를 이용한 관람이 가장 지배적이었고, 평균 관람 시간은, 2시간 이상, 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국민 인식, 만족도, 요구 조사 연구, 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전체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급별, 성별, 지역, 학교 유형에 따른 단계적 표집을 하였고, 이에 따라 총 2560명이 표집 되었다(최지은, 2004, 심사중).
  •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자연사 박물관에서 관람객의 행동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학습과 관련한, 관람객 행동을 조사함으로써 전시물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 대표적으로 Sandifer(1997)는 한 과학박물관을 대상으로 관람객들의 행동을 전체 관람시간과 특정 전시물을 관람한 시간의 차이를 기초로 가족 및 비가족 관람객의 행동의 차이와 주중 및 주말 관람객의 행동의 차이를 연구한 바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방문 시기와 관계없이, 비가족들보다 가족들이 전체적으로 각각의 전시물과 과학 박물관에서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사 박물관을 대상으로 학생을 포함한 교사, 학부모들의 관람 행동 유형을 조사하고, 이들 유형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크게 다음 2가지이다.
  • 특히 자연사 박물관을 직접적으로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며, 더욱이 사례연구 외의 전국적 표집에 의한 조사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사 박물관을 관람한 사람들의 관람 만족도를 전국적인 표집을 통해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박물관 관람의 지배적인 행동 유형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박상달, 1983, 학생과학관 운영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5 p 

  2. 박승재 등, 2000, 청소년 학교 밖 과학활동 진흥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0-18, 98 p 

  3. 송진응, 2002, 청소년 학교 밖 과학활동 지원 시설에 대한 실태 조사 및 DB구축. 한국과학문화재단, 2002-075, 57 p 

  4. 이기우, 1996, 시.도 과학교육원의 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4 p 

  5. 이병훈, 1997, 자연사박물관과 생물다양성. 사이언스북스, 서울, 30 p 

  6. 이윤경, 1990, 체험학습을 위한 과학관 전시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 p 

  7. 이태호, 1997, 현단계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진단과 전망. 교육철학, 18, 27-53 

  8. 정순지, 1984, 과학관 전시연출의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사관 금속공예실 전시 공간 계획.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9 p 

  9. 최고운, 1996, 과학관 이용자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4개 과학관의 전시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0 p 

  10. 최지은, 2004, 자연사 및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국민 인식 연구. 과학교육학회지. (심사중) 

  11. Beiers, R.J. and McRobbie, D.J., 1992, Learning in interactive science cent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 38-44 

  12. Dieking, L.D. and Falk, J.H., 1994, Farnily behavior and learning in informal science settings: A review of the research. Science Education, 78 (1), 57-72 

  13. Falk, J.H., 1991, Analysis of the behavior of farmily visitors in natural history museums. Curator, 34 (1), 44-50 

  14. Falk, J.H., 1983, Field trips: A look at environmental effects on learning.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7 (2). 137-142 

  15. Flexer, B.K. and Borun, M., 1984, The impact of a class visit to a participatory science museum exhibit and a classroom science less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 (9), 863-873 

  16. Hein, G.E., 1995, The constructivist museum. Journal of Education in Museums, 16, 21-23 

  17. McManus, P.M., 1987, It's the company you keep: The social determination of learning-related behavior in a science museum. International Journal of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6, 263-270 

  18. McManus, P.M., 1988, Good companions: More on the social determination of learning-related behavior in a science museum. International Journal of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7, 37-44 

  19. NMNH, 1993, Mission statement and annual report.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20. Randol, S.M., 2003, The effect of a previsit activity on the quality of inquiry at museum exhibits. NARST 

  21. Sandifer, C., 1997, Time-based behaviors at an interactive science museum: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weekday/weekend and family/nonfamily visitors. Science Education, 81, 689-701 

  22. Stronck, D.R., 1983, The comparative effects of different museum tours on children's attitudes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4), 283-290 

  23. Wright, E.L., 1980, Analysis of the effect of a museum experience on the biology achievement of sixth-grad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7 (2), 9910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