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해역에서 와편모조류 휴면포자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at the Saemangeum Area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7 no.3, 2004년, pp.202 - 208  

박기홍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김근용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김창훈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김학균 (국립수산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was investigated by palynological processing to understand the harmful algal bloom (HAB) potential in the sediment of the Saemangeun area in 2003. In total, thirty-two dinoflagellate species were identified, and their concentration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후 시료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10mL의 47% HF를 첨가하고 24시간 방치하여 규산질 (모래, 진흙 입자, 규조류 등)을 녹였다. 다시 증류수로 세척한 시료를 Ultrasonic Cleaner (5210, BRANSON)를 이용하여 30 초간 초 음파 처 리하고, 125 “m Nylon mesh에 여과한 뒤, 20 “m Nylon mesh 위에 걸러진 입자를 모아 증류수를 일정량 첨가하였다. 준비된 시료는 1-0.
  • , 2002). 본 연구는 황해의 대규모 간척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새만금 해역에서 저질 내 와편모조류 분포량을 정점별, 계절별로 정량.정성 분석하여 이 지역에서의 적조 발생 잠재력을 예측하였다.
  • 1)에서 Van Veen Grab 채니 기를 이용하여 표층 3 cm의 저질을 채집한 후, 분석 전까지 암냉소에 보관하였으며 고생물학적 방법 (Cho and Matsuoka, 2001)으로 처리하였다. 저질의 함수비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골고루 섞은 저질을 70℃에서 12 시간 건조시켜 무게 (3회 평균값)를 구하였다. 동일한 시료를 15 mL 원심튜브 에 1-2 mg 정도 넣고 무게를 측정한 후 10mL의 10% HC1 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하여 저질 내의 탄산질 (유공충, 패각 등)을 제거하였다.
  • 본 연구는 황해의 대규모 간척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새만금 해역에서 저질 내 와편모조류 분포량을 정점별, 계절별로 정량.정성 분석하여 이 지역에서의 적조 발생 잠재력을 예측하였다.
  • 조사 해역의 와편모조류 휴면포자 분포 조사는 2003년 2, 5, 8, 11월에 계절별로 8개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Fig. 1). 동계 인 2월에는 총 24종이 25-728 cysts-g' 범위로 출현하였으며, Stas 2, 6, 7에서 분포량이 많았으나, Stas 1, 3, 4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Table 1).
  • 다시 증류수로 세척한 시료를 Ultrasonic Cleaner (5210, BRANSON)를 이용하여 30 초간 초 음파 처 리하고, 125 “m Nylon mesh에 여과한 뒤, 20 “m Nylon mesh 위에 걸러진 입자를 모아 증류수를 일정량 첨가하였다. 준비된 시료는 1-0.5 mL씩 덜어 도립현미경 (Axiovert 200, ZEISS)으로 검경하고 Matsuoka and Fukuyo (2000)에 따라 동정하였다. 시료 처리 과정에서 형태가 변하여 식별하기 어려운 휴면포자는 미동정 종에 포함시켰다.

대상 데이터

  • 본 조사에 사용된 시료는 8개 정점 (Fig. 1)에서 Van Veen Grab 채니 기를 이용하여 표층 3 cm의 저질을 채집한 후, 분석 전까지 암냉소에 보관하였으며 고생물학적 방법 (Cho and Matsuoka, 2001)으로 처리하였다. 저질의 함수비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골고루 섞은 저질을 70℃에서 12 시간 건조시켜 무게 (3회 평균값)를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D.M. and D. Wall. 1978. Potential importance of benthic cysts of Gonyaulax tamarensis and G. excavata in initiation toxic dinoflagellate blooms. J. Phycol., 14, 224-234 

  2. Anderson, D.M. 1980. Effects of temperature condition- ing on development and germination of Gonyaulax tamarensis (Dinophyceae) hypnozygotes. J. Phycol., 16, 166-172 

  3. Anderson, D.M., Y. Fukuyo and K. Matsuoka. 2003. Cyst methodologies. In: Manual on Harmful Marine Micro-algae. Hallegraeff, G.M., D.M. Anderson and A.D. Cembella, eds. Intergover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UNESCO, France, pp. 165-189 

  4. Balech, E. 1995. The Genus Alexandrium Halim (Dino- flagellata). Sherkin Island Marine Station, Sherkin Island, Co. Cork, Ireland. 151 pp 

  5. Bolch, C.J. and G.M. Hallegraeff. 1990. Dinoflagellate cysts in Recent marine sediment from Tasmania, Australia. Bot. Mar., 33, 173-192 

  6. Bolch, C.J.S. 1997. The use of sodium polytungstate for the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of living dino- flagellate cysts from marine sediments. Phycologia, 36, 472-478 

  7. Cho, H.J. and K. Matsuoka. 2001. Distribution of dino- flagellate cysts in surface sediments from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Mar. Micropaleontol., 42, 103-123 

  8. Cho, H.J., C.H. Kim, C.H. Moon and K. Matsuoka. 2003. Dinoflagellate cysts in Resent sediment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Bot. Mar., 46, 332-337 

  9. Dale, B. 2001. Marine dinoflagellate cysts as indicators of eutrophication and industrial pollution: A discus- sion. Sci. Total Environ., 264, 235-240 

  10. Fukuyo, Y., H. Takano, M. Chihara and K. Matsuoka. 1990. Red Tide Organisms in Japan, An Illustrated Taxonomic Guide. Uchida Rokakuho, Tokyo, Japan, pp. 407 

  11. Hallegraeff, G.M. 2003. Harmful algal blooms: a global overview. In: Manual on Harmful Marine Microalgae. Hallegraeff, G.M., D.M. Anderson and A.D. Cem- bella, eds. Intergover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UNESCO, France, pp. 19-49 

  12. Hallegraeff, G.M., M.A. McCausland and R.K. Brown. 1995. Early warning of toxic dinoflagellate blooms of Gymnodinium catenatum in southern Tasmanian waters. J. Plankton Res., 17, 1163-1176 

  13. Kim, H.G., C.S. Jung, W.A. Lim, C.G. Lee, S.Y. Kim, S.H. Youn, Y.C. Cho and S.G. Lee. 2001. The spatio- temporal progres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J. Kor. Fish. Soc., 34, 691-696. (in Korean) 

  14. Kim, S.Y., C.H. Moon and H.J. Cho. 2003a. Relationship between dinoflagellate cyst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s and phytoplankton assemblages from Gwangyang Bay, a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J. Kor. Soc. Oceanogr., 8, 111-120. (in Korean) 

  15. Kim, S.Y., C.H. Moon and H.J. Cho. 2003b. Vertic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Korea. J. Kor. Fish. Soc., 36, 290-297. (in Korean) 

  16. Landsberg, J.H. 2002. Effects of algal blooms on aquatic organisms. In: Reviews in Fisheries Science. Stickney, R.R. ed. CRC Press, Boca Raton, pp. 118-125 

  17. Lee, M.H., J.B. Lee, J.A. Lee and J.G. Park. 1999. Community structure of flagellates and dynamics of resting cysts in Kamak Bay, Korea. Algae, 14, 255-266. (in Korean) 

  18. Matsuoka, K., Y. Fukuyo and C.L. Gonzales. 1989. A new discovery of cysts of Pyrodinium bahamense var. compressum from the Samar Sea, Philippines. In: Red Tides,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Toxicology. Okaich, T., Anderson, D.M. and Nemoto, T. eds. Elsevier Sci. Publ., New York. pp. 301-304 

  19. Matsuoka, K. 1999. Eutrophication process recorded in dinoflagellate cyst assemblages- a case of Yokohama Port, Tokyo Bay, Japan. Sci. Total Environ., 231, 17-35 

  20. Matsuoka, K. and Y. Fukuyo. 2000. Technical Guide for Modern Dinoflagellate Cyst Study. WESTPAC-HAB, Asian Natural Environmental Science Center, Tokyo, pp. 29 

  21. Matsuoka, K. 2001. Further evidence for a marine dino- flagellate cyst as an indicator of eutrophication in Yokohama Port, Tokyo Bay, Japan. Comments on a discussion by B. Dale. Sci. Total Environ., 264, 221-233 

  22. MA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1999. Studies on tidal land reclamation and creation of environment amenity.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pp. 346-347. (in Korean) 

  23. MOMA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3a. Integrated preservation study in the oceanic environment in the Saemangeum area (1st year): hydrography and water movement.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pp. 205. (in Korean) 

  24. MOMA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3b. Integrated preservation study in the oceanic environment in the Saemangeum area (1st year): marine geological processes from tidal flats to inner shel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pp. 76-124. (in Korean) 

  25. Nehring, S. 1997.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from Recent German coastal sediments. Bot. Mar., 40, 307-324 

  26. Satake, M., T. Ichimura, K. Sekiguchi, S. Yoshimatsu and Y. Oshima. 1999. Confirmation of yessotoxin and 45,46,47-trinoryessotoxin production by Proto- ceratium reticulatum collected in Japan. Nat. Toxins 7, 147-150 

  27. Steidinger, K.A. and K. Tangen. 1997. In: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Dinoflagellates. Tomas, C.R. ed. Academic Press, California, USA. pp. 387-590 

  28. Yamaguchi, M., S. Itakura, I. Imai and Y. Ishida. 1995. A rapid and precise technique for enumeration of resting cysts of Alexandrium spp. (Dinophyceae) in natural sediment. Phycologia, 34, 207-214 

  29. Yoo, Y.D., H.J. Jeong, J.H. Shim, J.Y. Park, K.J. Lee, W. Yih, H.K. Kweon, S.J. Pae and J.K. Park. 2002.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outhern Saemankeum areas, Jeonbuk, Korea 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ummer-fall of 1999. J. Kor. Soc. Oceanogr., 7, 129-13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