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초기 칠정산 외편의 일식 계산
THE SOLAR ECLIPSE PREDICTIONS OF CHILEONGSAN-OEPYEON IN EARLY CHOSEON 원문보기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v.21 no.4, 2004년, pp.493 - 504  

안영숙 (한국천문연구원) ,  이용삼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초록

동아시아의 역사서에는 일식에 대한 기록들이 다른 천문현상들에 비해 많이 나타난다. 이것은 전통적으로 일식은 왕조의 운명과 연관되어있다는 정치적인 사상 때문이다. 조선시대까지도 태양은 임금을 상징하였고, 일식이 일어나면 일식이 무사히 지나가도록 임금이 제사하는 구식례(求食禮)을 지내곤 했다. 따라서 당시의 임금은 일식에 대한 정확한 예보를 얻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일이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초기의 일식 예측은 잘 맞지가 않았다. 이에 세종은 당시 수도인 한양의 위치에 맞는 역법서(曆法書)인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편찬하였고, 이로 인해 비로소 조선의 자주적인 역법(曆法)이 확립되었다. 칠정산외편은 아라비아의 역법인 회회력(回回曆)을 기초로 해서 만들어진 역법으로 조선 초기의 일식 계산에서는 당시의 여러 역법 계산 결과보다 더 정확하였고, 현대적인 계산 방법과 비교하여 보아도 오차의 범위내에 잘 들어맞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istory books of East Asia about astronomical phenomena have the more records of the solar eclipse frequently than any other ones. It is because traditionally, the solar eclipse moaned the fate of dynasty and the king's rule. The Sun, the biggest thing in the heaven symbolized the king, a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일식의 정확한 계산과 예보는 조선시대에서도 아주 중요한 국가기관의 임무였음을 알 수 있다. 그 당시의 일식 예보는 역관(曆官)들이 당시의 여러 역법들을 이용해 계산해서 비교해 보고, 실제 관측을 해서 검증하였다.
  • 그리고 일식이 일어나면 국가나 왕실에 변고가 생길 재이(災異)의 한 현상으로 받아들였다. 그에 따라 왕궁에 천문관 측시설을 설치하여 하늘을 열심히 관찰하면서 특히 일식, 월식과 같은 현상을 주의 깊게 관측을 하여 기록으로 남겼고, 그에 관한 이론과 역법을 연구하여 일식을 정확히 예보하려고 노력했다. 일식이 일어나면 임금을 비롯한 많은 신하들이 궁전 뜰에 모여 일식이 무사히 지나가기를 바라는 구식례(求食 禮)를 지냈다는 기록을 조선시대 사서(史書)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다.
  • 이 연구를 통하여 조선시대의 일식 계산법 중 조선 초기와 중기에 많이 쓰여진 칠정산 외편에 의한 일식 계산방법을 살펴보고, 그 계산된 값들을 당시에 사용한 다른 방법의 역법과 현대의 역법에 의한 계산법과 비교해보면서 당시의 일식 계산방법에 대해 논의해보려고 한다.
  • 이것은 고대부터 사람들은 자연재해 못지않게 천문현상을 중요시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천문현상은 하늘에서 일어나지만 인간과 유기적인 관계가 있다고 믿었고, 당시의 사람들은 이것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려 하였다. 특히 천문현상중에는 일식에 대한 기록이 많이 나타나는데, 왕권은 하늘의 뜻에 의해 결정되어진다는 중국의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나 동중서의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전통적인 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종권 번역 1978, 한국명저대전집, 삼국사기 (서울 : 대양서적) 

  2. 민족문화추진회 1980, 증종실록 18, 331 

  3. 민족문화추진회 1994, 승정원일기 

  4. 서울시스템 1997, 중보판 국역 조선왕조실록 CD (서울: 서울 시스템) 

  5. 서울시스템 1998, 고종순종실록 CD (서울: 서울 시스템) 

  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68-1992, 국역 조선왕조실록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중보문헌비고 상위고 (서울: 천풍인쇄주식회사) 

  8.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1990a, 세종장헌대왕실록 제 26권 칠정산내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9.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1990b, 세종장헌대왕실록 제 27권 칠정산외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0. 안영숙, 이용복, 김동빈, 심경진, 이우백 1999, 고려시대 일식도 (대전: 한국천문연구원) 

  11. 안영숙, 이용복, 김동빈, 심경진, 이우백 2001, 조선시대 일식도 (대전: 한국천문연구원) 

  12. 이용삼 2001, 충북대 자연과학연구, 15권 (청주 : 충북대학교), pp. 17-34 

  13.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서울: 정음사), pp.330-339 

  14. 현정준 1976, 세계의 역, 이종수 편역 (서울: 삼성문화문고), p. 266 

  15. Fiala, A. D., & Bangert, J. A. 1992, Explanatory Supplement to Astronomical Almanac, ed. P. K. Sidelmann (California: University Science Books), Chap.8 

  16. Meeus, J. 1991, Astronomical Algorithms (Virginia: Willmann-Bell, Inc), p.349 

  17. Standish, E. M. 1996, JPL Planetary and Lunar Ephemerides on CD-ROM (Virginia: WillmannBell Inc.) 

  18. Toomer, G. J. 1998, Ptolemy's Almagest (New Jersey: Princeton Univ.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