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남지역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의 발생소장, 콩 피해 및 약제방제 효과
Seasonal Occurrence, Soybean Damage and Control Efficacy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at Soybean Field in Honam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3 no.3 = no.136, 2004년, pp.249 - 255  

이건휘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백채훈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최만영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오영진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두호 (농촌진흥청 연구개발국) ,  나승용 (농촌진흥청 연구개발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호남지역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소장, 콩 피해 및 약제방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은 콩 파종시기 및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경 파종은 8월 하순에, 6월 중순경 파종은 9월 중순 이었고, 파종기가 동일하더라도 연차간 기상조건에 따른 중 생육상의 차이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최성기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의한 콩 흡즙 피해 면적을이 증가하면 발아율이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특히, 콩 피해면적율이 $50\%$ 이상 되면 발아율이 $2\%$로 매우 낮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약제방제효과는 콩 생육단계중 $R_4$(착협성기)+ $R_5$(립비대기)+ $R_6$(립비대성기)에 3회 처리시 $91\%$의 방제효과로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easonal Occurrence, soybean damage and control efficacy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at soybean field in Honam province. Occurrence of R. clavatus varied at seeding times with annual difference. The peak occurrence of R. clavatus was appeared at 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6 m)내에 명 주나 물 콩을 파종하여 개화 전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25쌍을 접종하여 수확 전까지 두면서 피해 증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피해 정도별 발아율 조사는 수확된 콩 종자를 대상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흡즙된된 콩 종자 개체 당 표면적에 대한 피해면적율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항온기(0L:24D, 23℃) 내에서 1주일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매일 조사하였다. 이때 발아 여부는 싹 길이가 5mm 이상 된 종자를 발아된 종자로 판정하였다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약제 방제시기 및 방 제 횟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 전라북도 김제시 호남농업연구소 포장에 명주 나물 콩을 6。Xi0cm의 재식거리를 두고 6월 중순에 파종한 후 etofenprox 유탁제(1,000배, 140-160L/10a)를 콩 생육 시기인 R" 착부터 R"립비대성기)까지 1。일 간격으로 각각 1회, 2회, 3회 살포하였다. 구당 면적은 30D? 로 처리 구와 무처리구 모두 3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 만 기재 배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 미허 리 노린재 발생소 장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 동안 전라북도 김 제시 호남농업연구소 포장에 명주 나물 콩을 60x10 cm의 재식거리를 두고, 6월 중순에 파종한 후 10일 간격으로 포충망(직경 45 cm)을 사용 25회 왕복하여 성충을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조기재배 콩 포장에서 발생은 2003년 5월 하순에 파종하여 조사하였다. 피해 증 상은 망사케 이 지(가로7 X 세로4.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콩의 피해 증상을 관찰한 결과, 피해를 받은 콩의 잎이나 줄기는 현저하게 무성하고 줄기의 마디마디에 작은 잎이 나와 수확기에도 잎이 파랗게 남아있어 생식 성장으로 전환되지 못하고 계속적인 영양 생장을 함으로써 충실한 콩 립 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Fig. 3①). 또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콩잎과 줄기도 홉 즙 하지만 주로 꼬투리를 가해하면서 피해를 주기 때문에 생식생장기 초기에 가해를 받은 꼬투리는 생육이 정지되어 꼬투리가 떨어지거나 기형으로 되었으며, 일부는 하얗게 변색되었는데(Fig.
  • 조기재배 콩 포장에서 발생은 2003년 5월 하순에 파종하여 조사하였다. 피해 증 상은 망사케 이 지(가로7 X 세로4.3 X 높이 1.6 m)내에 명 주나 물 콩을 파종하여 개화 전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25쌍을 접종하여 수확 전까지 두면서 피해 증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피해 정도별 발아율 조사는 수확된 콩 종자를 대상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흡즙된된 콩 종자 개체 당 표면적에 대한 피해면적율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항온기(0L:24D, 23℃) 내에서 1주일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매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만 기재 배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 미허 리 노린재 발생소 장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 동안 전라북도 김 제시 호남농업연구소 포장에 명주 나물 콩을 60x10 cm의 재식거리를 두고, 6월 중순에 파종한 후 10일 간격으로 포충망(직경 45 cm)을 사용 25회 왕복하여 성충을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조기재배 콩 포장에서 발생은 2003년 5월 하순에 파종하여 조사하였다.

데이터처리

  • 방제가는 무방제 피해립율 대비 처리구별 피해립 율로 산출하였으며며, 수량은 각 처리구별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부 위 10 n? 에서 종실 수량을 구해 10a로 환산하였다. 피해 립율과 피해 정도별 발아율은 SAS (SAS Institute, 200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과 각 처리 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Y.J., G.H. Kim and K.Y. Cho. 1992. Susceptibility of embryonic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 stages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to diflubenzuron. Kor. J. Appl. Entomol. 31: 480-485 

  2. Chung, B.K, S.W. Kang and J.H. Kwon. 1995. Damages, occurrence and control of hemipterous insects in non-astringent persimmon orchards. RDA. J. Agri. Sci. 37: 6-382 

  3. Ha K.S., N.K. Heo. J.R. Kim and S.H. Song. 1998. Effect of different seeding times and soybean varieties on damages and occurrence of hemiptera insects. RDA. J. Crop Prot. 40: 32- 36 

  4. Han, S.C. and K.M. Choi. 1988. Control and major insect pests on soybean in Korea. RDA Symposium. 3: 153-165 

  5. Honda, K. 1986. Estimation of the number of damaged soybean seeds caused by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Tohoku Agricultural Research 39: 157-158 

  6. Ito, K. 1982. Possible host plants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before immigrating into soybean fields. Proceed. of the Kanto Tosan pI. Prot. Soc. 29: 125-126. 

  7. Kang, C.H., H.S. Huh and C.G. Park. 2003. Review on true bugs infesting tree fruits upland crops and weeds in Korea. Kor. J. Appl. Entomol. 42: 269-277 

  8. Kim, G.H., Y.J. Ahn and K.Y. Cho. 1988 Susceptibility of insecticides to the developmental stages in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Kor. J. Entomol. 18: 269-274 

  9. Kim, J.B., D.S. Kang, T.S. Kim, T.S. Kim, W.K. Shin and Y.S. Lee. 1994.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Nysius plebejus Distant (Hemiptera: Lygaeidae) an insect pest of chrysanthemum. Kor. J. Appl. Entomol. 33: 56-59 

  10. Kono, S. 1989. Analysis of soybean seed injuries caused by species of stink bugs. Jpn. J. of Appl. Entomol. and Zool. 33: 128-133 

  11. Lee, D.W., G.C. Lee, S.W. Lee, C.G. Park, H.Y. Choo and C.H. Shin. 2001. Survey on pest management practice and scheme of increasing income in sweet persimmon farms in korea. The Kor. J. Pest. Sci. 5: 45-49 

  12. Lee, K.C., C.H. Kang, D.W. Lee, S.M. Lee, C.G. Park and H.Y. Choo. 2002. Seasonal occurrence trends of Hemipteran bug pests monitored by mercury light and aggregation pheromone traps in sweet persimmon orchards. Kor. J. Appl. Entomol. 41: 233-238 

  13. Lee, S.G., J.U. Yoo, C.Y. Hwang. B.R. Choi and J.O. Lee. 1997.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RDA. J. Crop Protec. 39: 25-27 

  14. Natuhara, Y. 1985. Migration and oviposition in the bean bug, Thunberg(Hemiptera). PI. Prot. 39: 153-156 

  15. SAS Institute. 1991. SAS/STAT user's guide, Ststistics, Version 6.04. SAS Institute, Cary, N. C., USA 

  16. Son, C.K., S.G. Park, Y.H. Hwang and B.S. Choi. 2000. Field occurrence of stink bug and its damage in soybean. Kor. J. Crop Sci. 45: 405-410 

  17. Suzuki, N., N. Hokyo and K. Kiritani. 1991. Analysis of injury timing and compensatory reaction of soybean to feeding of southern green stink bug and the bean bug. Appl. Entomol and Zool. 26: 279-287 

  18. Teramoto, S. and Nagai. 1983. Occurrence and control of stink bugs on autumn soybean crop in drained paddy field. Kyushu Agricultural Research 45: 124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