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렁이 사육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부숙정도와 분변토 혼합비의 영향
Investigation on optimal factors in regard to matureness degree of food waste and mixing rate of the casting in vermicomposting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12 no.2, 2004년, pp.72 - 81  

김영구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상준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훈근 (국립환경연구원 폐기물 자원과) ,  배재근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체 유기성폐기물 가운데 약 30%가량을 차지하는 음식물쓰레기는 높은 염분과 함수율로 인해 적정 처리 방안의 부재라는 상황에서 기존의 처리방법들에 비해 보다 환경친화적인 지렁이를 이용한 퇴비화 방안은 최근 들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지렁이 이용기술은 도입초기의 운영방법 및 기술이 현재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자료부족과 경험부족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단계에서 높은 수분, 염분, 그리고 유기물 함량은 지렁이의 생육에 큰 저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처리 단계에서 가능한 한 수분의 양을 줄이고 유기물을 1차적으로 분해하여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에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염분농도와 급이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숙정도 그리고 혼합비에 따른 지렁이의 영향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지렁이 생육과 관련된 최적의 함수율은 약 55%로 한계 염분 농도는 0.5%로 조사되었다. 음식물쓰레기의 높은 염분농도와 유기물 분해에 따른 발열 및 유기산 생성등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분변토와의 혼합은 필수적 이었으며, 유기물 감량이 목적인 부숙과정은 결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염분농도를 증가 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급적 부숙과정은 피하고 분변토와의 적절한 혼합을 통한 유기물감량이 요구되며, 결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와 분변토와의 혼합비는 모든 조건등을 고려했을 때 부숙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와 분변토와의 3:7 혼합비가 가장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disposal food wastes which is about 30% portion of tatal organic wastes, vermicomposting is more environmental-friendly treatment than lanfill, incineration, etc. Recently, the interest has been increasing but there are many problems on management of vermicopmposting in field especially.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실험은 탈수과정을 거친 음식물쓰레기와 그렇지 않은 음식물쓰레기를 각 부숙단계(초기, 5일, 10일, 15일)에 따라 분변토와의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염분농도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 본 실험은 부숙정도가 다른 음식물쓰레기를 지렁이에게 단독으로 급이 하였을 때와 분변토와 각각의 무게 비로(1:9, 3:7, 5:5) 완전 혼합하여 지렁이에게 급이 하였을 경우, 두 실험간의 지렁이 사멸수를 비교 관찰함으로서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에 있어 분변토 혼합의 필요성을 검토하였으며, 음식물쓰레기의 부숙정도가 지렁이의 생육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 본 실험은 탈수과정을 거친 음식물쓰레기(S시)와 그렇지 않은 음식물쓰레기(Y시)의 부숙정도가 지렁이의 생육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음식물쓰레기 시료는 분변토와 2:8, 3:7, 4:6으로 혼합되어 지렁이에게 급이 되었다.
  • 본 연구는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에 있어서 지렁이 생육의 최적의 함수율과 한계 염분농도, 그리고 음식물쓰레기의 부숙정도와 분변 토와의 적절한 혼합비 연구를 통해 지렁이 퇴비화의 최적 인자를 도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 실험은 분변토내에서 지렁이가 살아갈 수 있는데 제한이 되는 염분농도의 한계치 측정이 그 목적이었다.
  • 이에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 함에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과 염분농도 그리고 부숙 정도와 분변토와의 혼합비에 따른 처리 효율성의 고, 저를 검토하고 최적 조건을 도출해내기 위해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단계에서 지렁이의 생육에 큰 저해 원인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지렁이 이용기술은 도입초기의 운영방법 및 기술이 현재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자료부족과 경험부족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단계에서 높은 수분, 염분, 그리고 유기물 함량은 지렁이의 생육에 큰 저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처리 단계에서 가능한 한 수분의 양을 줄이고 유기물을 1차적으로 분해하여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에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염분농도와 급이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숙정도 그리고 혼합비에 따른 지렁이의 영향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음식물쓰레기의 높은 염분농도와 유기물 분해에 따른 발열 및 유기산 생성등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필수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5%로 조사되었다. 음식물쓰레기의 높은 염분농도와 유기물 분해에 따른 발열 및 유기산 생성등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분변토와의 혼합은 필수적 이었으며, 유기물 감량이 목적인 부숙과정은 결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염분농도를 증가 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급적 부숙과정은 피하고 분변토와의 적절한 혼합을 통한 유기물감량이 요구되며, 결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와 분변토와의 혼합비는 모든 조건등을 고려했을 때 부숙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와 분변토와의 3:7 혼합비가 가장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국내에서의 지렁이 이용기술이 오래 지속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의 지렁이 이용기술은 1970년 말 지렁이 양식을 목적으로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것이 그 시발이었다. 하지만 이는 환경적 측면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하나의 양식사업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마저 전국적으로 과도한 지렁이 사업 장려 등이 사회적 문제로 까지 대두되면서 최초의 지렁이 사육 사업은 그다지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렁이를 이용한 처리 기술의 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국가에서는 이미 각 가정에서 지렁이퇴비화를 통하여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상업적 움직임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진 실정이었기에, 1990년대부터 국내에서도 환경적 측면에서의 지렁이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