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朝鮮後期) 지방관아건축(地方官衙建築)의 배치구성(配置構成)에 관한 연구(硏究) -문헌사료(文獻史料)에 나타난 충청도(忠淸道)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Building Layout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cused on Chungchong-Do in the Litera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3 no.1 = no.37, 2004년, pp.7 - 19  

김기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ilding layout of traditional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Chungchong province with Chungchong-do regional maps and Eupjis(邑誌) being compil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building layout of government office in Chungchong-do is followed in the wake of the spatial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왔다.30) 본 장에서는 朝鮮王朝 宮闕의 계획규범과 실천에 나타난 기본 개념을 통하여 朝鮮後期 忠淸道 官衙의 配置規範을 도출하고자 한다.
  • 물론 모든 建築物이 일정한 원칙에 의해 획일적으로 造 營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는 自然 . 人文環境 등의 제반조건이 영향을 미칠 것이나, 여기에서는 인문환경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자 한다.
  • 그러나 조선왕조의 궁궐에서 門의 구성과 朝의 설정을 통한 三門三朝나 五門三朝의 그대로의 적용은 무리라고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槪念에서공통적으로 적용되는 三朝의 개념, 즉 궁문에 의하여 三朝를 구분하기보다는 개념상 三朝의 기능에 보다 충실하였던 것으로 파악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朝鮮의 都城과 宮闕이 中國의 制度를 본받아 이루어졌으며, 朝鮮의 地方都市는 서울인 漢 陽의 都城과 宮闕을 기본 모델로 하여 구성되었을 것이라는 推定하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물론 모든 建築物이 일정한 원칙에 의해 획일적으로 造 營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는 自然 .
  • 본 硏究는 朝鮮時代 忠淸道3)의 지방 行政機構 를 구성하는 각 階層의 인적, 물적 구성을 고찰하고, 朝鮮時代에 발행된 각종 輿地書와 地圖의 관아시설을 토대로 하여 각각의 기능, 배치 등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宮闕의 배치개념을 규범으로하여4) 조선후기 지방관아건축의 配置構成을 규명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으며, 아울러 지도를 이용한 연구의 실용적 차원에서 과거 邑治의 중심이었던 官衙시설을 고찰함으로써 傳統空間, 특히 과거 邑治空間의 복원에 대한 기초적 연구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현존하는 遺構만으로는 朝鮮時代 지방관아의 全貌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文獻 調査를 근간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朝鮮後期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작성한 地圖와 邑誌類에 비교적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忠淸道 지방관아를 통하여 朝鮮時代 지방관아건축의 配置구성을 밝히는 일차적인 연구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