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개나리족(Tribe Forsythieae; Oleaceae)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in Korea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34 no.3, 2004년, pp.189 - 203  

김동갑 (대전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주환 (대전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개나리족 식물의 분류학적 한계를 규명하고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논의하고자 2속 8분류군 25집단으로부터 33개의 형태형질을 측정하여 수리분류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개나리족 8분류군 외에 향선나무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미선나무속의 분류학적 한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고 근연분류군인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1, 2, 3이 전체분산의 79.6%를 설명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성분적재값을 기초로 공간배열을 실시한 결과, 각 속별로 크게 3개의 유집군이 형성되었고, 개나리속은 개나리-산개나리-의성개나리 유집군과 만리화-장수만리화 유집군으로 구분되었다. 미선나무속집단은 분류군의 구분 없이 무작위적인 배열을 나타냄으로써 종하분류군들은 기본종의 개체변이로 생각된다. 향선나무는 개나리족의 개나리속집단과 미선나무집단과는 명확하게 독립적인 군집을 형성하여 족 간의 뚜렷한 한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merical analysis based on 33 morphological characters from 25 populations of 8 species of tribe Forsythieae in Kore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axonomic delimitation and discuss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In this study, Fontanesia phyllyreoides Labill was adopted as comparing outgroup to...

Keyword

참고문헌 (37)

  1. Bailey L. H. and E. Z. Bailey. 1976. Hortus. 3rd. ed. Macmillan Publication., N.Y. Pp.1090-1091 

  2. Darlington C. D. and A. P. Wylie. 1955. Chromosome atlas of Flowering Plant. George Allen & Uniwin, London 

  3. Foster, A. S. and E. M. Gifford. 1974. Comparative Morphology of Vascular Plants. 2nd Ed. Freeman and Co., San Francisco 

  4. Harborne, J. B. and P. S. Green. 1980. A chemotaxonomic survey of flavonoids in leaves of the Oleaceae. Bot. J. Linn. Soc. 81: 155-167 

  5. Johnson, L. 1957. A review of the family Oleaceae. Contr. New South Wales Nat. Herb. 2: 96-418 

  6. Kim, D. K. 2001. A Phylogenetic Study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based on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MA thesis, Daejeon University (in Korean) 

  7. Kim, K.-J. 1999. Molecular phylogeny of Forsythia based on chloroplast DNA variation. Pl. Syst. Evol. 218: 113-123 

  8. Kim, K.J., H.-L. Lee and Y.-D. Kim. 2000. Phylogenetic position of Abeliophytlum based on nuclear ITS sequence data. Korean J. Pl. Taxon. 30: 235-250 (in Korean) 

  9. Lawrence G. H. M. 1951. Taxonomy of vasculasr plants. MacMillan Publication., N.Y. Pp. 576-578 

  10. Lee S. T. 1984. A systematic study of Korean Forsythia species. Korean J. Pl. Taxon. 14: 87-107 (in Korean) 

  11. Lee S. T. and E. J. Park. 1982a. A cladistic analysis of the Korean Oleaceae. Kor. J. Bot. 25: 57-64 (in Korean) 

  12. Lee S. T. and E. J. Park. 1982b. A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Oleaceae. Korean J. Pl. Taxon 12: 1-11 in Korean) 

  13. Lee S. T., Y. J. Chung, S. K. Ahn. 1995. Palynotaxonomic studies of Abelliophyllum distichum Nakai and its relative taxa (Oleaceae). J. Nat. Sci., Sung Kyun Kwan Univ. 46:27-38 (in Korean) 

  14. Lee, T. B. 1976. New forms of AbeliophyIlum distichum. Korean J. Pl. Taxon 7: 21-22 

  15. Lee, T. B. 1979. Illustrated F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16. Lee, T. B. 1984. Outline of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Korean J. Pl Taxon. 14: 21-32 

  17. Lim. S. C. and S. C. Ko. 1989. A cytotaxonomical study on some species of Korean Forsythia. Korean J. Pl. Taxon. 19: 229-239 (in Korean) 

  18. Maekawa, F. 1962. Major polyploi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hylogeny of Oleaceae. Jap. J. Bot. 37: 25-27 

  19. Mabberley, D. J. 1987. The Plant 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II. Borntraeger, Berlin. Pp.403-405 

  21. Nakai, T. 1917. Forsythia ovata. Bot. Mag. (Tokyo) 31: 104 

  22. Nakai, T. 1919a. Genus novum Oleacearum in Corea media inventum. (Tokyo) 33: 153-154 

  23. Nakai, T. 1919b. Forsythia japonica var. saxatilis. Jap. Jour. Bot. 161: 33 

  24. Nakai, T. 1920. On Abeliophyllum distichum. Bot. Mag. (Tokyo) 34: 249-251 

  25. Nakai, T. 1942. Forsythia saxatilis, F. densiflora. Icon. Pl. As. Orient. 4: 391-392 

  26. O'mara, J. 1930. Chromosome number in the Genus Forsythia. Jour. Arnold Arb. 11: 14-15 

  27. Paik, W. K. 1994. Substanc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nd investigation of their disthbution. Bulletin of the KACN ser, 13: 5-84 (in Korean) 

  28. Palibin, J. 1900. Forsythia viridissima Conspectus Florae Koreae 18: 147-198 

  29. Piechura, J. E. and D. E. Fairbrothers. 1983. The use of protein-serological characters in the systematics of the family Oleaceae. Amer. J. Bot. 75: 780-789 

  30. Rehder, A. 1940. Manual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North America. Macmillan Publication Co, New York. Pp. 765-793 

  31. Sax, K. and E.C. Abbe. 1932. Chromosome number and th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Oleaceae. Jour. Arnold Arb. 13: 37-47 

  32. Stebbins, G. L. 1974. Flowering Plants: Evolution above the Species Level. Harvard Univ Press, Cambridge 

  33. Taylor, H. 1945. Cytotaxonomy and phylogeny of the Oleaceae. Brittonia 5: 337-367 

  34. Uyeki, H. 1940. Woody-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in yosen. Agricultural and Forestry Coll. at Suwon Government General at Tyosen. 90-92 

  35. Wallander, E. and V. A. Albert. 2000.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Oleaceae based on rps16 and trnL-'F sequence data. Amer. Joun. Bot. 87: 1827-1841 

  36. Willis, J. C. 1973. A Dictionary of the Flowering Plants and Ferns. 8th ed.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37. Yu, T. Y., D. Y. Yeam, Y. J. Kim, S, J. Kim. 1976. Studies on dimorphism and heterostyly-incompatabil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Seoul Natl. Univ., Coll. of Agric. Bull. 1: 113-12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