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개나리족 및 근연분류군(물푸레나무과)의 잎 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he systematic consideration of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in the tribe Forsythieae and its related genera (Ole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3 no.2, 2013년, pp.118 - 127  

송준호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홍석표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나리족(Abeliophyllum: 1종, Forsythia: 12분류군-10종, 2변종)과 향선나무족(Fontanesia: 2 종) 및 근연 분류군인 Myxopyreae족(Myxopyrum: 5분류군-4종, 1아종)을 포함한 총 20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대부분의 분류군에서 배축면(abaxial side)에만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었으나 일부 분류군에서는 잎의 양면에 모두 존재하는 양면기공엽(amphistomatic type)으로 나타났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17.14-47.58 ${\times}$ 11.59-44.25 ${\mu}m$으로 속과 종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Forsythia giraldiana (17.48-22.96 ${\times}$ 11.64-12.88 ${\mu}m$)가 가장 작은 공변세포를 지니고 있었고, Myxopyrum pierrei (31.50-41.75 ${\times}$ 32.53-44.25 ${\mu}m$)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대부분 불규칙형(anomocytic)이 우세하며, 불규칙형과 불균등형(anisocytic)이모두 나타나거나 드물게 평행형(paracytic)이 나타나는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부세포의 수층벽(anticlinal wall)은 직선형과 곡선형이 동시에 관찰(straight/curved) 되거나 파상형(undulate) 또는 굴곡형(sinuate)이 나타나며, 파상형과 굴곡형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undulate/sinuate)로 구분되었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모용의 종류는 모두 3종류로 단세포 비선모(simple 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 다세포 비선모(simple mult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 방패형 선모(subsessile/peltate glandular trichome)가 나타났다. 끝으로 조사된 분류군내의 속간, 종간 동정을 위한 잎 표피 미세구조학적 형질의 유용성 및 분류학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parative study of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in tribes Forsythieae (Abeliophyllum: 1 species, Forsythia: 12 taxa - 10 species, 2 varieties), Fontanesieae (Fontanesia: 2 species) including one related genus Myxopyrum belonging to Myxopyreae (Myxopyrum: 5 taxa - 4 species, 1 subspecies) was c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처음으로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 분류군을 비롯하여, Bass et al. (1988)이 Myxopyr-um속만이 영춘화아과 분류군들과 원시형질(plesiomorphy)을 공유한다고 밝힌바, Myxopyreae족 내 대표 속으로 선정한 Myxopyrum속을 포함하여, 잎 표피를 기공와 모용을 중심으로 자세히 관찰하고 기재함으로써, 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형질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분류학적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푸레나무과란 무엇인가? 물푸레나무과(Oleaceae Hoffmanns. & Link)는 꿀풀목(Lamiales Bromhead)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전 세계적으로 25속 600여종으로 구성되며, 극지방을 제외한 온대지역과 구대륙의 열대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Wallander and Albert, 2000; Green, 2004).
Myxopyrum Blume속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Kim 2종 1변종으로 구성되며, 주로 서남아시아와 중국에 분포한다(Kim, 1998; Wallander and Albert, 2000). 또한 Myxopyrum속은 4분류군으로 구성되며, 동남아시아 열대 지역(인도, 남중국, 필리핀, 뉴기니아 등지)에 분포한다(Kiew, 1984; Wallander and Albert, 2000; Green, 2004).
개나리족이란 무엇인가? Taylor ex L. Johnson)은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아과(Jasminoideae Knobl.)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개나리속(Forsythia Vahl)과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Nakai)이 포함된다(Johnson, 1957). 향선나무족(Fontanesieae H.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iry Shaw, H. K. 1952. Note on the taxonomic position of Nyctanthes L. and Dimetra Kerr. Kew Bulletin 2: 271-272. 

  2. Baranova, M. 1972. Systematic anatomy of the leaf epidermis in the Magnoliaceae and some related families. Taxon 21: 447-469. 

  3. Bass, P., P. M. Esser, M. E. T. Van Der Waster and M. Zandee. 1988. Wood anatomy of the Oleacea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Wood Anatomists Bulletin 9: 103-182. 

  4. Bini Maleci, L. and O. Servettaz. 1991.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richomes in Italian species of Teucrium sect. Chamaedrys (Labiatae) - a taxonomical evaluation.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174: 83-91. 

  5. Chang, M. C., L. Q. Qiu and P. S. Green. 1996. Oleaceae. In Flora of China. Vol. 15.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272-319. 

  6. Darlington, C. D. and A. P. Wylie. 1955. Chromosome atlas of Flowering Plants. George Allen and Uniwin, London. 

  7. Esau, K. 1977. Anatomy of Seed Plants. 2nd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8. Goldblatt, P. and D. E. Johnson. 2008. Index to Plant Chromosome Numbers 2004-2006. http://www.tropicos.org/Project/IPCN. 

  9. Green, P. S. 1972. Forsythia. In Flora Europaea. Vol 3. Tutin, T. G., V. H. Heywood, N. A. Burges, D. M. Moore, D. H. Valentine, S. M. Walers and D. A. Webb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53. 

  10. Green, P. S. 2004. Oleaceae. In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Lamiales (except Acanthaceae including Avicenniaceae). Vol 7. Kadereit, J. W. (ed.). Springer-Verlag, New York. Pp. 296-306. 

  11. Han, B. W. 2001. The Palynological study of the Oleaceae. M.S.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2. Holmgren, P. K. and N. H. Holmgren. 1998. Index Herbariorum. Retrieved Mar. 20, 2013, from http://sciweb.nybg.org/science2/IndexHerbariorum.asp. 

  13. Iwatsuki, K., T. Yamazaki, D. E. Boufford and H. Ohba. 1993. Flora of Japan: Vol. IIIa Angiospermae. Dicotyledoneae. Sympetalae (a). Kodansha, Tokyo. Pp. 122-135. 

  14. Jensen, S. R. 1992. Systematic implications of the distribution of iridoids and other chemical compounds in the Loganiaceae and other families of the Asteridae.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79: 284-302. 

  15. Jensen, S. R., H. Franzyk and E. Wallander. 2002. Chemotaxonomy of the Oleaceae: iridoids as taxonomic markers. Phytochemistry 60: 213-231. 

  16. Johnson, L. A. S. 1957. Review of the family Oleaceae. Contributions from the New South Wales National Herbarium 2: 395-418. 

  17. Kiew, R. 1984. The genus Myxopyrum L. (Oleaceae). Blumea 29: 499-512. 

  18. Kim, D. K. and J. H. Kim. 2011. Molecular phylogeny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plastid DNA trnL-F and matK gene sequences. Journal of Plant Research 124: 339-347. 

  19. Kim, K. J. 1998. A new species of Fontanesia (Oleaceae) from China and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Journal of Plant Biology 41: 142-145. 

  20. Kim, K. J. 1999. Molecular phylogeny of Forsythia based on chloroplast DNA variation.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18: 113-123. 

  21. Kim, K. J., H. L. Lee and Y. D. Kim. 2000. Phylogenetic position of Abeliophyllum based on nuclear ITS sequence dat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0: 235-250. (in Korean) 

  22. Lee, S. 1984. A systematic study of Korean Forsythia speci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4: 87-107. (in Korean) 

  23. Lee, S. 2011. Palynological contributions to the taxonomy of family Oleaceae, with special empahsis on genus Forsythia (tribe Forsyth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 175-181. 

  24. Lee, S. and E. J. Park. 1982a. A cladistic analysis of the Korean Oleaceae. Journal of Plant Biology 25: 57-64. (in Korean) 

  25. Lee, S. and E. J. Park. 1982b. A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Oleaceae. Journal of Plant Biology 25: 1-11. (in Korean) 

  26. Lee, T. B. 1976. New for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7: 21-22. (in Korean) 

  27. Lim, S. C. and S. C. Ko. 1989. A cytotaxonomical study on some species of Korean Forsythi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9: 229-239. (in Korean) 

  28. Mabberley, D. J. 2008. Mabberley's Plant-book. A Portable Dictionary of Plants, their Classifications, and Uses. 3rd (ed). University of Washington Botanic Gardens, Seattle. 

  29. Meakawa, F. 1962. Major polyploi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hylogeny of Oleaceae. Journal of Japanese Botany. 37: 25-27. 

  30. Moon H. K. and S. P. Hong. 2003.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in Lycopus L. (Mentheae, Lami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3: 151-164. (in Korean) 

  31. Moon, H. K., S. P. Hong, E, Smets and S. Huysmans. 2009.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leaf micromorphology and anatomy in the tribe Mentheae (Nepetoideae: Lamiaceae).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0: 211-231. 

  32. Nakai, T. 1919. Genus novum Oleacearum in Corea media inventum. The botanical magazine. Tokyo. 33: 153-154. 

  33. Nakai, T. 1920. On Abeliophyllum distichum. The botanical magazine. Tokyo. 34: 249-251. 

  34. Navarro, T. and J. El Oualidi. 2000. Trichome morphology in Teucrium L. (Labiatae). A taxonomic review. Anales del Jardin Botanico de Madrid 57: 277-297. 

  35. O'Mara, J. 1930. Chromosome numbers in the genus Forsythia. Journal of the Arnold Arboretum 11: 14-15. 

  36. Rehder, A. 1940. Manual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North America.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Pp. 765-793. 

  37. Rohwer, J. G. 1996. Die Frucht und Samenstrukturen der Oleaceae. Bibliotheca Botanica 148: 1-177. 

  38. Sax, K. and E. C. Abbe. 1932. Chromosome numbers and th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Oleaceae. Journal of the Arnold Arboretum 13: 37-47. 

  39. Sehr, E. M. and A. Weber. 2009. Floral ontogeny of Ole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170: 845-859. 

  40. Song, J. H. and S. P. Hong. 2012. Comparative petiole anatomy in Forsythieae, Fontanesieae and Myxopyrum (Ole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2: 50-63. (in Korean) 

  41. Stace, C. A. 1984. The taxonomic importance of the leaf surface. In Current Concepts in Plant Taxonomy. Heywood, V. H. and D. M. Moore (eds.). Academic Press, London. Pp. 67-93. 

  42. Tae, K. H., D. K. Kim and J. H. Kim. 2005a. Genetic variatio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based on RAPD analysi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8: 135-144. 

  43. Tae, K. H., J. H. Tho and J. H. Kim. 2005b. A systematic study of Abeliophyllum distichum (Oleaceae) based on cytological character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5: 143-151. (in Korean) 

  44. Taylor, H. 1945. Cyto-taxonomy and phylogeny of Oleaceae. Brittonia 5: 337-369. 

  45. Wallander, E. and V. A. Albert. 2000.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Oleaceae based on rps16 and trnL-F sequence data. American Journal of Botany 87: 1827-1841. 

  46. Weryszko-Chmielewska, E. and M. Chernetskyy. 2005. Structure of trichomes from the surface of leaves of some species of Kalanchoe Adans. Acta Biologica Cracoviensia Series Botanica 47: 15-22. 

  47. Wilkinson, H. P. 1979. The plant surface (mainly leaf). In Anatomy of the Dicotyledons. 2nd (ed). Vol. I. Metcalfe, C. R. and L. Chalk (eds.). Clarendon Press, Oxford. Pp. 97-1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