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추속(Allium L.) 잎 표피의 구조와 이의 분류학적 중요성
Leaf epidermal structure of the Allium L. and its taxonomic significance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34 no.2, 2004년, pp.97 - 118  

최혁재 (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장창기 (충북대학교 바이오연구소) ,  고성철 (한남대학교 생물학과) ,  오병운 (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추속 분류군들에 대한 광학현미경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잎 표피의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종 수준 또는 절이나 아속의 수준에서 각 분류군의 주요형질 및 형질의 변이 한계를 파악하였다. 잎 표피세포의 모양은 장방형에서부터 아주 긴 선형으로 관찰되었고, 크기는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였다. 엽신이 넓은 달래절, 산마늘절, 두메부추절 등에 속하는 분류군의 표피세포는 장방형으로 선형을 가지는 다른 절로부터 이들을 구분되었다. 산마늘절의 잎은 이면기공엽으로 관찰되어 양면기공엽을 가지는 나머지 분류군들과는 구분되었다. 기공복합체에서 공변세포 크기는 각 분류군 간에 거의 변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위면적 당 기공의 수는 표피세포의 크기가 커지면 적어지고,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면 많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엽신이 넓고, 표피세포의 모양이 장방형인 산마늘절에서는 다른 선형의 세포를 가진 종에서 보다 아주 적게 나타났다. 관찰된 모든 분류군에서는 불규칙형 기공이 나타났다. SEM에 의한 잎 표피세포의 미세구조 관찰 결과, 표피 외벽의 융기 형태와 wax의 침적 양상이 종간에 다소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표면이 융기된 돌기물의 형태는 달래절과 산마늘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달래절에서는 세포벽의 표면에 주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미세무늬가 나타났고 산마늘절에서는 평행인 미세무늬가 나타났다. 세포벽 외부의 돌기물의 구조는 돌추절과 두메부추절에서는 뚜렷한 선모양으로, 노랑부추절에서는 미약한 선모양으로 관찰되었으나, 다른 분류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달래절과 산마늘절의 분류군을 제외한 다른 분류군에서는 왁스가 침적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parative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re on the leaf epidermis by light microscopy (L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this study, it was grasped major characters of taxa and variation range of each character on the level ...

Keyword

참고문헌 (27)

  1. Bentham G. and J.D. Hooker 1883. Genera Plantarum Vol. Ⅲ. Part 2. L. Reeve, Williams and Norgate, London. Pp. 748-804 

  2. Choi H.J. 2004. Taxonomy of the genus Allium (Alliaceae) in Korea. M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in Korean) 

  3. Chung T.H. 1957. Korean Flora Ⅱ, Pp. 968-973. Sinjisa, Seoul. (in Korean) 

  4. Chung T.H., P.S, To, D.B. Lee and F.J. Lee. 1937. Nomina Plantarum Koreanum. Chos. Nat. Hist. Inst. Pp. 29-30 

  5. Dahlgren R.M.T., H.T. Clifford and F.T. Yeo. 1985. The families of the Monocotyledon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Tokyo. Pp. 193-196 

  6. Don G. 1827. A monograph of the genus Allium. Mem. Wern. Soc. 6: 1-102 

  7. Gregory M. 1992. Leaf anatomy in genus Allium, especially section Allium.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at Gatersleben, Germany, June 11-13, Gatersleben.: 97 

  8. Hanelt P., Hammer K. and H. Kn $\ddot{u}$ pffer 1992. The Genus Allium-Taxonomic Problems and Genetic Resources.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at Gatersleben, Germany, June 11-13, Gatersleben.: 359 

  9. Heywood, V.H. 1984. The current scene in plant taxonomy. In Current concepts in plant taxonomy. Heywood, V.H. and D.M. Moore (eds.)Academic Press, London. Pp. 3-21 

  10. Hutchison J. 1959.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vol. Ⅱ. Monocotyledons. Clarendon Press, Oxford. Pp. 639-643 

  11. Juniper, B.E. and C.E. Jeffree. 1983. Plant Surface. Edward Arnold, London Pp 93 

  12. Krahulec F. 2003. Schl $\ddot{u}$ ssel f $\ddot{u}$ r die Allium-Arten in $\ddot{O}$ sterreich und S $\ddot{u}$ dtirol. Neilreichia 2-3: 195-207 

  13.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The Bulletin of the Kwanak Arbortum 1: 124. (in Korean) 

  14.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Holmai, Stockholm Pp. 294-302 

  15. Nakai T. 1911. Flora Koreana (2). J. Coll. Sci. Imp. Univ. Tokyo. 31: 259-262 

  16.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 Tokyo. 31: 147 

  17. Palibin J.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Ⅲ. Acta Hort. Petrop. 19: 112 

  18. Park M.K. 1949.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Pp. 321-322. (in Korean) 

  19. Rahn K. 1998. Alliace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Ⅲ. Monocotyledons. (ed.) Kubitzki K., Springer, Berlin and Heidelberg. Pp. 70-76 

  20. Regel E. 1875, Alliorum Adhuc Cognitorum Monographia, Acta Horti Petrop. 3 (2). Pp. 1-266 

  21. Regel E. 1887. Allii species Asiae Centralis in Asia Media a Turcomania desertisque Araliensibus et Caspicis usque ad Mongoliam crescentes. Acta Horti Petro. 10: 278-362 

  22. Samoylov A., Friesen N., Pollner S. and P. Hanelt. 1999. Use of chloroplast DNA polymorphims for the phylogenetic study of Allium subgenus Amerallium and subgenus Bromatorrhiza (Alliaceae) Ⅱ. Feddes Repert. 110: 103-109 

  23. Stace, C.A. 1965. Cuticular studiesas an aid to plant taxonomy. Bull. Brit. Mus. (NAt. Hist.), Bot. 4: 3-78 

  24. Stearn W.T. 1946. Notes on the genus Allium in the Old World. Herbertia 11: 11-34 

  25. Stebbins, G.L. 1971. Chromosomal Evolution in Higher Plants. Addison-Wesley Publ., Reading, MA 

  26. Takhtajan A. 1997. Diversity and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500-506 

  27. Traub H.P. 1968. The subgenera, sections and subsections of Allium L. Plant life.: 147-16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