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 최근 기계환기 중 기관지내시경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시술 중 생리학적 변화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연구자들은 PEEP을 시술전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여 생리학적 변화 및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6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삼성서울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기계환기를 하면서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했던 19명의 환자(남자 10명 여자 9명, 연령 중앙값 61.6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기 전 100% 산소로 15분간 전산 소요법을 시켰으며 기관지내시경 시술 중 기계환기는 용적조절양식으로, 일회환기량 4 ml/kg, 호흡수 20회/분, 흡기 대 호기비 1:2로 환기하였으며 PEEP은 시술전과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시행 후 30분간 100% 산소를 유지하였다. 결 과 : 기관지내시경술 시행시간의 중앙값은 6분(범위 3-15분)이었다.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면서 호흡성 산증과 저환기, 최고기도압의 상승, 심박수의 증가, auto-PEEP의 발생을 보였다. 이들 변화는 기관지내시경 시술 후에 시술 이전의 상태로 되었다. 압력손상 및 혈압 감소 등의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심각한 저산소증으로 높은 PEEP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에게서 PEEP을 유지한 채로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여도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는 동안 호흡성 산증 및 저환기를 보였고, 비록 가역적이지만 이러한 상태에서 환자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관지내시경 시행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Bronchoscopy in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is being performed much more frequently. However, there is little data on the changes in physiologic parameters and no established mechanical ventilation protocol during bronchoscopy. A decreasing or the removal of positive end-expira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계환기 중 기관지내시경술이 필요한 환자에서 기관지내시경술 중 PEEP을 기존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일정한 기계환기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이에 의한 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 최근 기계환기 중 기관지내시경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시술 중 생리학적 변화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연구자들은 PEEP을 시술전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여 생리학적 변화 및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가설 설정

  • Changes in the PF ratio over time. B. Changes in the PaCO2 over time.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aoof S, Mehrishi S, Prakash UB. Role of bronchoscopy in moder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Clin Chest Med 2001;22:241-61 

  2. Jolliet P, Chevrolet JC. Bronchoscopy in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Care Med 1992;18:160-9 

  3. Suh GY, Koh Y, Chung MP, An CH, Kim H, Jang WY, et al. Repeated derecruitments accentuate lung injury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Crit Care Med 2002;30:1848-53 

  4.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etwork. Ventilation with lower tidal volumes as com-pared with traditional tidal volumes for acute lung injury and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 Engl J Med 2000;342:1301-8 

  5. Meduri GU, Chastre J. The standardization of bronchoscopic technique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1992;102:S557-64 

  6. Sackner MA. State of the art: Bronchoscopy. Am Rev Respir Dis 1975;111:62-88 

  7. Gruson D, Hilbert G, Valentino R, Vargas F, Chene G, Bebear C, et al. Utility of fiber-optic bronchoscopy in neutropenic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with pulmonary infiltrates. Crit Care Med 2000;28:2224-30 

  8. Turner JS, Willcox PA, Hayhurst MD, Po- tgieter PD. Fiberoptic bronchoscopy in the intensive care unit-a prospective study of 147 procedures in 107 patients. Crit Care Med 1994;22:259-64 

  9. Credle WF, Smiddy JF, Elliott RC. Com-plications of fiberoptic bronchoscopy. Am Rev Respir Dis 1974;109:67-72 

  10. Suratt PM, Smiddy JF, Gruber B. Death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fiberoptic bronchoscopy. Chest 1976;69:747-51 

  11. Lindholm CE, Ollman B, Snyder J, Millen E, Grenvik A.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in critical care medicine, diagnosis,therapy, and complications. Crit Care Med 1974;2:250-61 

  12. Dreisin RB, Albert RK, Talley PA, Kryger MH, Scoggin CH, Zwillich CW.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in the teaching hos-pital :yield and complications. Chest 1978;74;144-9 

  13. Pereira W Jr, Kounat DM, Snider JV. A prospective cooperative study of complica-tions following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Chest 1978;107:813-6 

  14. Humbert M, Robinson DS, Assoufi B. Safety of fiberoptic bronchoscopy in asthmatic and control subjects and affects on asthma con-trol over two weeks. Thorax 1996;51:664-9 

  15. Trouillet JL, Guiguet M, Gibert C, Fagon JY, Dreyfuss D, Blanchet F, et al. Fiberoptic bronchoscopy in ventilated patients. Evalua-tion of cardiopulmonary risk under midazo-lam sedation. Chest 1990;97:927-33 

  16. Matsushima Y, Jones RL, King EG, Moysa G, Alton JD. Alternations in pulmonary me-chanics and gas exchange during routine fiberoptic bronchoscopy. Chest 1984;86:184-8 

  17. Lawson BW, Peters JI, Shelledy DC. Effects of fiberoptic bronchoscopy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in a lung model. Chest 2000;118;824-31 

  18. Lindholm CE, Ollman B, Snyder JV, Millen BS, Grenvik A. Cardiopulmonary effects of flexible bronchoscopy in critically ill patients. Chest 1978;74:36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